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팀잇 유저여러분 망둥둥입니다.2018년 5월에 스팀잇 사용자 경험 조사를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스팀잇에 올려봅니다.
연구의 기간이나 표본수에서 부족한 점도 많고, 어떻게 보면 저의 첫 연구라 부족한 점이 많지만 제언이나 첨언을 해주신다면 더욱이 고맙겠습니다.
먼저 조사 목적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 스팀잇의 유저들은 어떤 목적를 가지고 사용하고 있을까?
- 스팀잇의 유저들은 어떤 부분/기능에서 만족이 크고 작을까?
- 서술형 의견들 취합하여 공통적으로 나오는 것은 무엇일까?
3가지가 핵심 질문이었습니다.
이 외에 문헌조사를 통해 암호화폐(블록체인)기반의 플랫폼은 아래와 같이 정의하였습니다.
- 공개(open)형 블록체인 플랫폼은 토큰이코노미에 기초한다.
- 유저들은 서비스의 단순한 이용뿐만 아닌, 정책과 운영에 있어서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직.간접 투표와 합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운영자와 유저의 경계가 절대적으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조사 방법은 다음을 사용하였습니다.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기 위해서 피터모빌(Peter Morville)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중 허니콤모델(Honeycomb model)을 사용하였습니다. 이 모델은 서비스의 사용성 및 심미성등 다양한 부분에서 서비스를 평가하는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설문
이 둘을 바탕으로 총 61의 스팀잇 한국 유저분들이 응답해 주셨으며 응답 수집 기간은 5.10~5.18일 이었습니다. 설문은 오픈링크형 설문을 진행하였습니다.
먼저 총 응답자 61명 중 남성은 77%(47명) 여성은 23%(14명)이었습니다. 이 중 20대가 38%(23명) 30대가 36%(22명)로 제일 구성 비율이 높았으며, 40대가 23%(14명) 50대 이상이 3%(2명)로 이었습니다.설문은 5점 척도와 서술응답형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분석
1. 서비스 사용목적
![서비스 사용목적.png]()
콘텐츠 생성이 47%, 콘텐츠 소비가 37%로 가장 높은 항목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토론 항목은 6% 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은 5%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항목은 사용자의 단순 응답을 수집한 항목입니다.
좀 더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목적을 발견하기 위해서 마지막 질문 항목에 서비스의 만족도 점수와 그 점수를 준 이유를 서술하는 항목을 넣었습니다.
마지막 항목인스팀잇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5점 만점(1점: 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5점: 매우 만족한다) 중 3.6점이 나왔습니다. 이어서 설문 항목에서 점수를 준 이유는 다음과 같이 항목들이 중첩되어 나왔습니다.
항목과 언급횟수
- 보상체계 긍정: 21회
- 불편한 UI: 17회
- 유용한 글: 10회
- 어뷰징/보팅 시스템의 문제: 6회
- 높은 진입장벽: 3회
*총 61 응답자에서 얻은 서술형 응답에서 언급횟수이를 통해서 본다면, 유저들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큰 목적은 1. 글을 씀으로써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점 2.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점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유저들이 평가한 기능
Element | Mean(*1~5) | Standard Deviation | Confidence Level(95.0%) |
유용성 (Useful) | |||
타 SNS서비스 보다 유용하다 | 4.049180328 | 0.883670932 | 0.226318634 |
보팅기능이 서비스에서 유용성을 제공한다 | 4.459016393 | 0.867443956 | 0.222162713 |
메인페이지에 올라오는 콘텐츠는 유용하다 | 2.786885246 | 1.127160948 | 0.288679323 |
콘텐츠의 생성과 소비는 적절하다 | 2.49180328 | 0.97677959 | 0.25016487 |
사용성 (Usable) | |||
서비스의 기능을 배우는 것에 난이도가 있다. | 3.918032787 | 0.881193924 | 0.225684243 |
가입승인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 | 4.213114754 | 1.001910743 | 0.256601256 |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3.754098361 | 0.994245739 | 0.254638157 |
암호화폐를 편리하게 송금할 수 있다 | 4.344262295 | 0.910773406 | 0.2332599 |
전반적으로 서비스 기능에 대해 만족한다 | 3.163934426 | 0.897781114 | 0.22993242 |
검색성 (Findable) | |||
원하는 게시물을 쉽게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 | 2.295081967 | 1.159658891 | 0.297002433 |
태크를 통해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다 | 2.83606557 | 1.0357015 | 0.26525547 |
원하는 기능을 찾는데 용의하다 | 3.75409836 | 0.99424574 | 0.25463816 |
매력성 (Desirable) | |||
서비스의 아이덴티티가 디자인에 반영되었다. | 3.278688525 | 0.915262213 | 0.234409537 |
화면의 레이아웃이 적절하다. | 3 | 1.048808848 | 0.268612419 |
메뉴와 아이콘이 잘 디자인 되었다 | 2.95081967 | 1.07123339 | 0.27435561 |
글을 읽는데 폰트와 크기는 적절하다 | 3.40983607 | 0.98956302 | 0.25343886 |
썸네일 콘텐츠의 이미지, 제목의 크기는 적절하다 | 3.32786885 | 0.99534435 | 0.25491953 |
편집성 (Editable) | |||
글쓰는 편집도구는 유용하다 | 2.098360656 | 0.925651447 | 0.237070343 |
게시물을 임시저장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 4.081967213 | 1.069191002 | 0.273832531 |
작성한 게시물을 삭제할 수 있어야 한다 | 3.639344262 | 1.06509447 | 0.27278336 |
게시물 태그입력은 유용하다 | 3.803278689 | 1.045939325 | 0.267877499 |
*1= 매우 그러하지 않다, 5= 매우 그러하다
제일 유용한 기능은 보팅기능으로 나왔으며, 최악의 기능으로는 편집도구로 나타났습니다.
