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Hide Resteemsnaksan (48)in kr • 3 years ago[문광스님 미국에 가다] 미국에서 만나요!naksan (48)in kr • 3 years ago2022.17.13 문광스님 미국 순회하며 한류, 한국불교학 강연불교신문에 ‘문광스님의 한국학에세이’를 연재하고 있는 동국대 HK 연구교수 문광스님(조계종 교육아사리)이 UCLA 한국불교학 지원을 위한 순회 강연회를 갖는다. 창간 33주년을 맞은 미주현대불교(발행인 김형근)는 8월3일 산호세, 8월6일 로스엔젤레스, 8월14일 뉴욕·뉴저지에서 문광스님 초청 미주 순회강연회를 개최한다. 주제는 ‘한류의 원천은…naksan (48)in kr • 3 years ago2020-0822 [한국학에세이] 13 한국 고승들의 서예와 선(禪)➲ 선문화와 선미학(禪美學) 문화(文化)와 미학(美學)을 빼놓고서 한국학을 논할 수 없다. 공자는 인생이 깊어지는 과정을 “도에 뜻을 두고(志於道), 덕에 의거하며(據於德), 인에 의지하여(依於仁), 예에 노닌다(游於藝)”고 하였다. 무엇이든 완성의 단계가 되면 예술의 경지에서 노닐게 되고 어떤 분야든 깊어지면 선(禪)이 된다고 했던가. 현재…naksan (48)in hive-103235 • 3 years ago2019.11.25 문광스님, 첫 한암-탄허학술상 수상자로 선정(사)한국불교학회(회장 김성철)가 수여하는 첫 한암·탄허학술상 수상자로 조계종 교육아사리 겸 동국대 외래교수인 문광 스님이 선정됐다. 한암·탄허학술상은 한국불교학회가 주관하고 금강선원·월정사·탄허불교문화재단·한암문도회 후원으로 이뤄지며, 한암 스님과 탄허 스님 정신을 기려 불교학자 양성과 한국불교학 진흥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제1회 수상자로…naksan (48)in hive-196917 • 3 years ago2020-0802 [한국학에세이] 13 주한미국대사관과 세종문화회관을 통해 본 한미관계론➲ 광화문의 좌청룡과 우백호 중국의 수도 베이징(北京) 중심에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자금성(紫禁城)과 천안문(天安門)이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천안문 광장에서 앞을 바라볼 때 왼쪽인 좌청룡에 ‘중국 국가 박물관’이 위치하고 있고 오른쪽인 우백호에 우리의 국회에 해당하는 ‘인민 대회당’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아는 이는 드물 것이다.…naksan (48)in hive-103235 • 3 years ago2020-0719 [한국학에세이] 12 불교풍수는 대승풍수이자 공익풍수➲ 영원한 관심거리 풍수지리 나는 출가하여 30대 10년은 꼬박 공부만 했고, 그 다음 40대 10년은 강의를 병행하면서 공부를 했다. 올해 50세가 되어 되돌아보니 그동안 했던 강의들 가운데 가장 신나게 즐기면서 했던 강의는 ‘우리 땅’에 대한 강의였던 것 같다. 한국의 풍수지리학에 대한 강의는 매년 빼먹지 않고 했던 나의 자신 있는 인기주제 중의…naksan (48)in kr • 4 years ago2020-0619 [한국학에세이] 11 천안문과 광화문을 통해 본 한중관계론➲ 중국은 ‘논어’가 필요한 나라 한국과 중국이 수교를 하던 1992년, 나는 중어중문학과 2학년 대학생이었다. 수교 1년 전부터 대만으로 어학연수를 가던 관례를 깨고 북경어학연수가 생겨서 큰 변화가 있을 것을 짐작했지만, 갑자기 성사된 한·중 수교에 모두가 놀랐고 모든 것은 급변해 갔다. 나는 출가할 때까지 대학원 석사과정을 포함하여 총 10년간…naksan (48)in hive-103235 • 4 years ago2020-0530 [한국학 에세이] 10 일본은 국립중앙박물관의 별관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을 놓고 사회각층에서 논쟁이 벌어졌다. 왜색문화가 한국을 집어삼키지는 않을까 걱정했지만 막상 결과를 얻고 보니 정반대였다. 한국에서의 일본문화 열풍은 미미했고 일본에서는 거대한 한류(韓流)의 확산현상이 본격적으로 일어났다. 