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이 있습니다. "과연 내 사업 아이디어를 사람들이 좋아할까?". 이 문제는 경험이 많은 마케터라도 언제나 동일하게 겪는 긴장과 두려움 입니다.
팻플린 웹사이트에서 발췌
일반적인 방법은 관련 사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인터뷰 하거나, 주변 사람들의 의견을 묻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사람들의 의견은 대부분 안정적이고, 익숙한 것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번도 들어본적 없는 기발한 아이디어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적인 반응은 냉소적이기 마련 입니다.
성공한 국내외의 사업가들이 사업초기에 겪었던 거절감(Rejection)들에 대한 이야기들은 한번씩들 들어 보셨으리라 생각 합니다.
거절감을 극복하고 객관적 사실을 바라보자
거절감은 사업가들의 마음을 강하게 만드는 좋은 양분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사업을 시작해 보기도 전에 기가 꺽여 시도도 해보지 못하는 종이 호랑이 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이런 거절감을 극복하고, 객관적인 사실을 근거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시험해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정 리서치 기관의 리포트를 읽거나 통계청의 자료를 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만, 여러분들의 서비스나 제품을 구매할 사용자들의 관심이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알아볼수 있는 방법은 바로 '검색데이터' - 검색엔진에 매일 입력하는 사용자들의 검색어 - 를 분석해 보는 것 입니다.
구글 검색엔진 데이터 분석 예제
구글의 검색결과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없는 데이터로 철저히 알고리즘에 의해 운영 됩니다. 즉 준비하고 계시는 사업 아이디어와 관련된 검색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사업화 했을 경우 성공할 확률이 많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키워드 데이터 분석론의 목적은 주로 "내가 원하는 키워드로 상위노출을 할 수 있는가?"에 국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검색데이터에서 보아야 하는 첫번째 사실은, 검색자들이 왜 이 검색어로 검색을 했을까? 라는 질문에 주목하는 것 입니다. 아무리 검색량이 많은 데이터라고 해도 구매전환이 원만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 검색량은 많으나, 너무 광범위한 키워드일 경우 : 대출, 사업, 선물, 배달등 검색의 의도가 너무 광범위 함
- 상위노출된 검색어의 노출경쟁이 심한 키워드일 경우, 다른 연관검색어를 선택해야 합니다.
- 시즌 키워드 : 특정 기간에만 검색량이 높은 키워드일 경우에는 연간 매출에 등락폭이 커질수 밖에 없겠죠?
- 검색량이 아주 적거나, 아예 없을경우에는 선발주자의 득과실을 따져 보아야 합니다 : 광고비, 고객교육, 장기적인 캠페인을 진행해야 하는 부담이 생김.
'사업가로서 미래를 예측한다'는 의미를 다시한번 들여다 보겠습니다. 예측은 사실을 기반으로 해야하며, 그 사실은 제품을 구매해줄 소비자의 직접적인 관심사를 아는 지식과 이해도 에서부터 출발 합니다. 따라서 구글 검색엔진의 키워드 데이터는 각 나라별 국민들의 관심사를 직접적으로 알 수 있는 좋은 미래예측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 데이터의 올바른 활용 법
검색엔진 데이터는 소비자의 마음을 읽는 도구 입니다. 첨단기술을 통해 발굴된 데이터의 올바른 활용법은 사람을 이해하는 인문적 시각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결국 제품을 구매해 주는 소비자 역시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만일 기술적인 경쟁우위를 갖는 것만이 사업성공의 경쟁력이라고 믿고 계신다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술적 경쟁우위가 사업성공의 핵심 이라면, 엄청난 기술력을 가진 IT전공자나 공대생들은 모두 성공한 사업가가 되어야 되겠지요.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물론 나름의 장점도 있고 이공계 출신의 CEO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철학도, 영어선생님, 건축기사, 체육선생님 그리고 수많은 대학 중퇴자들이 기술기반 기업의 성공의 신화를 이루어내는 경우도 굉장히 많습니다.
즉, 소비자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소비자의 불편한 점, 문제점을 해결하겠다는 사명감을 가진 사람들이 기술적 우위를 가진 사람들 보다 더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 입니다.
따라서 검색엔진 데이터(키워드 데이터)는 소비자의 마음을 읽는 도구로 먼저 인식되어야 합니다.
2018년 구글 검색시장의 변화
구글의 알고리즘은 빠른 속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불과 2년 전만 하더라도, 기술적 SEO(검색엔진최적화 기법)이 상위노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면, 2018년 구글 알고리즘의 변화는 콘텐츠 중심, 즉 소비자가 얼마나 콘텐츠를 좋아하고 의존하는가를 더욱 중점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AI기반의 알고리즘이 완성형에 다다르는 2020년이 되면, 알고리즘에만 맞는 콘텐츠는 설 자리를 잃게 되고 말 것입니다.
서비스나 제품판매를 위한 콘텐츠 제작자들이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소비자의 고통'을 아는 것과 그 필요를 채우기 위한 '서비스, 제품'의 질을 높이는데에 있습니다.
물론 글을 쓰고있는 저도 수많은 실패를 경험 했습니다. 실패는 쓰라리지만, 성공에 이르는 방법을 하나 더 찾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대부분의 실패는 소비자, 클라이언트의 목적과 마음을 읽지 못한데에서 옵니다. 따라서 겸손한 마음으로 데이터를 바라보고, 소비자의 마음속으로 들어가 보는 것이 가장 중요 합니다.
2018년 구글 SEO의 변화를 보며 더욱 크게 느끼는 것은, 콘텐츠의 양 보다, 질에 더 큰 의미를 두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 이는 구글 검새서비스의 연장선상에 있는 YOUTUBE의 광고계정 정책변화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누구나 쉽게 광고계정을 만들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구독자 1,000명 이상의 계정 그리고 4,000시간 이상의 View를 가진 좋은 콘텐츠 제작자에게만 광고계정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해석해 보면, '소비자들이 원하는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라!' 라고 요약될 수 있겠습니다.
저는 이것을 HUMAN SEO(소비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SEO)라고 부릅니다. 물론 기술적 SEO도 무시해서는 안됩니다만, 더 중요한 것은 "내 콘텐츠 - 블로그 글, 비디오, 랜딩페이지, 웹사이트 - 가 소비자들의 필요를 진정으로 만족시키고 있는가?"에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겁니다.
사업가에게 미래예측이 필요한 이유
미래를 예측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4차 산업혁명, AI등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요소들은 너무나도 많습니다. 하지만 결국 시장을 움직이는 힘은 그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누군가 국가의 기반은 국민이라고 했었지요. 마찬가지로 시장의 기반또한 이 논리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구매전환율 기법은 특정한 최첨단 기법이 아닙니다. 그 정답은 소비자에 있으며, 검색엔진 데이터는 소비자의 마음을 읽는 훌륭한 도구가 됩니다. 검색엔진 데이터를 정확히 이해하고, 소비자를 섬기는 콘텐츠를 생산하는 일이야말로 사업가를 위한 진정한 미래예측 방법론 입니다.
혹시 미래를 바꿀 아이디어를 마음속에 품고만 있지는 않으신지요? 이제 담대하게 아이디어를 세상에 내놓으실 때가 왔습니다. 이제 '아~ 저거 내가 생각했던 아이디어 인데!'라는 탄식을 접고 실행에 집중하시는 것은 어떨까요?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Hey @zosh, great post! I enjoyed your content. Keep up the good work! It's always nice to see good content here on Steemit! Cheers :)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Congratulations @zosh!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made your First Comment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