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골사람입니다.
오늘은 팜에서 온 업데이트를 올려보겠습니다. 최근의 비트코인 가격에 대하여 거품이 터졌다는 둥 말이 많은데, 그 주장을 하는 사람들의 주장이 잘못되었다고 합니다.
처음 듣는 이야기들이 나오기에 흥미롭더군요. 무엇보다도, 지금까지 사람들이 그렇게 인용하는 "튤립버블"에 관한 이야기는 좀 ... 충격적이다(?)라고 생각이 될 정도입니다.
사람들이 버블을 이야기하면, 그것은 터질 것이고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역사적으로 그런 것이 있긴 했나요? 우리가 아는 닷컴버블을 생각해 보자구요. 닷컴버블이 터졌다면, 버블이 터졌기에 가치가 0으로 내려가야 합니다. 그게 아니라구요? 그럼 버블이 터졌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요? 가치가 떨어졌다구요? 그렇다면, 아마존 주식은 왜 이렇게 비싼것입니까? 구글은요? 아마존이나 구글은 닷컴 주식이 아닌가요?
일본의 예를 들어볼까요? 일본의 부동산버블이 터졌다고 그러죠? 그럼 일본이 망했나요? 아니라구요? 그게 버블이 아니라 가치가 떨어진 것이라구요? 그럼, 왜 아직도 일본은 부동산 가격이 그렇게 비싼 것입니까? 일본 경제가 필리핀보다 못한가요? 맥시코정도 됩니까?
말 그대로에 따르면 거품이 터졌다라는 말보다, 거품은 사라졌다가 말이 되는 것 같습니다. 즉, 거품은 사라지고 액기스만 남았다는 말입니다. 이게 정확한 표현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더 '후끈' 달아오를 만한 그런 표현을 좋아하고 자극적인 표현을 좋아하고, "그것 봐라 내가 말한대로지?"라고 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런데...
비트코인이 가치가 0으로 내려간적이 있나요? 버블이다 버블이다 라고 말하는데, 이 버블이 도대체 거의 10년에 가깝게 계속되는 버블은 지금까지 역사상 존재했던 버블인가요? 아니면, 버블이다라고 말하고도 가치가 다시 올라가는 버블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이런 내용들입니다. 출처는
Is Bitcoin Being Manipulated? 입니다.
언뜻 보면 월 스트리트 저널의 Andy Kessler가 왜 비트 코인의 2017 년 유행이 1,368 %상승한 것이 "진짜"가 아니다 라며 설득력있게 그 사례를 제시한 것 같습니다.
일요일에 발행된 기사에서 Kessler는 University of Texas의 연구를 인용하며 비트코인의 2017년 가격상승의 절반에는 가격조작이 그 뒤편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연구는 Tether (USDT)에 관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나는 이렇게 말합니다.
“[Tether]는 시장의 모든 Tether에 대해 어딘가에 금고에 실제 달러 지폐가 있음을 주장한다.
하지만, 나는 이것에 대해 분명히 하고 싶다. 나는 그 주장을 절대 믿지 않는다. 그래서 Tether라는 토큰을 추천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나는 Tether가 주장하는 만큼의 증거를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테더에 대한 불안감을 공유하지만 ... 최근에 발행한 25억 달러 상당의 동전이라는 것이, 뒷받침하는 현금 보유액이 25억 달러이기에 25억달러라고 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그냥 마음대로 자신의 돈을 인쇄하고 있는 것입니까?
이것에 대해서는 아무도 모릅니다.
분권화된 혁명이라는 것은 "신뢰할 수 있는" 제3자를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Tether와 같은 동전은 "신뢰할 필요 없는 (trustless)"이라는 방법을 찾지 못하면 실패할 것입니다.
신뢰없는 기술을 사용하면 거래하는 사람을 알거나 신뢰할 필요가 없습니다. 블록체인은 모든 트랜잭션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확인하므로,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신뢰를 구축합니다.
