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벗은 임금님과 대중 감시 여러눈으로 보는 십목소시가 가능한 암호화폐 비트코인
그림 동화에 벌거벗은 임금님[The Emperor's New Clothes]의 스토리가 있다.
옛날 어느 나라에 욕심 많은 임금이 있었다. 하루는 거짓말쟁이 재봉사와 그의 친구가 임금을 찾아와 세상에서 가장 멋진 옷을 만들어 주겠다고 제안하며, 입을 자격이 없고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 특별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임금은 기뻐하며 작업실을 내주고, 신하들에게 두 사람이 작업하는 것을 살피라고 명령한다. 아무리 보아도 신하들의 눈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지만, 어리석음이 탄로날까 두려웠던 신하들은 모두 멋진 옷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거짓말을 하였다. 시간이 지나고 재봉사는 임금에게 옷이 완성 되었다며 입어볼 것을 권하였고, 옷이 전혀 보이지 않았지만 임금 역시 어리석음을 숨기기 위해 옷이 보이는 척 한다. 결국 임금은 입을 자격이 없고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다는 새 옷을 입고 거리행진을 하고, 그 모습을 본 한 아이가 "임금님이 벌거벗었다!"라고 소리치자, 그제서야 모두 속은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안데르센이 1837년 《아이들을 위한 동화(Eventyr, fortalte for Børn. Første Samling.)》를 통해 발표한 작품으로, 권력앞에 진실을 이야기하지 못하는 어른들의 어리석은 모습을 꼬집어 표현하고 있다.
[The Emperor's New Clothes]
A vain emperor who cares about nothing except wearing and displaying clothes hires weavers who promise him they will make him the best suit of clothes. The weavers are con-men who convince the emperor they are using a fine fabric invisible to anyone who is either unfit for his position or "hopelessly stupid". The con lies in that the weavers are actually only pretending to manufacture the clothes; they are making make-believe clothes which they mime. Thus, no one, not even the emperor nor his ministers can see the alleged "clothes", but pretend that they can for fear of appearing unfit for their positions, and the emperor does the same. Finally, the weavers report that the suit is finished, they mime dressing him, and the emperor marches in procession before his subjects. The townsfolk uncomfortably go along with the pretense, not wanting to appear unfit for their positions or stupid. Then, a child in the crowd, too young to understand the desirability of keeping up the pretense, blurts out that the emperor is wearing nothing at all, and the cry is taken up by others. The emperor realizes the assertion is true but continues the procession.
위 내용을 보면 어른들은 권력의 힘에 눌려서 억지로 옷을 입었다고 거짓말을 했지만 아이의 순수성으로 정말 벌거벗은 정권의 실체에 대해서 말을 하는 내용이 등장한다.
만약 이처럼 임금이라고 할지라도 여러 사람에게 보이면 임금의 잘못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즉 대중 감시를 통해서 한 두 사람의 눈가림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눈으로 보면 결국 밝혀지게 된다.
4서3경중의 하나인 大學대학에는 십목소시란 말이 있다.
십목소시[十열 십,目눈 목,所바 소, 視볼 시]란 열 사람이 지켜본다는 말이다.
많은 사람들이 지켜보므로 숨길 수 없다는 뜻을 가진다. 위 말은 대학(大學)의 성의장에 나오는 말이다. 증자왈(曾子曰;증자께서 말씀하시길), 십목소시(十目所視;열 개의 눈이 바라보며), 십수소지(十手所指;열 개의 손가락이 가리키니), 기엄호(其嚴乎;그 엄정하지 않겠는가?)에서 유래한다.
강희장은 〈사서백화〉에서 이 말을 이렇게 풀이한다. “십목(十目)은 열 사람의 눈이 아니라 열 방향으로부터의 모든 시선을 말한다. 사람이 무의식 중에 하는 행동은 주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마음에서 일어나는 파동은 천지신명과 도를 깨우친 사람에게 전달된다. 이것을 불교에서는 심통(心通)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홀로 있을 때의 생각도 다른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는 것이다. 이 진리를 깨달은 사람이라면 어찌 남이 안 본다고 나쁜 행동과 생각을 할 수 있겠는가?”
남의 시선뿐 아니라 자기 혼자 있을 때라도 스스로 행동을 삼가고 조심하라는 뜻으로 쓰인다. 유교에서 혼자 있을 때 삼가라는 ‘신독(愼獨)’이라는 말과 같은데 두 군데에 나온다. 하나는, 《중용과 천명》의 <천명> 제2장과 《대학》의 전(傳)제6장입니다. 앞의 책에는 “故君子愼其獨也.”[그래서 군자는 홀로 있을때 삼간다]로 나오고, 뒤의 책에는 “故君子必愼其獨也.”[고군자필신기독야.]로 ‘반드시 必’자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중용은 모두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 B.C.483~402)의 저작품이다.
즉 혼자 있을때도 여러 사람의 시선을 느끼는 것처럼 조심하라는 말인데 이런 유교문화는 오히려 체면만 지키는 부정적인 측면만 보인다. 즉 타인이 볼때는 도덕군자처럼 하고 남이 안볼때는 오히려 나쁜짓을 마음껏하는 태도 말이다.
결국 어쩔수 없이 대중이 볼 수밖에 없는 시스템으로 변화해야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인터넷으로 자신의 계좌를 타인이 보게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치자금도 비트코인이나 암호화폐로만 받게 한다면 비트코인 계좌는 거래내역이 만천하에 공개되므로 나쁜 부정적인 곳에 쓰이지 못하게 된다. 비트코인 블록 탐색기인 Blockchain블록체인 인포를 보면
https://blockchain.info/ko
비트코인 블록 탐색과 금융 통계가 나온다. 전체 비트코인 거래와 블록들에 대한 세부정보를 계좌만 입력하면 가능하다.
또 계좌추적을 하다보면 대기업의 불법적인 돈거래등이 드러나게 되니 일석이조가 된다.
Hi! I am a robot. I just upvoted you! I found similar content that readers might be interested in:
https://en.wikipedia.org/wiki/The_Emperor%27s_New_Clothes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