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과 이오스, 기생충과 약탈자

in hive-101145 •  4 years ago 

비트코인이 10% 이상 조정 받으면서 암호화폐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너무 심하게 달려서 좀 조정하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입니다. 스팀은 이오스보다 더 조정을 받고 있네요.

스팀과 이오스는 공통점이 하나더 생겼네요. 댄라리머가 먹튀한 토큰이라는 공통점이 새로 생겼습니다. 댄라리머가 블록원을 CTO를 사임했다고 합니다. 이게 악재인지 호재인지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댄라리머가 있다고 이오스가 지난1년 딱히 한게 없기 때문에 없다고 큰문제 될것도 없어 보입니다. 특히 이오스랑 블록원이랑 별개라고 하지 않았던가요..이오스가격도 딱히 엄청 더 빠지지도 않고 비트코인 정도만 빠지네요.

한때 이오스가 스팀의 상위호환이라고 여긴적이 있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오스가 스팀보다 나을게 없다고 생각합니다.한때 이오스에 대부분의 비중을 두고 있었는데 올해 먼지가 되어버린 이오스를 거의 대부분 3천원도 안되는 가격에 다던지고 스팀으로 갈아 탔었습니다. 홀가분합니다. 이오스와 이오스쓰레기 댑 토큰들이 나에게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안겼지만 배우고 느낀것도 많습니다.
susan fiskejpg.jpg
<출처 :미들맨의 시대>

이오스와 블록원의 관계는 위의 그림에서 어떤것일까요?
제 생각에는 약탈자 입니다. 블록원은 몇조를 약탈해 갔습니다. 블록원이 이오스 홀더를 파트너로 여길까요? 그냥 호구 정도로 여길겁니다. 이미 약탈 다했고 딱히 기대 할것도 없습니다. 몇몇은 애완동물 성격도 있습니다. 약탈당한게 아니라원해서 주는 경우 입니다. 연예인 조공이나 종교에 기부하는것도 이 애완동물 관계와 비슷해보입니다. 좋아서 갖다 바친 경우입니다. 이오스 10% 가져가는게 커뮤니티가 원했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니 좋은의도 로 바친 경우도 있어 보입니다.전 절대 아닙니다.
이오스와 댄라리머의 관계는 기생충 내지 애완동물로 보입니다. 추종자들도 있을테니 애완동물도 꽤 있을듯합니다.
이오스와 BP 중에는 파트너 관계가 몇몇 보입니다. 댑들중에도 파트너 할만한 경우가 있을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그냥 기생충입니다. 좀 능력있는 BP는 약탈자들이 많고요.

그럼 스팀은 어떤가요? 스팀과 스팀잇.inc 는 이전에 네드시절엔 기생충이었습니다. 블록원처럼 약탈할 능력도 없는 그냥 기생충이었습니다.반면 현재 트론재단에 인수된 후는 어떤가요. 아직 이렇다할 능력을 보여주진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능력이 없어 보이진 않고 이번에 지갑을 업데이트하면 트론을 나눠줍니다.분배하는 트론의 출처가 poloniex여서 스팀을 팔아서 주는것일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팔아서 혼자 먹는게 아니라 나눠 주는것이라면 상생을 위해서 좋습니다. 파트너가 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합니다.이전 기생충보다 나아 보입니다.

스팀의 증인은 이전 담합을 통한 약탈자 였고 몇몇은 기생충이었습니다. 다 그런것은 아니고 필요한 댑을 운용하기도 했으니 파트너 들도 있긴 했습니다.하이브와 갈라지면서 기생충들이 하이브로 많이 갔습니다. 하이브란 이름과 기생충들 잘어울립니다. 그기서 열심히들 번식하시길..
현재에도 기생충같은 증인이 있긴 할겁니다. 하지만 약탈자 같은 담합은 없어 보입니다. 커뮤니티를 위해 일을 열심히 하거나 스팀을 나눠주고 스팀월드같은 멋진 사이트를 만드는 파트너 같은 증인도 있습니다.
스팀에서 매직다이스같이 먹튀한기생충같은 댑이 있긴 하지만 헌트팀처럼 훌륭한 파트너 같은 댑도 있습니다.
어쨌건 제가 판단하기에는 이오스보다는 스팀이 더 가능성이 있어 보여서 스팀으로 갈아 탔습니다.

댄라리머가 블록원을 떠난게 이오스에 호재인지 악재인지 알수 없습니다. 관심도 이젠 없고요. 하지만 하이브와 기생충무리들이 떠난것은 스팀에 호재인게 확실합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koyuh8 transfered 1.0 KRWP to @krwp.burn. voting percent : 1.70%, voting power : 59.93%, steem power : 2012175.21, STU KRW : 1200.
@koyuh8 staking status : 155 KRWP
@koyuh8 limit for KRWP voting service : 0.155 KRWP (rate : 0.001)
What you sent : 1.0 KRWP
Refund balance : 0.845 KRWP [50231237 - e8c68a98f4361adf9b181c2af7d022bfaab81173]

  ·  4 years ago (edited)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는 블록체인에 비전문가이고 아는건 없지만, 이번 퇴임은 암호화폐가 규제화 되는 것에 대한 블럭원과의 다툼으로 자존심싸움이아니였나 싶습니다. DPOS단합이 안되고 뭔가 부족합니다. 중앙의 가이드없이 자발적인 누군가의 생산성만을 기대하는것 자체가 문제가 발생되었다고 봅니다.
그래서 스팀도 현탈중앙형에서 형성된 중앙형멤버로 생산성을 만들었으면 좋은데, 현실은 너무나 꽝~! 이되어버렸습니다. EOS는 사전에 악성 물량을 이미 소화한것으로 보이고요, 한번을 펌핑해서 요리를 하지않을까라는 기대감은 있습니다. 망하길 원해도 손이 바뀌어서 안망할듯 싶습니다. 스팀도 이젠 뭔가 보여줄때가 되었는데 말이죠 ~~ 주저리였습니다.

저도 아는게 없습니다. 가격은 저의 소관이 아닙니다.블록원이 그 많은돈을 이오스 홀더를 위해 쓰지 않는다면 크게 매력이 없어 보입니다.
악성물량은 모르겠고요. 오늘 디센트 기사에서는 중국의 이샤오라이가 300만개 언스테이크 시작 했다는군요. 이오스가 망하기야 하겠습니까? 이오스 홀더가 망하면 망하지...이오스나 블록원은 잘먹고 잘살겁니다. 기회는 모든 암호화폐에서 있으니 펌핑을 잘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좋은 글 감솨함니다.^^

이제와서 보니 스팀이 이렇게 든든할 수가 없습니다.

가격은 든든하지 않지만 저는 이오스보단 심리적으로 든든합니다.

그러게요. 마음이 든든합니다.

  • 스팀잇 초보님을들 위한 가이드를 아래와 같이 만들었으니, 많은 이용바라겠습니다.

초보님들을 가이드를 위한 네이버 카페 질문방클릭
나무위키 검색창 "스팀잇 " 클릭

이오스 탈출을 할 수 있을까... 걱정스럽습니다^^;;;

블록원이 가진 비트코인 홀더에게 나눠주면 100배도 갈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