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 사용되는 SuperTrend 지표를 많이 고쳐보았습니다.

in kr •  8 years ago  (edited)

SuperTrend란? 지난 글 참조
https://steemit.com/kr/@sjc333/supertrend-buy-and-sell-signal
한줄 요약 : 매수, 매도 시점을 노골적으로 알려주는 지표
줄여서 '슈트'라고 하겠습니다.

이 슈트는 아마 오래전에 어떤 유명하고 현명하신 분이 만들었겠죠.
그런데 제가 써보니까 이게 하락장에서 흔히 말하는 데드켓에 자주 걸려서 손해를 많이 보더군요.
그리고 일봉이 아니면 쓰기가 어려울 정도로 신뢰도도 낮았구요.
물론 일봉도 좋은데 좀 더 빠른 대응을 원한다면 4시간 봉 정도가 적당해 보였습니다.

그래서 슈퍼트렌드 소스코드를 대략 이해하고, 많은 부분을 새로만들어거나 수정했습니다.
그리하여

https://kr.tradingview.com/script/hUN01mIR/

이것을 만들었습니다.


트레이딩뷰에서 지표추가하는 방법.

우선 트레이딩뷰 가입해야합니다. 그뒤에 저렇게 지표(스크립트) 페이지를 찾아야합니다.
제 지표 페이지에 가서 스크롤을 내리다보면
Add to favorite scripts
버튼이 있는데, 이걸 누릅니다.
이제 차트를 하나 엽니다.
저는 주로 상단에 박스 중에 '티커' 라는 글자 오른쪽에 있는 > 버튼을 누릅니다.
차트를 보는 중에 상단 버튼들 중에 중앙쯤에 '지표' 가 있습니다. 누릅니다.
창이 뜨는데 왼쪽 상단에 '즐겨찾기' 가면 자신이 즐겨찾기한 지표들이 나옵니다.
그걸 누릅니다.

지표를 너무 많이 추가했거나 지우고 싶으면
차트 왼쪽 상단이나, 지표전용 창의 왼쪽상단에 지표의 이름이 나오고 이름 오른쪽에 버튼들이 나옵니다.
거기서 X 누르면 그 지표가 사라집니다.


이제 제가 만든 슈트를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슈트 자체에 대한 사용법은 지난번 글을 참조하시고, 여기선 차이점만 설명합니다.
제가 만든 것은 전고점이나 전저점의 영향을 받도록 되어있습니다.
전고점의 영향을 받을 때에는 빨간선이 마치 기존 차트의 그림자같은 모습을 보입니다.
왜 그렇게 했냐면, 데드켓의 높이가 전고점 보다 높을 수는 없다고 생각해서입니다.
그래서 데드켓을 회피하기 위해, 대하락장에서는 매수신호를 안뜨게 하기 위해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전저점은 녹색선의 높이에 영향을 줍니다. 갑작스런 하락이 오더라도, 이것이 전저점보다 심하게 낮지 않다면 회피합니다.
물론 대하락이 시작된다고 판단되면 매도신호를 주게 됩니다.

결국 판단이란 매우 어렵고 복잡미묘하지만 최대한 여러차트들을 보면서 이 스크립트를 만들었고
4시간 봉을 기준으로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종종 -20% 의 피해를 보기도 하지만 큰 상승장이 오기전에는 발목에서 매수신호를 주고, 대략 오른쪽 어깨에서 팔 수 있습니다.
큰 하락장이나, 매우 불규칙한 흐름에서는 (EXP -BTC 차트가 심함) 이 지표도 불안정하게 움직이지만 연속해서 손해되는 거래만 시키지는 않아 보였습니다.

이 지표가 적용된 차트를 하나 올립니다.

클릭.png

최근 어딘가의 상장 호재로 큰 급등을하고, 찰리 개발 호재로 또 오르는 중인 LTC-BTC 차트 입니다.

상단에 지표 이름 우측에 나오는 톱니바퀴를 누르면 4가지 변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조정해보면 바로 감잡을 수 있습니다. 4시간봉 기준으로는 초기값을 권장하지만 자기가 최적값을 찾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빨간선이 끝나는 지점에서 매수, 녹색선이 끝나는 지점이 매도입니다.
그런데 왼쪽 하단은 손해보는 부분이죠. 큰 상승장 시작으로 인식했으나 하락중에 발생한 작은 상승에 불과해서 그렇습니다.
우측은 호재로 급등한 지점인데 여기선 크게 이득을 보고, 오른쪽 어깨가 끝나갈 때 매도신호가 뜨죠.
물론 더더더 높은 고점에서 팔았다면 좋겠죠? 그런것까지 소스코드 짧은 스크립트가 알리가 없습니다 ^^;;;

이 스크립트를 4줄로 설명하면.

  1. 상승이 왔을 때, 그것이 대상승의 시작이라고 생각되면 매수신호
  2. 하락이 심해지면 매도신호
  3. 전고점을 이용해 최대한 데드켓에서 매수 안하도록 설계 (대드켓이 전고점을 넘을 수가 없다는 전제)
  4. 전저점을 이용해서 큰 이득을 못보게하는 일시적인 하락도 피하도록 설계. 즉 페닉셀 방지 (지지선의 확실한 붕괴 인식)

지표이자 스크립트일 뿐입니다.
참고만 하시고 직접 판단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참, 변수 설정 꼭 해보세요.
4가지 변수를 설정해하는데, 차례 2 1 4 4로 바꾸어서 4시간봉의 eth-btc 차트를 보니 재미있군요.
이더4시봉 2 1 4 4.png
단타 스타일이라면 2 1 4 4 설정도 할만하겠군요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와... 사실 이 쪽으로는 문외한이라서 틈나는 대로 관련 포스팅들을 읽고 있습니다. 팔로우합니다^^

^0^ 감사합니다!!

우왕.. 좀 어렵지만 좋은 글 잘보았습니다. 전문가신거같네요.

  ·  8 years ago (edited)

투자는 전문가 아닙니다 ^^;;; 본업이 프로그래머인데 최근에 코인 시장을 보면서 취미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Congratulations @sjc333!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upvotes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

저같은 초보에게 무지 도움이 되네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