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로터리 펀더 시스템 [수익성 개선안 투표] 및 시뮬레이션

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로터리 펀더 시스템 [수익성 개선안 투표] 및 시뮬레이션

in funder •  8 years ago 

그렇다면 저작권 침해 대응과 같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일이 15%로 바뀐것인가요? 이 부분에 대해서도 추후에 논의를 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찬반 투표가 이해 안되는 부분도 많은 것 같고 전체적으로 정리 안된 상태에서 하는 것에 대해서는 사실 의문이 듭니다.

개발자가 만든 플랫폼에서 개발자가 수익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적극 동의합니다. 하지만 20,000SBD가 모집되어 있는 상황에서 50%의 비용이 개발비용으로 매각된다고 하셨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 어느정도 가이드 라인이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사실 개발팀이 지분을 가진다면 매각 비용이 줄어들어 투자자들의 수익화가 조금 더 빨리 진행되거나 투자자들이 납득할 정도의 무엇인가가 나와야 할 것 같은데 사실 지금까지에 글에서는 그런것들이 보이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당장의 개선안에 있어서 찬반을 받는것이 아닌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판을 만든 뒤에 이야기를 나눠보는게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됩니다. 무슨 내용인지 정확하게 이해되지 않는 상황에서 찬반 선택은 대부분 여론에 휩쓸려 나가는것이 보편적이라고 생각되서 하는 이야기입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50%의 개발비용은 웹과 앱을 만들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들어가는 인건비입니다!


저작권 침해 대응과 같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일 부분은 17%로 유지됩니다.
(위 시뮬레이션 코드상에서는 누락되어버렸군요. 당첨금이 조금 변동될 수 있겠습니다.)

줄이게 된다면 당연히 이부분에 대해서도 찬반 투표가 발생합니다!

수익성만 추구하면, 커뮤니티의 동의를 받기 어렵고,
공익성만 추구하면, 파이가 작아지겠지요!

그 적절한 선을 계속 고민하겠습니다. 일단은 그부분은 축소되지 않고 17%입니다!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판 <- 에 대해서 구상하기 위한 단계의 찬반투표입니다!

방향성이지요.
스팀파워의 지분화 + 배당을 5%로 상승시켜서 개발팀 지분을 20% 확보시켜서 유도장치를 마련하는부분입니다.

이 부분이 결정되면, 이를 토대로 향후 전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백서와 비슷한 형태로 작성하여 다시 안건을 올려드리겠습니다!

배당을 상승시키고 개발자 지분을 어느정도 확보한다는 것에는 찬성입니다.

하지만 개발팀 지분이 1%라는 것에 대해서는 전부 고민을 해봐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하게 찬반만 해야하는건 아니겠죠?

  ·  8 years ago (edited)

그 부분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을 기초로 계산되었습니다!

연간 미판매 토큰의 분배량 / 누적량

DROP_PER_TOKEN * YEAR * NOT_FOR_SALE => 383.25


스팀파워는 최대한 다운하지 않는것이 참여자에게 이득이기에 개발자에게 지분 처리하는게 제일 수익성이 크다고 판단되었습니다!


20% 이내로 축소하면, 운영비로 지출해야하기에, 스팀파워 다운이 발생할 것 같았습니다!

하하 모든 부분에 있어서 친절하게 답해주신 점 감사합니다.

아마 제가 이 펀딩에서의 징징이 역활을 맡을 것 같은데요. 잘 부탁드립니다. ^^

좋습니다!
다같이 치열하게 참여해야 결과적으로 참여자 전체의 수익이 상승하지 않겠습니까!!

앞으로도 잘부탁드립니다!! ㅎㅎ

선택이 남는거 같습니다. 스달중 배당부분을 3%에서 5%로 늘리면 늘어난만큼을 공익부분을 17%에서 15%로 줄이던 로또 당첨금을 80%에서 78%로 줄이던 해야할것입니다.
아니면 배당을 늘이는 것을 포기하고 3%로 가던지요. 프로그램상 코딩이 완료되고 돌아가기 시작하면 수정할수 없을테니 지금 논의가 되어야 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개발자측이 제안한 80:15:5(4+1) 안을 선호합니다.
(제가 개발자였다면 70:20:10(8+2) 안을 제시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