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질문 한번씩은 해 보는데요.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전력 상황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입니다.
휴~~ 다행이군요.
문제가 없는 이유를 13가지로 정리했습니다.
국내 자동차가 보급대수가 2.6천만대인데 모두 전기차로 바뀌었다고 가정했으니 믿을만 한 결론인 듯 합니다.
물론 한 여름과 같이 순간 전력이 peak가 오는 시기에 일시적으로 충전을 못하는 차량이 나올 수도 있지만 일시적이고 지엽적인 문제라고 보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한 두번 당하다 보면 알아서 대처를 할테니까요.
역시 우리나라 전기 인프라는 아주 훌륭하군요.
결국 심야전기를 잘 활용하는 것이 전체 전기 시스템적으로 볼 때 아주 유용하다는 점인데요.
요즘 시들하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ESS 같은 전기저장장치가 일반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자동차 뱃터리가 수명을 다하고 중고로 나오는 시점인 약 7-8년 뒤에는 자동차 뱃터리를 재사용한 ESS 시스템이 각광을 받을 듯 합니다.
그쯤 되면 발화문제 등 고질적인 ESS 문제점들도 많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를 사용할 수 있을 듯 합니다.
관련 유투브 영상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전력이 남아돌더라도 전기차 충전은 모자랍니다. 1톤트럭 몇만대가 충전소 다 차지 한다고 난리인데 이상황에서 인프라 늘이지 않으면 대란이 오겠지요.
전기가 남쪽과 제주도는 넘쳐서 출력제한 하지만 수도권은 모자랍니다. 송전을 더 건설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될겁니다. 아니면 수도권에 발전소를 짓던지요.
ESS나 수소 양수력 발전에 저장하더라도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트럭은 운행km가 많아서 충전을 자주하기는 해야겠군요. 이 또한 심야전기로 충전시설을 늘리는 식으로 접근하지 않을까요? 운행 중 충전하면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할테니까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원자력 같은 기저 발전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심야전기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하지만 차량운행이나 충전 패턴이 비슷하니 특정시간에만 전기수요가 피크를 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ESS 같은 충전시설과 전력시장이 연계 되어야 풀수 있는 문제지요. 우리나라는 아파트에 ESS 를 의무화하지 않으면 전력 감당 안될겁니다. ESS에 저장했다가 파는 형태로 가야겠지요.
전력의 지역과 시간의 미스매칭을 해결하려면 엄청난 투자가 있어야할겁니다. 주유보다 시간이 걸리니 전체 전기차라면 지금 주유소보다는 충전소가 많아야겠지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15프로정도 사용하는게 ..큰게 아니라고 말할수가 없어보이는데요.,,가정용전력이 현재 총전력의 15프로정도 사용입니다..가종용만큰 사용한다는건데..적다고말할수가 있을지..전기값은 오를거구,,전력때문에 고생좀 할겁니다..물론 내연기관이 없어지진않을테니..아직은 시기상조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15프로가 최대치이고, 주로 심야전기를 사용한다고 가정을 한거라 큰 문제는 없을 듯 합니다. 또한 전기차 수량이 늘어날수록 ESS 같은 저장장치 활용도 증가할테니까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2600만대의 전기차가 필요한 전력이 현재 총 발전량의 15%밖에 안쓴다고 하지만..
지금도 간당간당한 상태이고, (물론 피크시간대만 그렇긴하지만.) 계속해서 많은 에너지원이 전기화가 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기 사용량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때문에..
2600만대가 전기차로 바뀌는 시점에는 실제로는 15%이상의 전기가 추가로 생산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더군다나 일반 승용차의 경우는 좀 덜하겠지만, 화물차의 경우는 주행거리가 길기때문에 더 자주 충전을 해야 할 겁니다.
심야전기를 이야기하셨지만, 모든 차량이 해당되는 내용은 아닐거 같구요. ESS도 그 많은 용량을 충전해 놓고 있으려면 필요한 스페이스 문제도 그렇고, 더 많은 기술 발전이 필요하리라 생각됩니다.
그냥 지나가는 말이었습니다. ^^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네.. 전기차가 필요로 하는 전기가 생각보다는 많지 않아서 다행인 것 같고요. 전기 자동차가 보급될수록 여러 불편한 점이 많이 나오겠지만, 언제나 그랬듯이 잘 해결할 것이라고 봅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