텍사스 대학교 보고서로 돌아가 봅시다. 실제 달러로 뒷받침된 것보다 더 많은 Tether가 발행되었음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보고서는 Tethers가 비트코인 가격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조작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Kessler의 기사는 텍사스 대학의 연구를 토대로, 비트코인이 1720년 South Sea Company에 의한 거품과 같은 대차대조표를 중심으로 한 거품과 같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는 자산을 일시적으로 하나의 대차 대조표에서 다른 대차 대조표로 옮기는 것이 거품을 부풀게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돈이 다 떨어지면 거품이 터져버리게 됩니다.
마치 진실인 것 처럼 들립니다. 하지만, 이 사람은 정말로 정밀조사를 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Kessler는 America Online의 닷컴 광고 정책이 닷컴 버블이 꺼지는데 일조했다고 하는데, 나는 이 사람의 글을 세번이나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닷컴 버블은 5조 달러에 달했습니다. 한 회사의 광고 방침에 5조 달러에 달하는 가치가 파괴되었다라고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는 또한 악명 높은 네덜란드 튤립 매니아를 1636-1637년 대차대조표 조작으로 비난했습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설득력이 없습니다. 그가 실제로 연구를 했다면 튤립 매니아는 일종의 신화같은 이야기라는 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대차대조표 조작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어요.
Smith Sonian Magazine에 따르면, 그 위대한 튤립 매니아에 관한 이야기는 아주 심각한 금융위기에 관한 이야기 보다 더 환상적인 소설이라고 합니다.
윗 글의 요점을 말하자면, 튤립 버블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누구에 의해 쓰여졌냐는 것입니다. 당시 튤립열풍으로 암스텔담 뿐만 아니라 네덜란드 전체에 금융위기가 왔다라고 하고 있는데, 이것은 거짓이라고 합니다. 그 근거는 첫째 당시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중에 하나였습니다. 그 이유는 네덜란드가 유럽무역에 아주 큰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설립되고, 각국의 물품이 네덜란드 항구를 통해서 들어오기 시작했죠. 그래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네덜란드가 됩니다. 그런데, 튤립때문에 네덜란드가 흔들렸다면, 그 이후 회복하는데 시간이 걸렸어야 했는데, 그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두번째, 튤립버블에 관한 글을 쓴 사람들은 역사적인 고증을 거치지 않았습니다. 당시 사회나 경제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세번째로 가장 중요한 문제점, 튤립버블에 관한 이야기는 당시 네덜란드의 개신교파 칼빈이즘을 따르는 사람들이, 그 당시에 네덜란드의 경제 붐으로 부유하게 되자 소비지향주의를 비난하고 하나님의 뜻과 그 교훈을 전하기 위해서 “초" 과장시킨 이야기라고 합니다. 개과장이라고 할까요? ㅎㅎ 어쨋거나, 튤립에 대한 베팅은 있었지만, 모두가 그렇게 망할 정도로 큰 피해를 불러온 것도 아니고, 가난한 사람들이 그렇게 튤립베팅에 뛰어들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현재 돌고 있는 튤립버블에 관한 이야기는 네덜란드 개신교들이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를 쓰고 있다는 것입니다. 경제학자고 신문기자들이고 … 튤립버블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은 역사적인 사실에 대해서는 완전히 무시한 상태에서 무지한 정보만으로 썼다는 말이죠.
부연설명하자면, 칼빈은 스페인의 세력이 유럽 전체에 퍼졌을 때, 유럽은 정말 풍요로왔었다고 합니다. 이에 칼빈은 사람들의 과소비(?)를 싫어했고, 스페인 이곳 저곳에서 벌어지 한마디로 '돈지랄'을 싫어했다고 합니다. 이것이 칼빈만의 비판은 아니었죠. 하고자 하는 말은 개신교들은 근검절약과 열심히 일하는 것이 하나님의 은혜에 답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왔고, 그러한 생각으로 사람들을 '교화'시키고자 많은 교훈적인 이야기를 했다고 합니다. 프랑스 출신이지만 그가 주로 생활했었던 곳은 스위스 제노바이고, 네덜란드는 칼빈의 사상이 가장 쉽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지역이었죠.
