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을 분류하는 가장 흔한 방법에 대해 다루어보도록 하겠다.
&
"Permissioned Blockchain, Permissionless Blockchain"
(추가로 분류의 한 카테고리로 컨소시움도 종종 언급된다)
가장 흔하지만 각자 받아들이는 의미는 조금씩 다른거 같다.
일반적으로는 Public = Permissionless, Private = Permissioned 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근데 나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분류 방법이 다소 모호하게 받아들여져 다시 구분해보기로 했다.
먼저 Public blockchain과 Private blockchain 에 대한 구분,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면 ?
Public Blockchai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해서 별도의 권한이 필요하다면 ?
Private Blockchain
그리고 Permissioned blockchain과 Permissionless blockchain 에 대한 구분,
나는 이를 행위에 대한 권한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말하는 행위란 네트워크에 참여한 뒤의 활동을 말한다.
즉, 트랜잭션 발생, 블록 생성의 기회 등등
이는 블록체인 플랫폼이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참여한 뒤 어떤 행위를 함에 있어 권한이 필요하다면 ?
Permissioned Blockchain
네트워크에 참여한 뒤 모든 행위를 마음대로 할 수 있다면 ?
Permissionless Blockchain
따라서 이 분류법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는 아래와 같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대표적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될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아직 권한이 필요한 블록체인 플랫폼은 보지 못했다.
(열심히 찾아보지 않았음ㅠㅠ)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대표적으로 하이퍼레저 패브릭, 이더리움(구성방식에 따라) 등이 존재한다. 다만 여기에서는 권한 여부에 따라 예를 좀 더 들 수 있겠다.
하이퍼레저 패브릭 같은 경우는 트랜잭션을 처리하거나 인증을 하는 노드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어 Permissioned Blockchain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더리움을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할 경우 Permissionless Blockchain이 된다(합의 알고리즘을 변경하지 않고 PoW로 사용할 경우).
첫 블로그라 간단한 거로 작성해본다. ^^;
Congratulations @einai!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