neonatal jaundice

in neonatal •  7 years ago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신생아기에 가장 흔한 질환(m/c) [ most common dz. at neonatal period]

→심한 간접 포합 황달인 경우에는 신경계에 손상 [if severity, it influence nerologic system]

직접 포합 황달인 경우에도 심각한 질환을 유발 할 수 있다. [also direct jaundice it makes severe dz.]

→생후 첫주내에 만삭아의 약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 [in period ~1wk , 60percents of full neonatal and 80percents of immature neonatal]

→bilirubin생성

: 수명이 다한 적혈구의 혈색소에서 생성

①간접 빌리루빈(indirect bilirubin) - unconjugate

  : 비극성, 지용성, 혈청 알부민과 결합하여 간으로 운반되어진다.

②직접 빌리루빈(direct bilirubin) - conjugate

  : 간세포(소포체내에서)에서 간접 빌리루빈이 직접 빌리루빈을 생성한다.

    극성, 수용성, 담도를 거쳐 장으로 배설.

→태아기

: 간접 빌리루빈 상태로 배설

→성인기

: 간에서 포합되어 직접 빌리루빈 상태로 담도를 거쳐 장을 통해 배설

▶원인

: 신생아기는 태아에서 성인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있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한다.

①간에서 대사될 빌리루빈의 양이 증가시키는 요인

②transferase효소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요인

③transferase효소와 경쟁적 관계에 있는 요인

④transferase효소의 결핍이나 간세포에서 빌리루빈 섭취의 감소를 일으키는 요인

: 유전적 결함, 미숙아

▶증상

: 출생시부터 나타날 수 있다.

얼굴에서 시작하여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복부 발까지 진행된다.

▶혈청 빌리루빈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

①복부 중앙까지 황달이 진행된 경우

②비생리적 황달임을 시사하는 증상이 있는 경우

③진행성 황달인 경우

④용혈이나 패혈증의 증상이 있는 경우

→ 직접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폐쇄성 황달은 녹색이나 진흙같이 어두운 빛깔을 띤다

→ 간접 빌리루빈의 침착으로 인한 황달은 밝은 황색이나 오렌지색을 띤다.

○ 생리적 황달

→간접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하여 발생

→생후 2일에서 4일사이에 최고치(5~6mg/dl), 5일에서 7일 사이에 2mg/dl로 감소

→원인: 생존일이 짧은 태아 적혈구 때문에 생기는 빌리루빈 생성 증가와 간에서 빌리루빈

     포합의 일과성 제한 등이 복합되어 발생

→황달의 원인을 반드시 찾아야 하는 경우

①생후 24~36시간 내에 나타나는 경우

②혈청 빌리루빈이 24시간 내에 5mg/dl 이상 증가하는 경우

③혈청 빌리루빈이 만삭아의 경우 위험인자가 동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12mg/dl 이상이며

미숙아에서는 10mg/dl~14mg/dl 이상인 경우

④황달이 생후 10~14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⑤생후 시간에 관계없이 직접 빌리루빈이 2mg/dl 이상인 경우

○모유 황달

→모유에 의한 간접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여 발생

→2~3주째 최고치(10~30mg/dl)에 달하게 된다. 계속 모유 수유를 하여도 빌리루빈 수치

는 서서히 감소하며, 3~10주 동안에는 낮은 농도레서 서서히 지속된다. 그러나 1~2일

간 수유를 중단하고 분유를 먹이면 혈청 빌리루빈은 급격히 감소한다.

→생후 첫주에 나타나는 조기 모유 황달과 구별 되어야 한다.

○병적 황달

→황달의 발현 시기, 지속시간, 연속적으로 측정한 혈청 빌리루빈치가 생리적 황달과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동양인, 미숙아, 모유, 수유, 체중감소 등과 같이 불포합 빌리루빈을 상승시키는 위험 요

소들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원인은 빌리루빈의 과도한 생성보다는 빌리루

빈의 불활성화 내지는 결핍이다)

◎ 고빌리루빈혈증일 때 불포합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면 핵황달의 위험이 있다. 미숙아,

신생아 가사, 뇌실내 출혈, 용혈, 알부민으로부터 빌리루빈을 전위시키는 약물등을 사

용할 경우, 낮은 총 빌리루빈치에서도 불포합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핵황달이 생길 수 있

다. 일반적으로 모유 황달에서는 핵황달이 발생하지 않는다.

○핵황달

→뇌세포에 불포합 빌리루빈이 침착되어 생기는 신경학적 증후군이다.

→태아 적모구증 환아에서의 핵황달의 위험성은 혈청 빌리루빈치에 비례한다.

→발생기전 : 알부민과 빌리루빈증에서 유리 빌리루빈치가 증가되고 유리 빌리루빈이 bbb

         를 통과하여 뇌세포 내로 확산되어 발생한다. 또는 가사난 과장성

         (hyperosmolality)으로 인한 bbb 손상후에도 빌리루빈에 대한 투과가 증가하

         여 발생 (출생후에는 bbb 성숙으로 인한 위험성 감소)

→건강한 만삭아나 용혈이 없는 경우라면 혈청 빌리루빈 수치가 25mg/dl 미만에서는

핵황달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환아가 미숙할수록 핵황달이 발생할 가능성은 커진

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