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가 되면 새로운 목표를 세우기 마련입니다. 2019년에도 건강, 학업, 취미 등에 대한 다양한 목표들을 세우셨을 텐데요. 재테크 계획을 세우신 분들도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재테크 계획을 세우신 분들 중 내가 투자에 얼마나 공격적인지 생각해보신 분, 계신가요?
투자라고 하니 물론 수익성이 높을수록 좋아 보이죠. 하지만 손실 위험도 동시에 높아진답니다. 따라서 ‘내가 수익과 손실을 어느정도 비율로 감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투자성향’을 미리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해요.
만약 안정형 성향의 투자자가 고수익 · 고위험 상품에 투자를 했다고 가정해볼까요? 아마 하루 종일 전전긍긍하고, 원금손실이라도 났다가는 속상해서 잠도 못 잘지 모릅니다. 반대로 공격형 성향의 투자자는 초저수익의 안정형 상품으로는 만족할 수 없겠죠.
그렇다면 각 투자성향별 특징과 대표적인 추천 투자상품은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1. 안정형 : “원금 손실만큼은 절대 안돼!”
수익이 적더라도 원금 손실의 위험을 감수할 의향이 없는 가장 보수적인 투자 유형입니다. 많이 알고 계시는 정기적금, 정기예금, 청약, 원금보장형 CMA* 등 예금자보호법으로 최대 5천만원까지는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이 안정형의 대표적인 투자상품이에요. 기대수익률은 1~2% 로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CMA (Cash Management Account) :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자산관리통장, 네 가지 유형 중 RP형과 종금형이 가장 안정적이며 이 중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는 유형은 종금형이다.
2. 안정추구형 : “이왕이면 안전하게 가자!”
원금 손실을 최소화하려고 하지만, 수익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손실을 수용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예 · 적금보다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채권형 펀드*가 안정추구형의 대표적인 투자 상품으로, 기대수익률은 3~4% 수준입니다. 그러나 요즘 같은 금리 인상기에는 채권형 펀드로 수익을 내기 어렵기 때문에, 특판 예 · 적금과 수익률이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채권형 펀드 : 국가 및 공적기관에서 발행하는 국공채, 회사채 등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3. 위험중립형 : “잃는 게 있으면 얻는 것도 있겠지”
수익을 위해 일정수준의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투자에 있어 수익과 위험의 상관관계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기도 하죠. 채권혼합형 펀드나 적립식펀드가 이 유형의 대표적인 투자 상품입니다. 기대수익률은 5~8% 수준입니다.
*혼합형 펀드 : 채권과 주식을 혼합하여 투자하는 펀드, 채권의 비율이 더 많을 경우 채권혼합형, 주식의 비율이 더 많을 경우 주식혼합형이라 부른다.
*적립식 펀드 : 투자금을 한 번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동안 나누어 투자하는 펀드
4. 적극투자형 : “호랑이는 호랑이 굴에, 고수익은 위험투자에”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높은 수준의 수익을 추구하는 유형입니다. 따라서 원금보장보다는 수익률에 더 많은 가치를 두죠. 주식연계형 상품인 ELS*나 주식혼합형 펀드가 적극 투자형에 알맞은 투자 상품입니다. 기대 수익률은 9~12% 수준입니다.
*ELS(Equity Linked Securities) :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에 연계한 증권
5. 공격투자형 : “티끌 모아 티끌이지, 못 먹어도 GO!”
다섯가지 유형 중 가장 투자에 공격적인 유형입니다. 12% 이상의 높은 수익을 기대하는 만큼, 시장 변동에 따른 손실 위험을 적극 수용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투자자금 대부분을 주식, 주식형 펀드* 등에 투자하고, 직접 투자를 하기도 합니다.
*주식형 펀드 : 자산의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
지금까지 다섯가지 투자성향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나의 투자성향은 이 중 어디에 속하는지 잘 알아보시고, 현명한 재테크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혹시 아직까지 나의 투자성향을 정확히 알지 못하신다면,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테스트로 간단하게 확인해볼 수 있어요! (투자성향 테스트 바로가기)
그럼 굿초보는 더 두둑한 재테크 정보와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또 만나요!
Congratulations @goodchobo!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