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 프렉티스-수련하는 인간

in krcalligraphy •  10 months ago 

image.png

호모 사피앤스는 라틴어로 ‘슬기로운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동물과는 다른 사람의 수승한 점을 잘 표현한 단어인데요. 저는 최근 고대한자를 연구하면서 묘한 착안이 있었습니다. 사람이 동물과 다른 가장 큰 장점은 바로 수련하는 사람이 아닌가-라는 것입니다. 즉 호모 프렉티스입니다. 제가 수련을 하는 사람이어서 그런 시각을 가졌는지도 모릅니다만…
사람 인(人)의 고대문자를 보면 묘합니다.

image.png

이 모양은 사람의 어떤 면을 그린 것일까요?
사람이 서 있는데 다리를 읹은 형상도 있지만 약간 엉거주춤 구부리고 있는 게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손을 살짝 아래로 드리우고 있죠? 이것은 수련의 대표적인 다리자세-참장공을 한 상태에서 두 손으로 단전, 아랫배의 기운을 보호하는 답구소복(疊扣小腹)이라는 자세 아닙니까?
한 글자 더 보자면 여자 여(女)가 있습니다.

image.png

이 여(女)라는 문자는 사내 남(男)보다 훨씬 먼저 생긴 글자이며 씨앗한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 최초의 창조여신이라 하는 여와(女媧)는 고대 중국의 전설상의 황제인 복희(伏羲), 신농(神農)과 함께 삼황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그 모양이 사람 인(人)을 비스듬히 돌려서 구체적으로 본 느낌이 있습니다.
무릎꿇은 자세도 드물게 있으나 역시 무릎은 주로 엉거주춤 참장공을 하고 있고 두 손은 정확히 교차하여 단전을 보호하고 있지요?
인간이 수련(修煉)을 한다는 것은 뭘까요?
사람의 층차에 머물지 않고 다시 하늘로 다시 신의 층차로 나아가려는 몸짓입니다. 우리는 아매바나 원숭이에서 진화한 존재가 아니라 잠시 이 물질계에 내려왔다가 머물고 있는 신이기 때문입니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신은 우리에게 계속 점화하고 있고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문자입니다.
문자란 태초에 하늘이 사람의 뇌에 점화해 준 것이지요. 그래서 특히 초기의 상형문자들은 신과 인간의 연결점을 매우 극명하게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아홉 구(九)의 고대 상형을 보면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인간이 신에게 엎드린 모습입니다. 또 한 탐구하는 형상이지요. 그래서 탐구(探究)하고 연구(硏究)하는 인간의 기본적 자세가 나오는 것입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저도 호모 프랙티스입니다!
흥미로운 해석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