우리가 조금 더 비판을 한다면, 찌르면, Kessler의 버블이론에는 더 많은 구멍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Kessler가 작년의 비트코인 가격에 대한 것에 대해 주장한 것이 옳다면, 그렇다면 지난 2011년, 2013년 및 2014년의 ‘소위’ 비트코빈 버블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그렇습니다. 지금까지 비트코인 ‘버블'이라고 주장하고 그것이 터졌다라고 말한 것이 네번이나 됩니다.
2011 년 거품 "팝": $ 32 ~ $ 2 :94%하락
2013 년 거품 "팝": $230 ~ $70 : 70 % 하락
2014 년 거품 "팝": $ 1,200 ~ $ 173 : 85% 하락
2018 년 거품 "팝": $ 20,000 ~ $ 5,800 : 지금까지 71% 하락
Kessler가 2017년에 조작으로 거품이 생겼다는 것을 공격한다면 왜 2011년 "거품", 2013년 "거품"및 2014 년 "거품"을 왜 공격하지 않을까요?
이 모든 움직임이 조작된 것입니까?
그랬다면, 내가 본 것 중 가장 독특한 버블조작입니다. 즉, 만약 당신이 비트코인 가격의 이동점마다 매번 최상점에서 구입하였다면, 가장 오래된 최고가격에서 가장 최근의 최고 가격까지를 평균을 냈을 때, 9.8배의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모든 움직임의 최고점에서 돈을 벌 수 있다면, 도대체 얼마나 많은 거품이 있어야 할까요?
그건 나도 모르겠습니다.
Kessler는 시장 ‘변동성’을 시장 ‘거품’과 혼동하고 있습니다. 휘발성이 있기 때문에 거품이 자동으로 거품이되지는 않습니다; 또는 조작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Bitcoin은 휘발성이지만 ... 또한 매우 가치가 있습니다.
사기성 자산은 0이됩니다. 비트코인이 진짜 버블이었다면, 이렇게 높은 최고치와 높은 최저치를 만들지 못합니다. 0이 되어야 합니다.
Bitcoin은 사기성 자산이 아니라 휘발성이 매우 큰 자산입니다.
그래서 내 독자들이 자신의 위치 크기를 작게 유지할 것을 항상 권장합니다.
(항상 그렇듯이, 거래당 $ 200-400의 투자금을 소규모 투자자들에게 권하고, $500-1,000 정도의 투자금을 대규모 투자자들에게 권합니다. 이것을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 통화와 같은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조작에 대한 Kessler의 핵심 주제로 돌아가 봅시다 ...
Tethers의 발행이 비트코인 시장을 크게 조작했을까요? 그럴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확실한 것인지 사실 나도 모릅니다.
그런데, 이것이 정말 장기적으로 중요한 것일까요?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실, 때로는 나쁜 사람들이 훌륭한 회사와 훌륭한 기술을 선택합니다.
과거 초기 철도주식을 조작하는데 활약했던 투기꾼이 있습니다. General Motors 초기 창업자 Billy Durant는 일상적으로 회사주식을 조작했습니다.
이러한 단기적인 결함에도 불구하고 철도 및 자동차 산업이 궁극적으로 창출한 장기적인 가치를 감소시키지 못했습니다.
한편, 우리는 이 모든 조작이라는 혼란 속에서도 암호화폐와 비트코인에 대한 채택이라는 증후를 계속 보고 있습니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은 최근 네가지 암호화폐를 추적할 수 있는 지수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습니다.
