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이야기] 지열 발전

in kr •  6 years ago 

illustration by @leesongyi


지열 발전

지열의 비중은 높지 않다. 우리나라 에너지 생산에 비중이 높지 않은 신재생에너지(1차 에너지 대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비중 5.45%) 중에서도 겨우 1.1%만을 차지한다.

지열발전은 1904년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초기에는 화산지대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나, 증기 터빈방식이 아닌 바이너리 방식을 이용해 지열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85~170도)에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있다.

image.png
지열발전소

포항에 지어진 우리나라 최초 지열발전소는 바이너리 방식 가운데 인공 저류층 지열시스템(EGS, Enhanced Geothermal System) 기술을 사용한다. 2012년 시추 작업을 벌여 두 곳에 주입공을 뚫었는데 두 주입공의 깊이는 4,382미터, 4,348미터이다.(우리나라 시추 깊이로는 최고 깊이다) 땅 속 깊이 뚫은 구멍으로 물을 넣어 대수층을 만들고, 뜨거운 암반에 데워진 물은 증기로 바뀌어 관을 따라 지상으로 나와 발전기 터빈을 돌려 전력을 생산한다. 물로 전력과 열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포항 지열발전소는 2016년 1월부터 물 주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지열발전소는 청정에너지에 가깝지만, 한가지 문제가 있다. 지진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Congratulations @yoon!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published more than 800 posts. Your next target is to reach 850 posts.
You published a post every day of the week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