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Log Vol. 8 / 한국어 배우기

in kr •  6 years ago 

banner.png


저는 항상 한국 기사를 쓰면 역사를 사용해요. 근데 가끔 사람들이 논평 에서 불편하다고 그래서 저 혼자 한글로 쓰게 도전합니다. 저 배운말 다쓰고 문장을 고칠 필요가 있으면 알려주세요!


지난주…


@bree1042님 감사해요! 잘배우고있음니다.

  • Similarity - 유사성, Similarities - 유사점

저는 북한과 대한민국의 유사점 생각 많이해야돼요.
북한과 대한민국의 유사점에 대해 많이 생각해야돼요.
I need to think a lot about the similar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 To Focus - 집중하다, Differences - 차이점들

유사점 찾기보다 저는 북한과 대한민국의 차이점들만 집중했어요.
유사점보다는 북한과 대한민국의 차이점에 더 집중했어요.
Rather than finding similarities, I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 Opinion - 의견

저 발표를 하실때 저의 의견도 뭔지 알아드런거도 중요해요.
발표를 할 때 자기 의견이 뭔지 아는 게 중요해요.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my opinion when I am giving my presentation.


  • Equilibrium - 평형, To Conquer - 정복하다

북한과 대한민국 통일할때 한쪽을 정복하면 안돼요.
남북이 통일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정복하면 안돼요.
When North and South Korea unify, one side cannot conquer the other.


08/30/2018


  • Curriculum - 과정, Hanawon - 하나원

저는 하나원의 과정에 연구를 더 해야돼요.
I need to do more research on the curriculum of Hanawon.


  • Stakeholder - 투자자, Diagram - 도표

유니티코인의 투자자 도표
Stakeholder Diagram for UnityCoin

저는 유니티코인를 더 이해할라고 유니티코인의 투자자 도표를 해야돼요.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UnityCoin, I need to develop UnityCoin’s stakeholder diagrams.


발표를 데이터가 없었어 저 개성공업지구의 연구를 했어요.
Because there was no data in my presentation, I did research on the Gaesong Industrial District.


  • Revenue - 수익, Earned - 얻은, Amount - 숫자

회사 숫자의 vs. 얻은 수익
Amount of Companies vs. Revenue Earned


  • Rate - 속도, Increase (noun) - 증가, To Stagnate - 정체하다

2009년에 회사의 숫자 속도의 증가가 정체했어요.
In 2009, the rate of increase for the number of companies stagnated.


다시 한번, 틀린 것이 있으면 말해주세요! 감사합니다.

footer2.png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한국 기사를 쓸 때 '역사'가 아니라 '번역기'를 쓰신다는 말씀이시죠?

저는 하나원의 과정에 연구를 더 해야돼요.
=> 하나원의 커리큘럼에 대해 더 많이 연구해야 돼요.

하나원이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지 모르겠는데요. 만일 대학이나 학원처럼 뭔가를 가르쳐주는 거라면 커리큘럼을 '교과 과정'이라고 번역해야 하는데, 그런게 아니라면 의미가 애매해서 그냥 '커리큘럼'이라고 그대로 놔뒀어요.
그냥 '과정'이라고 하시면 process가 떠올라요.

저는 유니티코인를 더 이해할라고 유니티코인의 투자자 도표를 해야돼요.
=> 유니티코인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유니티코인의 투자자 도식을 만들어야 해요.

발표를 데이터가 없었어 저 개성공업지구의 연구를 했어요.
=> 제 발표에 데이터가 없었기 때문에 개성공단에 대한 조사를 했어요.

2009년에 회사의 숫자 속도의 증가가 정체했어요.
=> 2009년에는 회사 증가추세가 정체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