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

in feminism •  5 years ago  (edited)

E09EDF3C-63A5-4A89-B434-44FA1733EFA9.jpeg
여자는 항상 사회적 약자, 남성은 항상 강자라고 보는 피라미드

EAB723D4-B037-469F-8C9A-17476871EC52.jpeg
남성 자체를 기득권층으로 보는 십사일반 삽화

레디컬 페미니스트들은 모든 남성을 기득권층으로 범주화 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사회구조의 원인을 알지 못하고 남성 정체성 탓한 것이다.
정체성 만으로 메이저리티, 마이너리티로 따지니 저런 것이다. 즉, 이들은 이저리티와 마이너리티를 정체성으로만 파악해 생각보다 종류가 다양하다는 사실을 망각한 셈이다.(정체성 정치는 특정 대상이 모든 억압을 겪는 아닌데도 불구하고 특정 대상에 대해 모두 억압 받는다고 범주화 하기 쉽다.)
사실 남성 정체성이라도 여러가지로 복합적으로 결합 될 수가 있고 그 정체성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느냐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어떤 정체성이 사회적 상황에 대해 제각각인 사회적 지위를 갖는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에 있다는 것이다.
다만 상호교차성은 매우 난해하다는 것이 함정이다.
또 상호교차성이 완전한 정체성 정치 타파로 이어지지 못한 것도 한계이다.
심지어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같이 하마스(hamas) 같은 이슬람주의자를 동정하는 자도 있는 거 보면 답이 나온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