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사항
본 블로그는 오직 정보 공유의 목적입니다. 투자를 추천하는 글이 아닙니다.
특정 코인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거래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This blog is only for information and not investing recommendations
#1 배경
PAC 노드마스터 구축(아래 참고 링크)방법을 알게 된 후 초기 비용이 저렴한 다른 코인은 없을까 찾다가 https://masternodes.online/ 에서 발견한 코인입니다.
PAC 노드마스터 구축 참고 링크
https://mayama01.tistory.com/34
https://www.ddengle.com/ann/13183645
#2 NodeStats 정보
코인정보 : https://masternodes.online/currencies/NS/
Nodestats (NS) masternode - MasterNodes.Online
Nodestats (NS) masternode investment comparison tool features the most accurate and detailed stats and a free anonymous monitoring tool to track your own masternodes.
masternodes.online
2021/8/7 정보
#3 wallet 설치
자신의 맥북에 아래 버전을 설치합니다. (2021.8 현재 최신버전은 1.1 입니다.)
https://github.com/NODESTATS-NS/nodestats/releases/download/v1.1/macOS-Wallet-1.1.dmg
설치후 기동되면 월렛을 NodeStats 블록체인과 동기화해야 합니다.
동기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Users/myname/Library/Application Support/Nodestats/nodestats.conf 파일에 다음의 주소를 기술
(동기화 주소는 discord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addnode=208.167.248.31:22440
addnode=8.9.36.14:22440
addnode=45.77.98.124:22440
addnode=176.123.2.135:22440
addnode=107.191.37.172:22440
addnode=[2409:4042:789:76bd:4573:9fbd:2760:3b0e]:22440
addnode=116.203.94.215:22440
addnode=195.22.153.54:22440
addnode=161.35.210.139:22440
addnode=167.99.241.237:22440
addnode=189.205.192.13:22440
addnode=[2a01:4f8:c0c:e53b::1]:22440
addnode=46.173.218.141:22440
addnode=[2001:4ba0:cafe:139e::1]:22440
addnode=217.79.178.101:22440
wallet을 재기동 한 후 Peers탭을 확인하면 노드가 동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동기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됩니다.
아래 왼쪽 녹색바가 peer활성화, 오른쪽 노란색이 동기완료된 마크입니다.
#4 NS코인을 월렛으로 전송 및 월렛 설정하기
먼저 NS코인을 구입해야 하는데 구입하는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https://masternodes.online/currencies/NS/ 에서 살 수 있는 market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https://crex24.com/ 에서 구입을 해봤습니다.)
구입후 월렛 주소로 전송을 합니다.
마스터 노드로 동작할려면 정확히 45,000 NS가 담보(collateral)되야 합니다.
(2021/8/7 40,000 NS에서 45,000 NS로 변경됨)
45,000 NS가 월렛에 전송된 후
- Tools -> Debug console 에서 getmasternodeoutputs (masternode outputs 과 동일)을 실행해서 나오는
TransactionId(txhash) 와 Output index(outputidx)를 메모해 둡니다.
(제대로 전송되지 않았다면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또한 45,000 NS 이상을 전송해도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 맥북의 /Users/myname/Library/Application Support/Nodestats/masternode.conf 설정시 필요
[
{
"txhash": "*****************",
"outputidx": 0,
"phase": 13
}
]
- Tools -> Debug console 에서 createmasternodekey (masternode genkey 과 동일) 을 실행해서 나오는 결과를 메모해 둡니다.
- VPS에서 nodestats.conf 설정시 필요
주의사항
masternodeprivkey 는 타인에게 공유하면 절대로 안됩니다.
