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질환에 효능이 있는 다슬기

in krsuccess •  2 years ago 

image.png

중복족목 다슬기과에 속하는 연체동물. 야행성으로 낮에는 수중 돌 밑이나 틈새에 숨어 있다가 어두워지면 슬슬 밖으로 나온다. 달팽이와 비슷해 보이지만 아강 수준에서 달라서 생물학적으로는 거리가 멀다.

패각은 탐형 또는 난형이며 표면은 나선형으로 주름지거나 오돌토돌한 돌기가 나 있는 종류, 그리고 매끈한 종류 등이 있다. 머리에는 한 쌍의 더듬이가 있고 그 아래 눈이 있으며 눈과 눈 사이에 입이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민물에 사는 다슬기류는 대부분 흑갈색 또는 황갈색을 나타낸다.

다슬기는 다른 복족류와 마찬가지로 딱딱한 패각을 가지고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몸의 모든 기관들이 안전하게 보호되며 수분의 증발을 막는 등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동시 넓고 편평한 발(foot)을 이용하며 발에서는 점액질이 분비된다. 치설로 부착조류 등 먹이를 갉아 먹는다.

담수성 연체동물은 대부분 난생이지만 다슬기류는 종에 따라 난생 또는 난태생의 특징을 가진다. 자웅이체이며 살아가는 동안 여러 번 반복해서 생식을 거듭하는 반복생식 형태의 연중 출산을 하게 된다. 수컷의 주요 교미 시기는 3월, 6∼9월이다.

다슬기는 다슬기해장국, 다슬기수제비를 비롯하여 다슬기엑기스 등 오랜 옛날부터 식용으로 기호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중요한 식용 및 약용자원이다. 예로부터 다슬기가 간질환에 효험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반위, 위통 및 소화불량을 치료한다.”라는 기록이 전해진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