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이야기]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생산량

in kr •  6 years ago 

illustration by @leesongyi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2017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46,623GWh (전체 발전량의 8.08%)의 세부 내역을 보면 우리의 예상과는 조금 다를 것이다.

가장 많은 발전을 차지하는 것은 폐기물 에너지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절반을 넘게 차지한다. (23,867GWh, 51.2%) 그 다음은 바이오에너지다. (7,466GWh, 16.0%), 가장 주목 받고 있는 태양광은 세번째였다. (7,056GWh, 15.1%)

네번째는 수력 6.0%, 다섯번째는 풍력 4.7%, 여섯번째는 연료전지 3.2%, 일곱번째는 IGCC(석탄을 액화, 가스화한 에너지 및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하여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2.8%, 여덟번째는 해양에너지(해양의 조수, 파도, 해류, 온도차 등을 변환시켜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설비) 1.0%였다.

스크린샷 2019-05-25 오후 10.38.51.png
출처 : 2017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통계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생산량 비중으로 보면 발전량과는 순서가 조금 달라진다.

2017년 신재생에너지 전체 생산량은 16,448,386toe인데, 폐기물 56.9%, 바이오 21.9%, 태양광 9.2%, 수력 3.7%, 풍력 2.8%, 연료전지 1.9%, IGCC 1.7%, 지열 1.1%, 해양 0.6%, 태양열 0.2% 순이다.

스크린샷 2019-05-25 오후 10.38.36.png
출처 : 2017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통계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Thank you for your continued support towards JJM. For each 1000 JJM you are holding, you can get an additional 1% of upvote. 10,000JJM would give you a 11% daily voting from the 600K SP virus707 account.

수력 발전량이 태양광보다 적은 것은 정말 의외네요;;

태양광이 상당히 많이 늘어나긴 했습니다. :)

신재생에너지에는 태양광이 특히 많이 알려져 있어서 비율이 높을 줄 알았는데, 폐기물이 가장 높다는 게 놀랍네요:0

Hi @yoon!

Your post was upvoted by @steem-ua, new Steem dApp, using UserAuthority for algorithmic post curation!
Your UA account score is currently 3.973 which ranks you at #3628 across all Steem accounts.
Your rank has dropped 3 places in the last three days (old rank 3625).

In our last Algorithmic Curation Round, consisting of 375 contributions, your post is ranked at #225.

Evaluation of your UA score:
  • You're on the right track, try to gather more followers.
  • The readers like your work!
  • You have already shown user engagement, try to improve it further.

Feel free to join our @steem-ua Discord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