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나 해킹당한거야???? 으악~~~~

in kr •  7 years ago 

캡처.JPG

어제의 저 였습니다.
한 20분 정도 자동로그인도 매뉴얼로그인도 안되는 거에요.
갑자기 제가 팔로우하는 한 스티미언님이 최근에 해킹을 당하셨다는 그 기억이 확 나면서...
등골이 좀 서늘해 지더라구요.

저도 스팀 초보라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 막 찾아보게 되어서
혹시 저같은 경우를 미래에 당하시게 되면(그럴일 없어야 겠지만요)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제가 밟았던 단계를 공유해 보려고해요.

결과는 저는 해킹을 당한것은 아니었나봐요. 20분 후에 다시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되었거든요.
그런데 그 20분동안 마구마구 리서치를 해서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었어요.

그럼 제가 한 첫번째 단계를 알려드릴게요.

  1. steemd.com/@ddd67 (@다음엔 본인 아이디를 넣으세요. 이건 제 아이디 넣은거에요)
    여길 가게 되면 본인의 모든 활동내역을 한눈에 볼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누가 보팅을 해줬고 나는 누구에게 보팅했고 답글 적었고 정말 일일이 모든게 다 기재가 됩니다. 만약 해커가 내 마스터키를 훔쳤다면 여기에 바로 뜰거에요. 이것은 로그인해서 들어가서 보는 페이지가 아닌 만인에게 다 오픈되어 있는 싸이트입니다. 여기가 혹시 그...블럭체인 내부??? (전 기술적인건 모르니 패스~)

캡처.JPG

일단 여기서 저의 계좌의 모든 활동 내역을 계속 refresh 해가며 (전 한 30초마다 했던거 같아요) 확인하면서

두번째 단계를 진행합니다.

  1. steemit.com/recover_account_step_1

스팀잇이 제공하는 "도난계정복구" 싸이트 입니다.
이곳에 자신의 아이디를 넣습니다.

캡처.JPG

아이디를 넣었더니,
마스터키가 변동된적이 현재까진 없으니 복구도 안된다.... 라는 문구가 뜨면 휴우~ 아직까진 괜찮은 겁니다.
만약 이런 문구가 아닌 다른 문구가 뜬다면 그땐 다음단계로 넘어가겠죠.
신고를 해 놓으면 스팀잇개발팀에서 역추적을 해 제 계좌를 해킹한 사람을 찾을 수 있을거에요.
실례로, 스팀머니 다 찾으신 스티미언 글도 본적이 있는거 같아요.
댓글에 실사례 적어주시면 도움이 많이 될거 같아요.

그러고 20분이 지나고 자동으로 로그인이 되어서 기분이 넘 좋았죠.
그러나 한가지 꼭 변경해야 될 중요한게 있어요. 만약 이것을 아직 안 해 놓으신 스티미언들, 오늘 꼭꼭 해 놓으세요.
로그인할때, 처음에 스팀잇에서 준 마스터키는 카피해서 본인만의 안전한 곳에 저장을 다 해놓으셨죠?
또, 더 안전하게 프린트도 한장 해 놓으셨겠구요. 그리고 어떤 분은 치매방지로 그걸 다 외우는것도 추천하셨어요 ㅎㅎ
저도 시도해 보려구요.

  1. 지갑으로 가서 권한을 누른다.

스크린샷(39)_LI.jpg

그러면 맨 위에 포스팅키가 있죠. 바로 보이는 그 포스팅키를 복사하는게 아니라, 맨 오른쪽에 개인키보이기 단추가 있어요.
그걸 눌러야 개인포스팅키(private posting key) 가 보여져요.
그럼 그걸 복사해서 또 개인만의 방법으로 저장을 해 놓구요.(앞으론 이 패스워드로 쓸거니까요)
로그아웃을 합니다.

다시 로그인 할때는, 이제 이 포스팅키를 이용해서 로그인을 하시면 되요.
이렇게 로그인해도 지갑도 다 볼수 있고, 심지어 보상받은 스팀머니들도 내 지갑으로 전송할 수 있더라고요.
마스터키가 필요할땐, 아마 다른 사람한테 돈 보낼때, 거래소로 돈 뺄때 등등 시에 필요한거 같아요.
현재까진 일반활동은 전혀 문제없이 포스팅키로만 로그인해서 쓸수 있었어요.

뉴비스티미언 분들 혹 아직 이렇게 안 해 놓으셨다면,
저처럼 등골 오싹 하지 마시고
미리미리 해놔서 맘편하게 스팀잇해요.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좋은 팁 감사합니다. 저 포스팅 키를 이용해서 스티밋 호환 사이트나 앱에서도 글을 쓸 수 있는 것 같더라고요. esteem이나 steemkr, busy.org 등등. 호환앱에 들어갈 때 마스터키 말고 포스팅 키를 이용해야겠습니다.

아, 그렇군요. 그건 저도 첨 알았네요. 모든걸 포스팅로 쓰고 돈을 남과 주고받을때 혹은 현금화 할때에만 그럼 마스터키를 쓴다 이렇게 생각해도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