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이야기> 투자 수익률의 이해: 두 기간의 평균 수익률과 기하평균

in kr •  7 years ago  (edited)

image.png

안녕하세요. 오늘도 플랑크톤 스티미언 @mishana입니다.

지난 번 <투자 이야기>에서는 유니클로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오늘부터는 수익률 이야기를 몇 편인가에 나눠서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수익률은 투자자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하는 내용입니다. 첫 주제로 두 기간의 평균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단기 수익률 계산하기

철수 씨가 1억을 가지고 2017년 1월 한 달 동안 2,000만원을 벌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한 기간의 수익률을 구하려면 최종 자산을 최초의 자산으로 나눠주면 됩니다. 1억 2천만원을 1억으로 나눠주고, 1(원금)을 빼주면 됩니다. 그럼 0.2이 나옵니다. 0.2을 퍼센트로 표시하면 20%가 됩니다.

즉, 철수 씨의 2017년 1월 수익률은 20%가 됩니다. 간단하죠?

철수 씨는 2월에는 3,000만원을 벌었습니다. 이번에도 같은 방식으로 계산을 해보면 25%의 수익률을 기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월에는 2,000만원의 수익이 났고, 2월에는 3,000만원의 수익이 났습니다. 하지만 수익률로 나눠서 봤을 때는 1월의 수익율은 20%였고, 2월의 수익률은 25%였습니다. 2월의 수익률이 30%가 아닌 이유는 2월초의 원금 크기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2월을 시작할 때의 원금은 1억이 아니라 1억 2,000만원입니다.

그렇다면 1월과 2월의 수익률 합계를 계산해보겠습니다. 1월과 2월을 하나의 기간으로 생각한다면 최종 자산은 1억 5,000만원이므로 수익률은 50%가 됩니다. 최종 수익률을 계산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각 기간의 수익률로 최종 수익률을 알 수는 없을까요? 이미 위에서 이러한 계산을 통해 최종 금액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원금에 각 기간의 (1 + 수익률)을 곱해나가면 최종 금액이 나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A2D47F4C-6740-4210-BCC1-0AC2D6A09180.png

여기서 P는 원금 R1은 1월의 수익률, R2는 2월의 수익률이 됩니다. 위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B928C497-71E8-424C-8B6B-AADC3BEE4BF7.png

여기서 원금 P를 곱하지 않고, 계산한 값에서 1을 빼주면 최종 수익률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39C3963A-310A-4DE8-905E-F1F2E076DCAF.png

이 식을 계산해 보면 0.5가 나옵니다. 즉 수익률은 50%입니다.

평균 수익률의 함정

그렇다면 1월과 2월의 평균 수익률은 몇 %일까요?

간단하게 생각해보겠습니다. 1월은 20%, 2월은 25%니까 평균을 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 + 25%) / 2 = 22.5%가 나옵니다. 월별로 평균적으로 22.5%를 벌었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 값이 정확한 값인지 간단한 계산을 통해 검증해보겠습니다. 1월에 철수 씨가 22.5%를 벌었다면 자산은 1억 2,250만원이 됩니다. 그리고 2월에 다시 22.5%를 벌었다면, 1억 5006만 2500원 됩니다. 62,500원이 차이가 납니다. 1억 5,000만원과 상당히 비슷하니까 무시해도 될 것 같기도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값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이 차이를 무시할 수 없는 이유를 보여드리기 위해, 좀 더 극단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50% 수익이 나고, 30% 손실이 난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최종적인 금액은 1억 500만원이 됩니다. 평균 수익률은 (50% + (-30%)) / 2 = 10%가 됩니다. 첫 번째 달에 10% 수익이 나면 1억 1000만원이 됩니다. 두 번째 달에도 10% 수익이 나면 1억 2100만원이 됩니다. 무려 1600만원이 차이가 납니다. 사소한 오차가 아니라, 애시당초에 잘못된 계산법이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평균 수익률을 계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처음에 사용한 평균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법을 산술 평균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평균을 낼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투자의 세계에서는 산술 평균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바로 기하 평균을 사용합니다.

기하 평균을 사용해 두 기간의 평균 수익률 계산

두 기간의 기하 평균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1BE0F83-AFC3-49BD-8A10-1F6F519E447C.png

여기서 루트 안의 값은 앞에서 살펴본 수익률을 계산하는 공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수익율에 n루트를 씌워서 평균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n은 기간이 됩니다. 철수 씨의 사례를 대입해보겠습니다. 계산기가 필요합니다.

91C1ED75-2F25-43A9-B409-BE68E3C8E08C.png

이 값은 대략 0.22474가 나옵니다. 월별로 평균 22.47%의 수익률을 올렸다는 의미입니다. 산술 평균과 상당히 비슷하죠? 하지만 좀 더 정확합니다. 이 방식을 구해진 평균 수익률을 사용해 두 기간 동안의 최종 수익률을 계산해봅니다.

