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be 구축을 희망하는 분들을 위한 가이드

in sct •  6 years ago  (edited)

logo

비트코인 가격이 날아가고 있고 알트 코인에서도 상승장이 펼쳐지길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속에서 많은 분들이 토큰을 생성하고, 해당 토큰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이 사이트에서 커뮤니티 그룹을 관리하는 방식에 대해 관심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참고로, 스팀 엔진 기반 토큰을 이용해 구축된 블로그, 포럼, 비디오 플랫폼 등이 결합된 웹사이트를 "Tribe" 라고 부릅니다.

현재 블로그 (Nitrous)와 포럼 (TokenBB) 형태의 플랫폼으로 웹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으며 비디오 플랫폼의 경우 빠르면 다음 주부터 이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비디오 플랫폼 도입이 스팀 엔진뿐만 아니라 스팀 전체에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주부터 2천 달러 정도 투자하시면 여러분의 토큰으로 운영할 수 있는 비디오 플랫폼을 보유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곳에서 이 정도 조건을 찾기는 힘들 거라고 생각합니다.


tribe 구성 절차

tribe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가 필요합니다.

  • 커뮤니티를 시작할 때 제공하려는 서비스 종류(블로그, 포럼, 비디오 등)에 따라 500 ~ 2000 달러 상당의 ENG가 필요합니다.
  • 커뮤니티가 성장하면 ENG 스테이킹을 위해 더 많은 양의 ENG가 필요하며 ENG는 구매나 임대를 통해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팀원을 구성해야 합니다. 팀원은 5명 ~ 20명 수준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설정과 함께 몇 가지 의사 결정을 해야합니다.
  • 커뮤니티 운영 규칙을 정해야 합니다

팀 구성

컴퓨터/수학 전문가, 금융 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 분야를 가진 사람들로 팀원을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팀 엔진에서 기술적인 장벽을 많이 제거했기 때문에 웹사이트를 출시하는 것은 큰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팀원 중에 기술적인 이슈를 처리할 수 있는 전문가를 1 명 이상 보유하시길 권장합니다. 여러분이 발행한 토큰을 홍보하거나 해당 토큰의 가격 상승을 원하신다면 커뮤니티나 비지니스 관련 네트워킹을 보유하고 있거나 어느 정도 자금을 보유한 팀원이 필요할 것입니다.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직접 홍보활동을 하고 싶다면 여러분의 사용자 층과 좋은 관계를 맺고 소통할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합니다.


간단한 버전의 Tribe(여전히 기술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간단한 버전에서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토큰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고유한 블로그 플랫폼이 제공됩니다.

가장 먼저 할 일은 토큰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https://steem-engine.com/ 에서 토큰을 생성할 수 있으며 비용은 100 ENG 입니다.

토큰 생성시 토큰 이름, 심볼, 최대 공급량, URL, 소수점 자리 갯수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URL은 변경할 수 있으며 소수점 자리 갯수도 늘릴 수 있습니다. 이외의 항목은 한 번 설정하고 나면 변경할 수 없습니다.

토큰을 생성하고 난 후 토큰을 생성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면 info 버튼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info 버튼을 클릭하면 나오는 화면에서는 URL 변경, 프로젝트 설명 수정, 로고 추가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토큰을 생성했다면 스테이킹 기능을 활성화해야 합니다(토큰을 생성한 계정의 지갑에서 다이아몬드 아이콘을 통해 이같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언스테이킹 기간도 함께 설정해야 합니다. 이들 역시 한 번 설정하고 나면 변경할 수 없습니다. 언스테이킹 기간은 VP(보팅 파워)가 회복되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해야 합니다. 보팅 파워가 0%인 상태에서 회복될 때까지 5일이 걸린다면, 언스테이킹 기간은 5일보다는 약간 더 길어야 할 것입니다. 토큰 스테이킹(파워 업이라고도 합니다)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1,000 ENG를 소각해야 합니다.


초기 공급량과 분배

최종(ultimate)적인 토큰 수량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토큰 수량이 너무 많다면 이 토큰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을 것입니다. 토큰 수량이 적을수록 토큰 가치는 올라갈 것입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해당 토큰을 가치있다고 생각하는지, 다양한 유스 케이스를 보유하고 있는지, 팀과 커뮤니티에서 어떤 소각 정책을 운영하는지에 따라 토큰의 가치가 결정될 것입니다.

토큰을 생성할 때 적당한 공급량은 1백만개 ~ 1억개 사이라고 생각합니다. BTC의 경우 2천 1백만개입니다. 토큰과 관련해서 인플레이션 풀을 운영할 계획이라면(보팅 스타일의 웹사이트를 운영할 계획이라면 인플레이션 풀이 필요합니다), 토큰의 최대 공급량은 연간 인플레이션에 해당하는 수량보다 더 많아야 할 것입니다.

토큰 분배 모델의 경우 PALnet의 사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프로젝트 창설 멤버에게 10%, 중앙 관리 계정에 10%를 할당했으며, 기존 커뮤니티를 위해 20%를 배정했습니다. 나머지 수량은 오픈 마켓에서 특정 가격으로 판매했습니다. 이 사례를 그대로 따를 필요는 없지만 PALnet의 모델은 새로운 사용자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을 PALnet 커뮤니티로 끌어들일 수 있는 모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토큰이 생겼으니 Scotbot을 이용해 분배를 해볼까요?