Goldman Sachs는 비트코인 트레이딩 데스크를 시작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일본의 노무라 홀딩스 (1000억달러 규모의 금융회사)는 Komainu라는 컨소시엄을 만들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더 있습니다.
2002년까지 닷컴과 닷컴간의 충돌로 인해 나스닥은 80% 하락했다. 2002년 벤처 캐피탈 (VC) 투자는 90%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위의 사정을 암호화폐 시장과 비교해보세요.
현재 암호화 시장은 70 %가 줄었습니다. 그렇다면, 새로운 VC 거래에 대한 자금 지원이 마를 것이라는 것이 논리적인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VC 투자는 작년에 비해 이미 두배 증가했으며, 연말까지 4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요한 점은, 조작, 정부의 간섭, 거대한 변동성에 대한 소식이 있더라도 기관자금이 떼지어 암호화폐시장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이 버블이 아니라는 증거도, 버블이라는 증거도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사실 암호화폐가 진정 버블인지는 조금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실 저는 버블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당한 자산을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기는 합니다만....
아무튼 암호화폐 시장이 장기적으로는 전망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모든 암호화폐가 좋은 것은 아니고 그 중에서 극히 일부일 테지요.
장기적으로 살아남을 코인 중에 비트코인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앞으로 10년 이상 흘러야겠지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저는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이런 식으로 계속 가는 것이 아닐까...즉, 갑자기 올랐다가 60~70%가량 떨어지고, 그러다가 갑자기 올라갔다가 또다시 떨어지고...이런 식으로 2~3년 주기로 반복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요.
좀더 성숙해져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저도 그럴 것 같은 생각이 들어요.
비트코인이 점고점을 돌파하는 것도 쉽지는 않은 것 같거든요.
이미 금 가격의 10%를 대체한다고 생각하더라도 그렇습니다.
아무리 비트코인이 안전자산이라고 하더라도 금을 모조리 대체할 수준은 되지 못한 것 같습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금을 대체할 가능성은 1도 없다고 봅니다 ㅎㅎㅎ 그 역사가 성서역사보다 더 긴 금을 어떻게 10년이 안된 비트코인이 대체할 수 있겠어요 :)
금은 그 자체로 투자 가치를 갖고, 다른 여타의 투자들과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투자품목중에 하나가 비트코인일 뿐이죠 :)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그런 의미에서 비트코인은 전고점을 뚫고 올라가기가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비트코인이 새로운 가치저장 수단으로 부각이 되어야 하는데, 새로운 가치저장 수요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는 한 기존의 수요를 금과 나누어야 하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비트코인이 많이 오를 수 있지만, 그것은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수준에 비례할 뿐이지, 과거 비트코인이 폭등했던 정도로 더 오르기는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따라서 비트코인이 더 오르기 위해서는 단순히 가치저장 수단으로 기능한다는 것보다는 실제 생활에서 화폐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전제에서 가능할 겁니다.
하지만 화폐로서 사용된다는 것은 기존의 중앙은행이 절대로 허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지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hermano cuando te vas a escribir un pos en ingles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항상 저희가 바라보지 못하는 관점에서 올라오는 글을 잘 번역해서 올려주시니 너무 감사할 따름입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저도 배워가는 중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좋은 글 감사합니다. 내용에 대해 댓글로 달 수준이 되지 않아 "감사합니다"만 표현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고맙습니다 ^^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세상에 버블 아닌 게 몇 개나 되나요. 금도, 화폐도, 주식도, 부동산도 다 버블. 기업도 대부분 부채로 구성되어 돌아가는 거고. 버블 없으면 자본주의 경제는 멈춰서겠죠. 각각의 버블에 대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얼마나 오래동안 그 가치에 동의하느냐의 문제일 뿐.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저는 세상에 버블이 아닌 것은 없다라고 생각하는 쪽입니다. 그런데, 누구에겐 그 버블이 성장이라고 포장되어 있고, 또 다른 누구에겐 그 성장이 말대로 버블인 것이죠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