$ cat masternode.conf (macbook side)
Masternode config file
Format: alias IP:port masternodeprivkey collateral_output_txid collateral_output_index
Example: mn1 127.0.0.2:22440 93HaYBVUCYjEMeeH1Y4sBGLALQZE1Yc1K64xiqgX37tGBDQL8Xg 2bcd3c84c84f87eaa86e4e56834c92927a07f9e18718810b92e0d0324456a67c 0
MN1 [VPS IP]:22440 [createmasternodekey] [TransactionId] [Output index]
#5 VPS 에 마스터노드 설치
제가 이용한 VPS는 vultr.com 입니다.
vultr.com 에 가입하실때 아래 링크를 통해서 가입하시면 100달러를 받으실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https://www.vultr.com/?ref=8850405
Step 1: 마스터 노드를 다운로드 합니다.
wget https://github.com/NODESTATS-NS/nodestats/releases/download/v1.1/Linux-Masternode-1.1.zip
Step 2: 압축을 해제합니다.
apt install unzip
unzip Linux-Masternode-1.1.zip
Step 3 : 압축을 해제 후 3개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적당한 디렉토리로 옮깁니다. 저의 경우는 ~/NodeStats 디렉토리)
~/NodeStats# ls -al
total 25884
drwxr-xr-x 2 root root 4096 Aug 2 11:01 .
drwx------ 11 root root 4096 Aug 2 11:26 ..
-rwxr-xr-x 1 root root 2700552 Mar 6 22:38 nodestats-cli
-rwxr-xr-x 1 root root 13448248 Mar 6 22:42 nodestatsd
-rwxr-xr-x 1 root root 3486792 Mar 6 22:38 nodestats-tx
다음과 같이 3개의 파일에 실행권한을 부여합니다.
~/NodeStats# chmod +x nodestats*
Step 4: 실행후에 아래 디렉토리로 갑니다.
~/NodeStats# cd .nodestats
Step 5:
cat nodestats.conf (VPS side)
rpcuser=USERNAME
rpcpassword=PASSWORD
rpcport=22441
addnode=116.203.94.215
addnode=46.173.218.141
txindex=1
listen=1
server=1
daemon=1
masternode=1
logintimestamps=1
maxconnections=64
bind=IP
masternodeaddr=IP
masternodeprivkey=PRIVKEY
Step 6 : 마스터 노드를 실해합니다.
~/NodeStats# nodestatsd &
~/NodeStats# nodestats-cli getinfo 를 실행해서 nodestasd 가 실행이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version": 1010000,
"protocolversion": 90052,
"walletversion": 61000,
"balance": 0.00000000,
"blocks": 0,
"timeoffset": 0,
"connections": 0,
"proxy": "",
"difficulty": 0.000244140625,
"testnet": false,
"moneysupply": 0.00000000,
"keypoololdest": 1627902105,
"keypoolsize": 1001,
"paytxfee": 0.00000000,
"relayfee": 0.00010000,
"staking status": "Staking Not Active",
"errors": ""
}
~/NodeStats# nodestatscli masternode status
{
"txhash": "***",
"outputidx": 0,
"netaddr": "VPS IP:22440",
"addr": "***",
"status": 4,
"message": "Masternode successfully started",
"phase": 13
}
모든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월렛에서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OVERVIEW탭
MASTERNODES탭
마지막으로 마스터 노드에 표시되는 Pubkey로 https://explorer.masternodes.online/ 에서 상태를 확인합니다.
https://explorer.nodestats.info/address/[Pubkey] 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6 설정파일 Summary
안녕하세요 스팀잇 세계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저는 여러분이 스팀잇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응원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한번 끝까지 읽어보시고 STEEMIT-초보자를위한 가이드
혹시나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 저 혹은 @ayogom, @jungjunghoon, @powerego, @tworld, @dorian-lee, @bluengel, @bitai, @kinghyunn, @maikuraki 님께 댓글 주시면 친절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카카오톡 방에서 궁금한 점도 한번 해결해 보세요. 많은 스팀잇 경험자 분들께서 언제나 궁금한 부분을 즉시 해결해 주실 것입니다. 카카오톡 대화방 바로가기 패스워드(1004)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