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tokenpost.kr/terms/14199(출처)
2016년 4월이니까 22- 16= 6년 정도 된 플랫폼
2016년 블록체인 기반의 sns로 창작자가 자신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독자로부터 업보팅을 받거나 독자가
업보팅을 해도 암호화폐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됨
스팀의 차별점
: 기성 웹 플렛폼과의 차이점은 컨텐츠 제작을 통해 플랫폼이 성장을 하면 이 성장에 대한 보상이 투자자는 물론
사용자에게도 돌아간다는 것이 큰 차이점. 이런 비즈니스 모델은 사용자에게 더 큰 보상이 들어가기 때문에
더 많은 콘텐츠 제작으로 이어진다
스팀명성도 시스템
스팀 내 명성도는 id옆에 (xx)
스팀합의 알고리즘(DELEGATE PROOF OF STAKE, 위임지분증명방식)
DPOS는 쉽게 말하면 해당암호화폐를 갖고 있는 수량만큼 블록을 위임(대리)해서 생성할 수 있는
사람에게 투표하여 상위 특정 인원 수만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전체 노드에서 검증하는 것 보다 신뢰를 받는 몇몇의 노드가 생성하는 것이 더 빨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스팀에서는 블록을 생성하는 사람을 증인이라고 하며
스팀을 스팀파워로 전환한 경우에 한 해 한 계정당 30명의 증인 후보에게 투표가능하다
스팀코인 수량이 많을 수록 해당후보가 메인증인으로 선출될 확률이 높다
스팀통화 시스템
스팀: 거래소로 전송하여 현금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스팀파워로 전환할 수 있다.
스팀파워: 거래소로 전송이 불가하다. 현금화를 위해 스팀으로 파워다운을 진행해야 한다.
파워 다운의 기간은 4주가 소요되며 1주에 4분의 1이 스팀파워코인에서 스팀코인으로 바뀐다.
이러한 스팀과 스팀파워 시스템 덕분에 시장으로 풀리는 스팀의 양은 상대적으로 작으며
이는 가치를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