이제 scotbot 인스턴스를 설정할 시간입니다. 사실, steempeak 이나 steemit에서 태그를 사용하기만 해도 충분하기 때문에, 여러분만의 고유한 웹사이트를 보유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구축하길 원합니다. (설정 비용은 1,000 ENG입니다)

Scotbot은 커뮤니티 운영자에게 많은 통제 권한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당히 복잡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팀원 중에 개발자 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원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유리합니다.

Scotbot을 설정하면 "인플레이션 수준은 어떤가요?"와 같은 질문에 대해 답변해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을 높게 설정하면 프로젝트 창설 멤버와 초기에 참여한 계정의 지분이 희석됩니다. 신규 사용자를 유치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인플레이션을 높게 설정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함께 신규 사용자 유입이 늘어난다면, 토큰 경제는 지속 가능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을 높게 설정했는데 아무도 토큰을 사지 않거나 신규 사용자도 늘지 않는다면 초기 펀딩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피해를 볼 것입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초기 공급량과 관련이 있습니다. 새로운 토큰이 1 백만개 생기면 인플레이션이 높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지만 초기 공급량이 10조 개 정도 된다면 인플레이션이 높다고 할 수 없죠. 스팀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10% 이하인데도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높은 토큰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만약 팀원 중에 개발자가 없어서 어려움이 있다면 저희가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Discord 채널에 설정 방법과 관련된 몇 개의 포스팅이 올라와있습니다. 문서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봤는데도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aggroed에게 질문을 남기시거나 개발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해보세요. 아래는 설정 값과 관련된 포스팅입니다.

https://steemit.com/steem-engine/@holger80/scotbot-parameter-manual

여러분이 선택한 각각의 인플레이션 풀에 대해 활성 사용자 1 명당 1 ENG를 스테이킹해야 합니다.


Nitrous

이제 여러분은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보유하고 싶을 것 같네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설정 비용 1,000 ENG만 내면 되거든요. steemit.com 운영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인 condenser를 fork(역자 주: 오픈 소스에서 기존 소스를 기반으로 어떤 작업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하는 절차가 fork입니다. 소스 코드를 그대로 복사하는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한 다음, 이것을 약간 변형해서 스팀 엔진 기반 토큰이 보상으로 표시되게 만들었습니다. steempeak과 유사한 형태의 웹사이트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초기 설정 이후에는 활성 사용자 1 명당 1 ENG 스테이킹이 비용으로 발생합니다. 즉, 여러분은 저희에게 월 이용 요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입니다.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ENG 토큰만 꾸준히 스테이킹하시면 됩니다. ENG 토큰 스테이킹을 중단하면 해당 커뮤니티에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 후 웹사이트와 scot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것입니다.

설정 방법은 상당히 쉽습니다. godaddy.com 같은 도메인 사이트에서 웹사이트 도메인을 구매한 다음 웹사이트를 구성하시면 됩니다. 저희가 제공하는 서버 주소를 여러분이 준비한 도메인과 연결해주세요.

링크 추가, 로고 변경, 간단한 색상 변경 등의 간단한 작업은 저희가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더 많은 변경을 원하신다면 개발비 명목으로 시간 당 100달러의 요금을 부담하셔야 합니다.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 많이 언급한 것 같네요. 기술적인 부분도 분명 중요한 요소지만 커뮤니티에서 정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커뮤니티를 악용하는 사용자 차단, 팀원 참여, 커뮤니티에서 지원하지 않는 콘텐츠, 다운보팅 기준 등 힘든 결정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프로젝트 창설 멤버, 커뮤니티 구성원, 채팅 방(discord, 텔레그램 등), 봇 운영 규칙 등 여러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꽤 오랫동안 블록체인 커뮤니티를 관리해오고 있습니다. 가이드라인 문서가 없다면 커뮤니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가 매우 힘드실 겁니다. 모든 규칙을 기록으로 남길 필요는 없지만 기본 행동 규칙은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가이드라인을 마련해놓으면 누군가 해당 규칙을 위반했을때 보다 쉽게 규칙 준수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템플릿 문서

아직 템플릿 문서(Tribe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주요 설정 값들을 보여주는 예시 문서)는 없지만 조만간 일반적인 형태의 템플릿 문서를 스팀 커뮤니티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Tribe로 구성하기 좋은 커뮤니티는?

  • 언어
  • 국가
  • 종교
  • 스포츠
  • 활동
  • 게임
  • 정당(정치)

나열하자면 끝도 없습니다. 인터넷 공간에 이야기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모인 커뮤니티는 모두 해당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글의 원문은 https://www.steemcoinpan.com/steem-engine/@aggroed/a-beginners-guide-to-starting-your-own-tribe 이며 aggroed 동의하에 번역을 진행했으며, 스팀 코인판 공식 번역가 @dakeshi가 번역을 담당했습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고생하셨습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생히셨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네엡. ㅎㅎ 감사합니다.

Congratulations @sct.han!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published your First Post
You got a First Vote
You received more than 10 upvotes. Your next target is to reach 50 upvote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