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둘이싸우지마 입니다.
여러분께 한 가지 미션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집에 가서 부모님이나, 친지께 “할아버지 할머니는 고향이 어디예요?"라고 물어보세요.
남한이 고향인 할아버지 할머니도 계시겠지만 북에서 오신 분들도 꽤 있으실 겁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잘 알 수는 없지만 8·15 광복 이후 북한 지역에서 남한으로 넘어오신 분도 있고, 6·25 한국전쟁 때 북한에서 남한으로 피난 오 신 분도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이들을 바로 ‘이산가족’이라 부릅니다.
TV에서 한 번씩 들어보았지 저를 포함해 대부분의 국민 분들은 전쟁을 직접 겪지 않은 세대이기 때문에 와닿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생각해봅시다. 여러분들과 함께하는 부모님 또는 형제, 친구를 앞으로 평생 볼 수 없다면 어떤 감정이 들까요?
자! 이번 시간에는 이산가족이 어떻게 발생되었는지 이들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나아가 앞으로 우리는 어떤 마음을 가져야 할지 고민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대한민국 법에서는 이산가족을 이렇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남북 이산가족’ 이란 이산의 사유와 경위를 불문하고, 현재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이하 남한)과 군사분계선(한국의 경우 1953년 7월 27일에 성립한 '한국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에 규정된 휴전의 경계선을 말하며, 이것이 이른바 휴전선이다. 그 길이는 모두 155마일(약 250km)로, 동해안의 간성(杆城) 북방에서 서해안의 강화(江華) 북방에 이른다). 이북지역(이하 북한)으로 흩어져 있는 8촌 이내의 친척·인척 및 배우자 또는 배우자이었던 자를 말한다.
생소하고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지만 풀어서 설명하자면, 우리가 일본으로부터 식민통치를 받다가 1945년 8·15 광복을 맞게 됩니다. 하지만 산 넘어 산이었어요. 당시 힘이 센 나라였던 소련과 미국이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명분으로 한반도에 들어오게 됩니다. 어떤 선을 기준으로 들어왔을까요?
3·8도 선을 기준으로요. 이들은 임의로 선을 긋고 남쪽에서는 북쪽으로 북쪽에서는 남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합니다. 여기서 이산가족이 발생합니다. 이후, 또 한 번 이산가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여러분들이 잘 아는 6·25 한국전쟁의 발발입니다.
그렇다면 이산가족의 발생 수는 몇 명이나 될까요?
남북을 합해 약 1000만 명 이상이 넘는다고 합니다. 엄청난 숫자죠? 남한의 인구가 약 5천만 명으로 보면 약 5분의 1이 해당된다고 합니다. 그러니, 이웃집 할아버지나 할머니, 우리 할머니도 해당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아는 바와 같이 현재 우리는 남북을 자유롭게 왕래하지 못합니다.
때문에 이산가족들은 헤어지고 나서 한 번도 보지 못하고 돌아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어? 왜 갑자기 돌아가실까요? 한국전쟁이 발생 한지 벌써 67년이 넘어가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산가족의 연령이 높아지고 고령화로 인해 돌아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살아 계신 분들은 평균 연세가 어떻게 될까요?
남한에서 이산가족 현황에 등록되어 있는 이산가족은 13만 명입니다. 그중 ① 90세 이상이 1만 명, ② 80-89세 2만 5천 명, ③ 70-79세 1만 3천 명, ④ 60-69세 5천 명, ➄ 59세 이하 4천 명으로 집계됩니다. 살아계신 이산가족은 하루하루를 북녘에 두고 온 가족을 그리워하며 살고 있습니다. 가족이 살아 있을지, 돌아가셨을지도 모르는 데 말이죠. 이렇게 갈등에서 시작된 전쟁은 무고한 사람들이 죽거나 다치거나,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는 사실 여러분들도 기억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더욱 슬픈 사실은 이산가족을 신청한 13만 명 중 약 6만여 명만 살아계시고 나머지 7만 명은 이미 돌아가셨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돌아가실 분들이 더 많아질 예정입니다.
그러면 좀 더 상세히 우리는 누구를 이산가족이라고 할까요?
월남인
월남인은 남북의 경계선 즉, 3·8도 선이나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에 사는 사람을 뜻합니다. 이들의 동기는 북의 체제하에서는 살 수 없다고 생각한 사람이나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을 말합니다.
피랍치인
휴전 이후 북한으로 납치된 사람은 총 3,835여 명입니다. 많죠? 이들을 납북자라고 하는데 본인들의 의사와 관계없이 억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납북자 중 3,310명은 남북 이후 6개월부터 1년 이내에 귀환하였고 9명은 2000년 이후 탈북 귀환하였습니다. 2015년 말 기준으로 아직까지 북한에 억류된 납북자는 516명 정도로 추정됩니다.
공작원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으로 역사적으로 실체를 인정받은 ‘남파 공작원’, ‘북파공작원’ 및 그 과족도 한국전쟁이 만들어낸 이산가족입니다. 공작원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자기편에 유리하도록 일을 꾸며 활동하는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공작원들은 특수 훈련을 받고 남한이나 북한에 보내져 비밀 활동을 한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해외 이산가족
남북 이산가족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고향을 찾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일제 강점기 때 고향을 떠나 러시아를 비롯해 독립국가연합으로 향했던 옛 고려인들과 한국전쟁을 피하기 위해 일본, 미국, 중국 등 세계 각국으로 이주했던 사람들입니다.
북한이탈주민
여러분들은 북한이탈주민을 아시나요? 북한을 탈북해 대한민국에서 정착한 사람들을 북한이탈주민이라고 합니다. 이들도 새로운 이산가족으로 보고 있습니다.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3만여 명이 넘었습니다. 혹시, 우리 반에도 고향이 북한인 학생들도 있을지도 몰라요. 그러니 부지런히 북한과 통일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그동안 남북은 2002년부터 공식적으로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졌습니다. 이 중 약 1만 6천 명의 이산가족만이 남북 관계가 좋은 시기에 단 한 번 만날 수 있었습니다. 아직 만나지 못한 이산가족의 수는 훨씬 많지만 이들의 나이가 많기 때문에 평생 그리던 가족을 보지 못하고 눈 감을 확률이 높습니다. 우리가 와닿지 않는다고 해서 이산가족 문제를 풀지 못한다면 이들의 아픔은 누가 대신할 수 있을까요?
분단으로 인한 고통이 있었고, 앞으로는 이러한 일들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의 결과로 이산가족의 정례화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모든 문제 중 가장 우선해야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산가족 문제 하루 빨리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읽어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포스팅, 팔로우는 글쓴이의 힘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이산가족들이 하루라도 빨리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다들 고령인지라...시간이 얼마 안남았잖아요.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Congratulations @skyshoot!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