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튼 디파이 진출

in news •  4 years ago 

sKLAY: 클레이튼 DeFi의 탄생

출처 : https://medium.com/orbit-chain/sklay-%ED%81%B4%EB%A0%88%EC%9D%B4%ED%8A%BC-%EA%B8%B0%EB%B0%98-defi%EC%9D%98-%ED%83%84%EC%83%9D-6d7aeeb9801c

클레이스테이션은 완전한 비신뢰 기반의 스테이킹 툴로써, 론칭 후 3개월 동안 약 1억 7천만개 이상의 KLAY가 클레이튼 네트워크 상에 락업이 되며 시작과 동시에 시장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관심 덕분에 현재 클레이스테이션은 클레이튼 네트워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BApp 이자 DeFi 프로토콜로 자리 잡았습니다.
클레이튼의 거버넌스 파트너인 오지스는 클레이튼의 비신뢰 기반 금융 인프라 구축과 온체인 사용 사례를 늘려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동안 쌓아온 기술 그리고 프로덕트와 함께 클레이스테이션에 락업된 KLAY를 활용하여 클레이튼 네트워크에 한번 더 직접적인 유동성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DeFi 생태계를 확장 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 스테이킹 경제의 한계점과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스테이킹된 KLAY를 활용하고 이를 통해 클레이튼 금융 생태계 전반적으로 유동성을 제공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스테이킹 경제 규모와 그 한계점
PoS 합의 알고리즘 기반의 블록체인은 블록 생성에 있어 효율성, 완결성, 낮은 운영 비용 등 여러 측면에서 PoW 합의 알고리즘에 비해 특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현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를 보호하고 운영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장점으로 인해 지난 몇 년 간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스테이킹 경제 규모는 폭발적으로 성장하였으며, 현재는 약 USD 35 billion 이상의 규모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킹 경제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이 보유한 암호화폐를 해당 체인의 노드를 운영하는 특정 Validator에게 위임하여, Staking 혹은 Delegating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블록생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수동적으로 공유 받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하나의 포지션을 유지해야하는 현재의 구조에서는 자산의 효율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며 그와 함께 몇 몇 한계점들을 보이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Staking 시장과 함께 DeFi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다양한 투자 수익 기회를 얻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이미 취한 Staking 포지션에서는 시간적 물리적 이동의 한계가 존재하여 이익 극대화를 위한 자산 분배 구조의 결정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특정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해당 경제 규모의 지속적인 확장을 위해서는 락업된 자산의 가격 변동성 위험 (volatility risk) 과 위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거래 상대방 위험 (counter-party risk) 과 같은 자산의 각종 위험을 시장원리에 따라 적정하게 이전 (Risk transfer) 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위험 이전에 대한 시장의 충분한 고민과 기능은 기술과 서비스의 발전을 따라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중앙화 서비스를 통한 스테이킹 경제 참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거버넌스 저해 요소와 같은 한계점이 있겠지만, 근본적으로 스테이킹 경제를 포함하여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자산의 효율성을 높여야 함과 동시에 참여자 개개인들이 락업된 자산의 위험 평가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구조가 설립되어야 합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