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231.jeju.kr/wp-content/uploads/2018/03/007-9.jpg)
![alt](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231.jeju.kr/wp-content/uploads/2018/03/001-10.jpg)
난 빨래가 있는 풍경이 좋아.
정확히 말하면 빨래가 보이는 길이 좋아, 동네가 좋아.
![alt](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231.jeju.kr/wp-content/uploads/2018/03/002-14.jpg)
이유는 잘 설명할 순 없지만, 걷다가 빨래들이 춤을 추는 모습을 보면 괜히 기분이 좋아져.
물론 빨래가 걸려있다는 것은 맑고, 햇볕이 좋은 날일 경우가 많으니까 날씨 탓일수도 있어. 하지만 그걸로 다 설명되진 않지.
![alt](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231.jeju.kr/wp-content/uploads/2018/03/005-16.jpg)
아무도 없는 골목, 그리고 높다란 벽이 있는 집들 사이에서 빨래는 '여기에 사람이 살아요'하고 말을 건네는 것 같아.
![alt](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231.jeju.kr/wp-content/uploads/2018/03/004-16.jpg)
마치 아무 생각없이 걷던 길가에서 갑자기 꽃을 피우는 나무처럼 사계절 회색빛으로 박제된 시멘트 담벼락 사이에서 매번 다르게 피어 펄럭거리는 모습은 삶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 같아. 거기에 살고 있는 누군가가 입던 옷들, 약간은 헤진, 약간은 바랜, 그런 옷들이 햇볕과 바람을 온 몸으로 받으며 깨끗하게 수분을 빼가는 모습은 뭔가 인간적이기도 하고. 무언가를 말린다는 것, 햇볕과 바람에 의지할수 밖에 없다는 것은, 왠지 자연에 순응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해. 그래서인지 빨래를 만나면 동네가 친근하게 느껴져.
![alt](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231.jeju.kr/wp-content/uploads/2018/03/008-7.jpg)
건축가 유현준씨는 책에서 빨래에 대해 이런 말을 썼더라고.
"결국 도시를 훌륭하게 완성하는 것은 그 안에서 사는 사람들의 삶이다. (중략) 이런 면에서 홍콩의 도시 속에 널린 빨래를 쳐다보자. 그 건축물은 빈민촌에 가까운 풍경이지만, 빨래가 도시에 컬러를 입히고 생동감 넘치게 해준다" (유현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中)
![alt](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231.jeju.kr/wp-content/uploads/2018/03/31g_FUN_1519_001.jpg)
이 글에 절대 공감해. 이 분은 건축가이지만, 이런 생각으로 건축을 한다는 건 멋진 일인것 같아.
세련되게, 멋지게 만이 아니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보이게 한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야. 그것이 건축이든, 책이든, 예술이든 말이야.
![alt](https://steemitimages.com/640x0/http://231.jeju.kr/wp-content/uploads/2018/03/007-10.jpg)
오늘은 밀린 빨래나 할까봐. 속옷도 널어야 할까?
Posted from my blog with SteemPress : http://231.jeju.kr/%eb%82%9c-%eb%b9%a8%eb%9e%98%ea%b0%80-%ec%9e%88%eb%8a%94-%ed%92%8d%ea%b2%bd%ec%9d%b4-%ec%a2%8b%ec%9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