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의 사회적 요소와 한국 시장에서의 잠재성

in nft •  3 years ago 

1_eS4ks0G31m4vJipSBCnBJw.png

NFT 시장의 현 주소
최근 암호화폐 산업의 주요 화두는 탈중앙화 금융(DeFi)에 이어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Non Fungible Token)입니다.
‘대체 불가능하다(Non Fungible)’라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체 가능하다(Fungible)’는 의미를 이해해야 합니다. ‘대체 가능하다’라는 것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상품으로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대체 불가능하다’라는 것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다른 상품과 교환이 불가능한 것을 뜻합니다.

0_ndGek-B_4b6kzmrK.png

각 NFT에는 고유한 식별 코드와 메타데이터가 있기 때문에 복제되거나 다른 상품과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없습니다. NFT는 블록체인에 디지털 자산의 고유한 데이터가 기록되기 때문에 원작자를 쉽게 증명하고 소유권과 거래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NFT는 스포츠, 미술, 게임, 음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습니다.
크립토키티(CryptoKitties)의 개발사인 대퍼랩스(Dapper Labs)는 NBA 선수들의 슛 장면을 NFT로 판매하는 ‘NBA Top Shot’이라는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세계적인 경매사 소더비에서는 가장 유명한 NFT 중 하나인 크립토펑크(Cryptopunks)의 경매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크리스티 경매사에서도 디지털 아티스트 비플(Beeple)의 작품인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가 무려 7천만 달러(한화 약 820억 원)에 판매되어 화제가 되었습니다. 유명 팝스타 위켄드(The Weeknd)는 신곡을 NFT로 판매해 약 26억 원의 수익을 얻었으며 힙합 래퍼 에미넴(Eminem)은 자신의 싸인이 새겨진 한정판 NFT를 판매했습니다.
이 밖에 프링글스, 피자헛, 타코벨 등의 유명 브랜드들이 팬들을 위한 NFT를 판매하였고 명품 브랜드 구찌, 돌체앤가바나, 지방시 등도 한정판 NFT를 선보이면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흐름에 발맞춰 NFT에 관한 다양한 시도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NFT 소셜 플랫폼 디파인은 유명 게임 ‘검은사막’의 개발사 펄어비스와 선미, 어반자카파 등이 소속된 ‘어비스컴퍼니’로부터 투자를 받고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NFT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미술품 경매 업체 서울옥션의 자회사 서울옥션블루는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의 운용사인 두나무와 손잡고 NFT 사업과 관련한 협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특히 두나무는 JYP엔터테인먼트에 365억원을 투자하며 케이팝을 활용한 NFT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최근엔 가상 공간 메타버스의 부상으로 메타버스 내 자산을 NFT로 발행하려는 시도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 더 샌드박스(The Sandbox), 리그 오브 킹덤즈(League of Kingdoms)와 같은 게임들은 캐릭터, 아이템, 랜드 등을 NFT로 발행했습니다. 게임 내 NFT는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가상 공간 내에서의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처럼 NFT를 활용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면서 NFT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해 2019년 7,500만 달러에 불과했던 시장 규모는 2년 만에 33억 8,000만 달러로 약 45배 성장했습니다.

0_zH32voKK8elN8vsp.png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