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n에 대해 알아보자

in tron-upbit •  yesterday 

개발자로 일을 하면서 업무와 별개로 최근에 blockchain 쪽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Blockchain에 대한 공부를 수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암호 화폐 쪽도 접하게 되었고, 투자도 조금씩 수행하고 있는데 Tron 도 그 중 하나다. 암호 화폐들은 각각 추구하는 이상과 가치가 있으며, 고유한 생태계가 형성 되어 있다. 필자도 처음에는 중국과 관련된 암호화폐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Tron에 대해 공부한 정리해보고자 한다.

Tron 이란?

image.png

Tron이란 기본적으로 분산화 된 인터넷을 위한 인프라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2017년에 저스틴 선(Justin Sun)에 의해 최초로 TRON DAO가 설립되고, 2018년에 Tron을 위한 Mainnet이 구성되었다. 기존에 Ethereum 네트워크에서 ERC-20 표준을 준수한 TRX 토큰이 사용되었었는데, Mainnet 구성을 통해 기본적인 인프라가 갖춰진 후, Tron 네트워크의 TRX-20 토큰으로 스왑 과정이 이뤄졌다. 현재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TRX는 이 Tron 네트워크의 토큰이라고 보면 된다.

image.png

Tron을 창시한 저스틴 썬(Justin Sun)은 꾸준히 Tron을 활성화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2018년에 BitTorrent를 인수를 통해 세계 최대의 분산화 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대부분의 Blockchain 생태계가 P2P 네트워크 기반으로 동작한다는 점, BitTorrent는 Blockchain이라는 기술이 주목받기 이전부터 P2P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대중적인 서비스라는 점을 감안해봤을 때, BitTorrent 인수를 통해 분산 네트워크 확산에 엄청난 시너지를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ron의 기술

Tron은 몇몇 암호 화폐와 달리 별도의 mainnet이 존재하고, 세계 최대의 분산화 된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삼는다고 앞서 언급했다. 이런 목표를 뒷받침하는 기술과 특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Tron과 Ethereum을 비교하는데,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구조지만 Tron만의 차별점이 있다.

  • DPoS(Delegated Proof of Stake)를 통한 합의
    현재 가장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암호 화폐로는 Bitcoin과 Ethereum이 있다. 둘 다 역사가 깊고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낮은 TPS(Transaction Per Second)가 단점이다. PoW(Proof of Work)를 사용하는 Bitcoin의 경우, 기본적으로 10분에 1개의 Block이 생성되도록 알고리즘이 구성되어 있으며 Block 크기가 1MB로 고정되어 있어 많은 Transaction을 포함할 수 없다. 이로 인해 TPS가 5 ~ 7정도로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Ethereum은 Bitcoin PoW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PoS(Proof of Stake)라는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PoS는 Ether를 소유한 노드에게 블록 생성 및 검증의 기회를 부여해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PoW 보다는 높은 처리량을 보여 TPS가 15 ~ 30정도 된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빠르다고는 볼 수 없는 수준이며, 다른 다양한 mainnet에서 이를 개선점으로 내세운다.
    Tron은 DPoS라는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는데, PoS와의 차이점은 블록 생성을 하는 대표 노드를 사전에 미리 정해두어 높은 처리량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Tron은 DPoS를 통해 27개의 대표 노드를 선정하고, 대표로 선정된 노드들이 블록 생성에 관여한다. 이를 통해 이론상 TPS가 2,000 정도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한다.
    image.png
    (reference: ResearchGate -Node differences between PoS and DPoS)
  • 낮은 수수료
    Ethereum의 경우 초기에 네트워크 혼잡도가 높아지면 gas price가 높아지면서 transaction fee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나 NFT 거래나 DeFi 서비스 붐이 발생했을 때 이는 심각한 문제가 되어 EIP-1559 등의 개선안이 도입되기도 했다. Tron은 energy와 bandwidth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transaction fee를 산정하는데, 사용자는 TRX(Tron의 토큰)를 스테이킹하여 transaction fee를 감당할 수 있다.

  • 호환성
    Tron에서는 TVM(Tron Virtual Machine)을 통해 컴파일된 Smart Contract의 바이트코드가 실행된다. 이는 Ethereum의 EVM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EVM과의 높은 호환성을 통해 사용자가 Tron으로 유입하는데 낮은 진입장벽을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추가로 Smart Contract 작성에는 Solidity를 활용하여 기존의 DApp 개발자가 서비스 개발을 위해 추가로 학습할 필요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Tron의 생태계

Tron은 앞서 말한 비전과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단순히 특정 분야(ex) AI, 게임, NFT 등등)에만 제한 된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모든 분야에 걸쳐 분산화 된 생태계를 구축하려고 하고 있다. 인프라, Defi, nft, cross-chain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 공식 Trondao 링크를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https://trondao.org/ecosystem/

개인적인 생각

Tron은 발표 당시에 여러 단계의 로드맵을 공개했다. 탈중앙화 생태계의 확산이라는 목표 아래 각 단계에서는 자금 조달, 특정 생태계의 활성화 등 뚜렷한 목표를 갖고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듯 하다. 기존에 중앙에 모든 권한이 집중된 시스템들에 대해 회의적이고, Blockchain의 탈중앙화라는 개념에 매력을 느껴 공부를 수행하고 있는데, Tron은 이런 부분과 잘 부합하는 시스템인 것 같다. DApp 등의 서비스도 개발 프로세스나 도구가 다른 mainnet과 크게 다른 부분이 없어 호환성이 좋고, Tron의 mainnet도 java로 개발되어 있어 나중에 노드 운영도 시도해볼 만한 것 같다.
또한 이전의 ICO 붐 때 많은 암호 화폐 및 블록체인 서비스들이 개발자가 중간에 탈주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 입장에서 난처한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Tron은 저스틴 썬이라는 영향력 있는 인물이 Tron을 창시한 2018년부터 생태계 유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꾸준하게 힘을 쏟고 있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