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Hide Resteemswebtoonistar (32)in kr • 7 years ago내 ID는 강남미인 : "자연스러움"이라는 부자연스러운 말우주의 기본 원칙이 한가지 있다면, 그건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우주의 원칙이 완벽함이라면, 나도, 당신도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얼마전 작고한 스티븐 호킹 박사의 말이다. 이 말에 이토록 어울리는 작품이 있을까. 바로 기맹기 작가의 데뷔작 이야기다. 이 작품은 네이버 요일 순위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었던 작품으로, 대중의…webtoonistar (32)in kr-newbie • 7 years ago쌍갑포차 : 한 서린 우리네 삶배혜수 작가의 는 한국의 문화와 신화를 절묘하게 재창조해 만들어 낸 가상의 세계인 '그승'과 한국전쟁 전후의 한국을 배경으로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독특한 정서인 '한(恨)'을 풀어내는 만화다. 2017년 대한민국 만화대상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한 이 작품은 작가의 데뷔작이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는 바로 '그승'의 존재다. 이승과…resteemedcomix (25)in comics-censorship • 7 years ago미국과 일본 만화는 어떻게 검열의 시대를 돌파했을까? 2. 미국편이 글은 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20세기에 들어선 미국에서 우스개 만화들이 신문에 연재되었다. 바보스러운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우스꽝스러운 행동은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고, 인기 연재 만화는 책으로 출간되기도 했다. 신문 연재만화와 이를 모은 만화책의 인기가 올라가며 글씨와 그림이 혼합된 형태가 올바른 독서를 해치는 저급한 형식이라는 비난과…resteemedcomix (25)in comics-censorship • 7 years ago미국과 일본 만화는 어떻게 검열의 시대를 돌파했을까? 1. 일본편만화는 근대매체로 출발할 때부터 노동자, 이민자, 어린이들을 위한 저렴하고 쉬운 (싸구려) 매체였다. 만화가 근대매체로 탄생할 때부터 보수적 중산층은 새로운 매체를 싫어했다. 저질, 타락 같은 단어들이 동원되었고, 보수적인 중산층을 대변하는 지식인들은 만화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고, 실천했다. 중산층 지식인들은 윈저 맥케이처럼 그들은…webtoonistar (32)in storyofconstanze • 7 years ago콘스탄쯔 이야기 : 조개무덤으로 해일을 막을 것이다.김민정 작가가 네이버에서 연재한 가 나온지 벌써 10년이 됐다. 2008년 연재를 시작한 작품은 정확히 100화로 연재를 마쳤다. 작가의 설명에 따르면, 이 작품은 팩션이다. 김지민이라는 가상의 성폭력 생존자가 학창시절은 물론 평생에 걸쳐 받았던 갖은 성폭력들을 고발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담고 있다. 그러면서 작중에 등장하는 작가는 생존자인 김지민을 작품…webtoonistar (32)in webtoon • 7 years ago며느라기 : 평화는 갈등의 부재가 아니다.는 2017년 '오늘의 우리만화상'에서 문체부 장관상과 만화가협회장상을 동시에 수상한 작품이다. 만화계에 중요한 작품이라는 얘기다. 그동안 SNS에 정기적/비정기적으로 연재했던 만화들은 많았지만, 이 웹툰만큼의 파급력을 가진 작품은 드물었다. 뿐만 아니다. 대부분 SNS에서 인기를 얻은 작품들은 플랫폼의 러브콜을 받고 정식 작품으로 데뷔했다. SNS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