다음으로 눈에 띄는 항목으로
- 가입승인까지의 시간이 오래걸린다
- 암호화폐 송금의 편리성을 가지고 있다
- 원하는 게시물을 쉽게 찾기 어렵다
- 게시물을 임시저장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위와 같이 나왔습니다.
3. 사용자 의견 종합
부정적(개선) 항목 | 긍정적 항목 |
---|---|
1위-에디터(편집툴) 개선 | 1위-보상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 |
1위-검색성 개선 | 2위-서로가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음 |
2위-UX/UI 개선 | 3위-유익한 글과 정보 |
5위-게시물 삭제 기능, 어뷰징 및 셀프보팅 제제 | 4위-재미, 자신의 생각을 적을 수 있음 |
*총 61명의 응답자, 다음 항목의 서술 종합. 1. 서비스의 만족도와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2. 스팀잇에 필요한 기능이나 정책은 무엇입니까?
**응답에서 반복되어 언급되는 항목을 순위로 표시
에디터의 개선이 사용자들이 제일 많이 언급한 개선항목이며 불편한 부분이라고 응답이 나왔습니다. 내가 쓴 글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내가 팔로우한 사람들은 쉽게 검색할 수 있는 검색성 항목에서 공동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응답하였습니다.
긍정적 항목은 위에서 나온 서비스 만족도와 그 이유에서와 비슷하게 응답이 나타났습니다.
결론
- 스팀잇은 유익한 정보를 얻기위해 사용자들이 사용하며, 보상시스템이 이를 이끌고 있다.
- 페이스북 혹은 트위터같은 SNS는 사회관계적인 망(network) 안에서 정보를 교류한다면, 스팀잇은 좀 더 정보중심적으로 사용자가 서로 교류한다.
- 보상시스템은 이를 유지시키고 콘탠츠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 UI/UX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 글을쓰고 올리는 것이 스팀잇의 핵심 프로세스이다. 하지만 마크다운 기반의 에디터가 사용자에게 장애를 주고 있다.
- 검색은 내가 작성한 글, 내가 팔로워하는 사람등 다른 정보와 위치에 접근할 수 있는 검색성 제공이 필요하다.
- 저작권 침해하는 경우 혹은 잘못된 정보를 올린다면 이를 삭제하거나 숨길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 어뷰징/ 셀프보팅에 관한 제제의 목소리가 많다
- 시스템에서는 문제가 없는 행동이지만, 콘탠츠의 질이 상승하지 않으며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행동이 일어나고 있다.
마치면서
이 연구를 통해서 사용자들이 어떤 목적으로 스팀잇을 사용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콘탠츠를 찾고 생성하는 과정에서의 불편한 부분이 무엇인지 정량적으로 밝혀 낼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의 개선점이 무엇인지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공개형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유저가 어떤 기술적. 정책적. 콘탠츠적 생산과 역할을 가지는지 이를 연구해 볼 생각입니다.부족한 연구를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대부분 제가 생각하고 있거랑 많이 겹치는 부분들이
있군요...
잘 보고 갑니다.
@홍보해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설문조사를 하셨었군요. 다음엔 저도 참여해보고 싶네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Congratulations @mangdongdong!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