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의 실제를 다 읽어버려야지 하는데 생각이 많다. 책이 발간된 65년 전과 현재가 무엇이 같고 다른지 생각해보고, 무엇이 같은지 생각해 본다. 내가 마주하는 상황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맥락이 무엇이 이어지고 무엇이 다른지 또 생각해 본다. 특별하게 다른 생각은 없고, 공감지수만 올라간다. 그러다 보니 책을 읽는 것이 참 더디다. 자꾸 광장의 한 구절이 생각나는 이유다.
그 차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대책 수립 방법에 필요한 능력이 있는가?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보니 마침 해외영업, 영업 직군들이 좋아하지 않는 9월이다. 찬바람이 나고 시원한 가을바람을 즐길 시간도 촉박하다. 실적이라는 성과를 숫자로 보면 직원들 말처럼 개짜증이 난다. 사업이란 입장에서 바라보고 그 결과가 숫자가 된다고 생각하면 희망, 도전, 반성, 재도전을 생각한다. 자기를 돌아보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동기부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왜 목표를 만들고 도전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볼 대목이다. 그 방향이 당장 코 앞의 일을 해결하는 속도보다 중요하다. 목표와 현재의 차이를 이해하며 방법을 찾는 일이 전략 수립이다. 전략이 자주 바뀐다면 목표가 갈지자 행보를 할 가능성이 높다. 성과란 최소한의 일관성을 갖고 태어난다. 삶도 마찬가지다.
당연한 말의 의미가 어떤 일을 하는 중에는 머릿속에 들어오지 않는다. 자신이 하면서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시절이 있고, 이것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사람도 있다. 어떤 일을 잘 하게 된 사람이 고난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어려움을 잘 전달할 개연성이 있다. 태어나면서부터 잘 하는 일은 타인에게 잘 전달하기 어렵다. 왜 못하는지 당사자는 이해하지 못한다. 뛰어난 능력을 갖은 선수가 성공적인 감독이 되는 비율이 낮은 이유다. 일과 삶도 다르지 않다. 어떤 과정에는 벽이 다가오는 시기가 있다. 그 벽을 인정하는 순간부터 그 분야의 세계는 딱 그 수준을 넘지 못한다. "여획"이란 말을 통해서 삶을 살아가면 획을 긋고 한계를 짓는 일을 경계하는 이유다. 동시에 나의 분수, 분수를 넓히기 위한 활동이 꼭 공부가 아니라도 필요한 이유다.
그래서 교육은 중요하다. 학교 교육과 제도가 세상을 살아가는데 다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어린 학생들의 분야와 잠재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포괄적인 분야를 두루 넓게 가르친다. 그런데 학생들에게 선택의 여지가 좁은 방식은 아쉽다. 주입식 교육은 단기적인 부분의 성과를 내는데 효과적이다. 눈가리개를 해서 딴 곳을 보지 못하게 한다. 가기 싫은 곳이 되면 서로에게 골치 아픈 시스템이 된다.
가리개가 사라진 자유로운 세상이 어려운 것은 내가 아는 방법은 남들도 다 아는 것이다. 그리고 배운 것을 만지작거리며 체험하고 상처를 받아내며 데이터를 모은다. 만약 그들이 어떤 현상에 호기심을 갖고 관찰하고 판단하며, 나름의 생각을 갖고 준비하는 사고 훈련이 되었다면 배운 지식과 정보 습득을 통해서 더 잘 될 것이다. 창의력이란 호기심이다. 호기심이 행동이 되려면 어느 정도 주의깊에 시간을 갖고 바라봐야 한다. 관심이 없는데 뭔가 새로운 일이 나올 리 없다. 그렇게 호기심이 동기부여가 되고, 전문성을 쌓아 성과를 내는 몰입의 과정에서 창의력은 만들어질 수 있다. 타고 나는 분야와 다른 학습을 통한 창의성이다.
교육은 중요한 동시에 새로운 길을 찾아보는데 편견이 될 때도 있다. 세상이 단면만 가르치고 그들에게 핸디캡을 얹어주는 사회가 발전할 리 없다. 블로그에 차고 넘치는 젊은 청춘들의 이직, 퇴직의 글을 볼 때마다 그런 생각이 든다. 슬직(슬기로운 직장생활)이란 글과 활동을 보면 그들의 고군분투에 응원도 보낸다. 전문성을 쌓고 나면 결국 나의 전문성이 문제가 아니라 많은 사람들과 함께 무엇을 하는 것이 문제다. 전문성이 안 되는 이유 100가지 찾는데만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내려놓고 사람을 보고 대책을 찾아야 한다. 그때에도 전문성은 편견이 될 수 있다.
지난주 일본 고객의 검사가 있었다. 처음 출고되는 제품을 고객이 지정한 검사자, 고객들 입회 아래 검사를 한다. 우리의 검사기준이 있고, 고객 요구사항이 추가된다. 내부 검사 기준이 세계에서 통용되는 견본 검사 기준임에도 고객은 될 때까지 전수검사를 요구한다. 바쁜 분기 마감에 참 밉상이다. 요구사항의 과도한 부분 때문에 한바탕 소란도 있었다. 일본의 문화를 접하면 높은 의식 수준에 감탄하고, 집요하고 그 집요함이 자신의 면피로 연결되는 과정을 보면 놀랍다. 그렇지만 그 집요함이 성과를 올리는 부분으로 연결되면 아주 섬세하고 성과도 난다. 이런 생각을 하다 센서와 데이터를 통한 제어계측, 패턴을 통한 자동화(AI)가 주를 이루는 4차 산업이 양성화되면 일본도 별수 없겠지라는 생각도 한다.
검사가 끝나고 서로 지적사항에 대해서 확인한다. 일본이란 사회가 요구하는 시스템이란 한국 사람들이 살아가는 시스템과 비교하면 비인간적으로 꼼꼼하고 빈틈이 없어 보인다. 그래서 성과와 비효율이 존재한다. 개인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그렇게 돌아가는 문화가 정착된 것이다. 서로 합의된 개선사항에 대해서도 자꾸 why를 붙이며 더 좋은 방법을 찾아보려고 한다. 그런 태도와 자세가 대단함과 짜증의 희비쌍곡선이 된다. 우리도 한다. 차이라면 일본이 조금 더 한다. 우리는 '작작 좀 해라'가 벌써 나왔는데 몇 번을 더한다.
4차 산업이 다가오면 일본이 별수 없겠지라는 생각에 다시 의문이 들었다.. 기계가 자동화되어 모두 사용하고, 인간이 why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문명은 정체될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철학자의 말처럼 인간은 생각하는 존재다. 그들이 자율 주행하는 클라우딩 시스템을 지배할 것이다. 사람을 지배하던 시대에서 기계를 지배하고, 도와주고, 기계에 통제당하는 세상이 된다면? 인간을 바라보는 인문학의 틀이 제도가 되고, 기계 운영의 한계와 범위를 설정해주는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전문성이란 인간의 성과와 더불어 인간의 존재가치는 인간 스스로에게 있다. 그것이 문명이고 인간은 그렇게 살아왔다. 기계 발전의 발목을 제도가 잡고 있고, 제도란 인간과 인간 문명을 보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이 많다던 사람이 있었다. 사람들은 비행기 타고 다녀보니 세상이 넓지도 않고,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벌써 세상에 나와서 할 일이 없다는 푸념과 농담을 한다. 그럼에도 세상에는 매번 새로운 것들이 나와서 사람들을 열광하게 한다. 물리적인 세상이 늘어나는 일은 없겠지만 내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안목에 따라서 세상의 크기는 유연하다. 내가 유연하지 못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