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216] 중국주식 투자전략#2

in hive-124908 •  6 days ago 

오늘도 어제에 이어 중국주식 투자전략에 대한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DeepSeek 부상: 중국 국산 AI 생태계 가속화의 촉매제

딥시크 부상: 중국판 스푸트니크 모멘텀

중국판 스푸트니크 모멘텀(China’s Sputnik Moment) 격인 딥시크의 부상은 지난 2~3년 산업 규제로 위축되었던 중국 테크 산업에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부여하고 있다. 바로 자국 AI 생태계의 구축 및 국산 소프트웨어의 강화이다.

중국 AI 생태계 구축 및 확장으로 연결

연휴가 지나고 화웨이,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등 빅테크들은 물론, 차이나 모바일 등 3대 국영 통신사와 클라우드 서비스 소프트웨어 기업들도 앞다투어 딥시크 모델을 연결했다. 이런 AI 모델 수요 증가는 로컬 컴퓨팅 인프라 구축 수요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산업간 연합에 따른 기술 돌파는 새로운 응용 분야와 하드웨어의 탄생 → 하드웨어 보급률의 상승 → 비즈니스 모델의 가시화 → 선두기업의 탄생
등 산업의 지각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로컬 AI 생태계 구축으로 현재 가시성이 높은 분야는 휴머노이드 로봇과 자율주행이다.

->딥시크 부상으로 인프라 구축 수요를 자극할 뿐 아니라 새로운 응용분야/HW탄생 > 새로운 BM 가시화 등을 통해 산업의 지각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올해 3월 양회에서 관련 정책 지원 강화될 것

다음 단계는 ‘중국제조 2035’이며 휴머노이드 로봇, 양자컴퓨팅 등 산업이 주요 타겟이다. 오는 3월 5일의 양회에서도 다시 한번 ‘AI+’ 전략이 강조하며, 중국제조 2025의 10대 산업처럼 정책 지원을 받을 것

올해 AI 응용 개화 원년, 전기차 성장과정 따라간다면 주가는 이제 초기 단계

딥시크의 부상으로 내년부터 휴머노이드 로봇, 자율주행 등 산업이 빠르게 개화된다면, 지금의 중국 AI 관련 주가는 2020년 전기차 주가의 시작에 불과할 것

연초 중국의 경기 둔화는 기술주 쏠림을 강화

한편 올해 연초 중국 경기는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휴대폰, 가전의 판매가 양호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회복 모멘텀이 둔화됐다.

중국 증시 투자전략: Focus on Tech

매크로의 뚜렷한 개선이 부재한 환경에서 기술주 투자전략 유효

작년에 발간된 연간전망에서 우리는 올해 중국 주식시장에서 기술주와 주주환원 고배당의 바벨전략을 추천했다. 이 중 기술주는 정부의 주식시장 유동성 공급과 기술 자립이라는 중장기 추세에서 알파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판단했기 때문

상승 탄력으로 S/W > H/W

상승 탄력 측면에서 현시점은 S/W를 H/W보다 더 선호한다. 이는 미중 플랫폼의 밸류에이션 Gap 차이가 아직 크지만, 하드웨어는 작년 4분기부터의 빠르게 상승하며 해외와 비슷해졌기 때문이다(그림 13, 14). 이에 단기적으로 미국에 상장한 S/W 비중이 높은 KWEB ETF를 권고하며, 중장기 관점에서 조정 때마다 항셍테크, 과창50 등 중국의 기술주에 대한 투자는 유효하다는 판단

->중국주식 투자전략을 살펴보면 1)기술주 중심의 투자 유효, 2)H/W보다는 S/W 중심의 투자전략을 수립할 것을 권고하고 있네요.
위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바와같이 중국 내수시장은 침체로부터 벗어나기 힘든 상황인 것 같으나 딥시크 모멘트를 기점으로 기술주들의 반등 모멘텀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단기보다는 중장기적으로 투자전략을 짜며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오늘도 편안한 휴식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28.66781047869268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