AF9F0DEE-96ED-47B9-9187-7F8E89B70C16.png

이 값은 대략 1.49999가 나옵니다. 50%에 근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서 산술 평균으로는 계산이 매우 부정확했던 사례도 살펴보겠습니다. 50% 수익이 나고, 30% 손실이 나는 경우의 기하 평균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7AD6E846-6E14-4A73-BFD6-8C4756FCFAE8.png

이 값은 대략 0.02469가 나옵니다. 즉 월 평균 2.46%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산술 평균 10%와는 상당한 차이가 나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수익률을 계산하는 공식에 집어넣어서 계산해보면 ((1 + 0.02469) * (1 + 0.02469)) - 1 = 1.04998로 5%에 거의 근접한 값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하 평균을 사용하니까 두 기간의 평균 수익률이 정확히 계산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에서 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수익률을 계산할 때는 기하 평균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기하 평균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수익률을 둘러싼 다양한 비직관적인 현상들을 목격하게 됩니다. 그 이야기는 수익률 다음 편에서 이어가겠습니다.


최근에 공개한 글 목록입니다.


576C3781-B0F1-4BAE-879D-ABAC4E47520B.png
글쓰고, 프로그래밍하고, 투자하는 @mishana입니다. 트위터 @mishan__a.

  • 저는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각자의 선택이고, 결과는 각자의 몫입니다 ;)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리스팀, 팔로우 부탁드려요 :)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This post received a 31% upvote from @krwhale thanks to @mishana! For more information, click here!
이 글은 @mishana님의 소중한 스팀/스팀달러를 지원 받아 31% 보팅 후 작성한 글입니다. 이 글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click here!

스스로 홍보하는 프로젝트에서 나왔습니다.
오늘도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mishana님 안녕하세요. 써니 입니다. @joeuhw님이 이 글을 너무 좋아하셔서, 저에게 홍보를 부탁 하셨습니다. 이 글은 @krguidedog에 의하여 리스팀 되었으며, 가이드독 서포터들로부터 보팅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You got upvoted at 10.26% from @adriatik bot! We want to give a BIG thank you to you for using our service. We really hope this will hope to promote your quality content! If you have any suggestion to make, feel free to contact @adriatik by commenting below

좋은 글 감사합니다. 허락해주신다면 @mishana 님의 글을 출처를 포함하여 SNEK 독자분들에게 소개해도 될까요?

  ·  7 years ago (edited)

앗! SNEK에 너무 좋은 글이 많아서 소개될만한 글인지는 자신이 없지만... @joeuhw 님이 괜찮다고 생각하신다면, 저는 그저 영광입니다 ;)

감사합니다:)

수학을 배울때 이렇게 돈이랑 연관지어서 가르쳐줬으면 더 열심히 들었을텐데요 ㅠ.ㅠ
뭐든 돈이 엮여야 열심히 공부합니다.

맞아요. 개념만 공부할 때는 기하 평균이 수익률 계산하는데 쓰이는 거라곤 생각하기 힘들죠. ㅜㅜ

수익률 손으로 계산하다보면 난감한 경우가 많더라고요 ㅎㅎ
쉽게 풀어주셔서 이해가 쏙쏙 되네요 :) 다음편도 기대할게요~

귀찮아도 손이나 계산기로 직접 계산해보는 게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다음 편도 기대해주세요!

잘 배우고 갑니다^^
이번주 지원 마지막 응원왔습니다. 앞으로도 화이팅입니다!
/ 다니의 뉴비 지원 프로젝트(1월 1주)

1주일 동안 감사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려요. :)

산술 기하 조화 평균을 수학시간에 배우기만했는데, 적용 사례를 처음 보게되었네요. 다음 편도 기대됩니다!

산술 평균은 실생활에서 활용도가 높은데, 기하 평균은 어디 써먹어야할 지 이해하기 쉽지 않죠 ㅜㅜㅜ

@홍보해

0.14% @pushup from @mishana

This post has received gratitude of 0.29 % from @appreciator thanks to: @mishana.

You got a 0.39% upvote from @upme requested by: @mishana.
Send at least 2.5 SBD to @upme with a post link in the memo field to receive upvote next round.
To support our activity, please vote for my master @suggeelson, as a STEEM Witness

기하평균 기억하고 있겠습니다. 개발자시군요.

지금은 무직이지만 본업은 개발자이긴 합니다 😱. 기하평균을 둘러싼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있으니 다음 시리즈도 기대해주세요!

선 댓글 보팅 후 천천히 읽어보려고 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읽으셨기를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