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탄(風樹之歎)

in krsuccess •  2 days ago 

'바람과 나무의 탄식'라는 뜻의 '풍수지탄'은 유교 경전인 사서삼경중 하나인 시경(詩經)의 해설집인 한시외전(韓詩外傳) 제9권에 등장하는 말입니다.

'나무는 멈춰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질 않고, 자식이 봉양하고자 하나 부모는 기다려 주지않네'라는 뜻으로 유명한 수욕정이풍부지 자욕양이친부대(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의 구절에서 유래한 풍수지탄은 공자가 자기 뜻을 펴기 위해 떠돌아다니던 시절, 어디선가 누군가가 우는 소리가 들려 다가가보니 고어(皐魚)라는 사람이 울고 있었습니다.

이에 이유를 물어보니 "저에게는 세 가지 한(恨)이 있습니다. 첫째는 공부를 한다고 집을 떠났다가 고향에 돌아와 보니 부모님이 이미 세상을 뜬 것이며, 둘째는 저를 받아줄 군주를 어디서도 만나지 못한 것이며, 셋째는 서로 속마음을 터놓던 친구와 사이가 멀어진 것입니다." 하고는 다음과 같이 말을 이었다.

"나무는 멈춰있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질 않고(樹欲靜而風不止), 자식이 모시고자 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습니다(子欲養而親不待)."

이 말에 깊은 생각에 잠긴 공자는 나중에 제자들에게 풍수지탄이라는 말과 함께 이 이야기를 소개했다 합니다. 그러자 따르던 제자 중 13명이 고향으로 돌아가 부모님과 남은 시간을 함께 했다고 전해집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