이때부터 친한파(親韓派)들이 대거 양산되기 시작했으니 지금 생각해보면 당시 한·일간에 문화교류를 하지…naksan (48)in hive-103235 • 4 years ago2020-0514 [한국학 에세이] 09 후지산과 북한산을 통해 본 일본문화론한국은 열강들로 둘러싸여 있다. 한국학을 보다 깊이 궁구하고자 한다면 한국을 둘러싼 주변국들을 바로 이해하고 그들과의 지혜로운 관계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앞으로 몇 차례에 걸쳐 일본, 미국, 중국의 문화론에 대한 단상(斷想)을 피력해 보기로 한다. ➲ 탐미와 야만의 이중주 ‘가까운 일본, 낯선 일본인!’ 우리는 일본인들이…naksan (48)in hive-103235 • 4 years ago2020-0424 [한국학 에세이] 08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가와 국민"➲ 코로나에 선거하는 유일한 나라 오늘은 경자년(庚子年) 4월19일이다. 60년 전 오늘은 바로 4·19 혁명이 일어났던 날이다. 1960년의 봄날에 대통령 선거가 있었던 것처럼 올해 4월15일에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세계적인 유행 속에서도 한국 국민은 투표율 66.2%라는 열띤 참여율을…naksan (48)in hive-196917 • 4 years ago2020-0328 [한국학 에세이] 07 "위기의 시대, 회통의 역사를 돌아보다"➲ 태극기, 세상에서 가장 난해한 국기 세계의 모든 국가의 국기 가운데 가장 난해한 국기를 꼽으라면 우리나라의 태극기는 틀림없이 상위에 랭크될 것이다. 인간이 남자와 여자의 두 성별만 있듯이 세상의 모든 것은 ‘음양(陰陽)’이라는 상대적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둘은 서로를 극하는 상극(相剋)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도움을…naksan (48)in hive-103235 • 4 years ago붓다빅퀘스쳔 13 - 동양학에서 보는 새해의 의미 / 불광미디어동국대 불교학술원 외래교수 문광 스님이 동양학으로 바라본 새해의 의미를 탐구했다. 문광 스님은 2021년 신축년(辛丑年)을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음양오행으로 설명했다. ‘신’은 금(金)의 속성을, ‘축’은 토(土)의 기운을 띠고 있다. 문광 스님은 “음양오행의 중간인 토는 과도기적 의미가 있다”며 “올해는 그동안 해왔던 일들이 마무리되는 양상으로…naksan (48)in hive-103235 • 4 years ago2020-0328 [한국학 에세이] 06 "미륵과 예수"문광스님의 한국학 에세이 06 (불교신문, 2020.03.28) "미륵과 예수" ➲ 한반도 미륵하생신앙의 전통 우리 한반도에 미륵이 하생한다는 삼국시대의 신앙은 8세기에 진표율사(眞表律師)가 미륵을 친견하면서 그 정점에 이르렀다. 진표율사는 변산반도의 부사의방(不思議房)에서 망신참회(亡身懺悔)를 통해 지장보살을 친견하고 계율을 받았으며…naksan (48)in hive-103235 • 4 years ago2020-0215 [한국학 에세이] 05 "요한계시록과 탄허스님"문광스님의 한국학 에세이 05 (불교신문, 2020.03.14) "요한계시록과 탄허스님" ➲ 신천지 교회와 요한계시록 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가 전 세계를 집어삼키고 있다. 그런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기독교계로부터 이단으로 지목받아왔던 신천지 교회를 통해 감염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모두의 이목이 이…naksan (48)in hive-103235 • 4 years ago[신년인사] BTN / 2021년 신축년BTN 신년인사입니다. 스티미언 여러분도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하시면 좋겠습니다.naksan (48)in hive-103235 • 4 years ago[화엄학] #1 화엄경이란화계사 경전반 특강 - 화엄학 "제1강 : 화엄경이란"naksan (48)in zzan • 4 years ago[한문불전의 기초] 2020 01 07 제2강 : 동아시아 한자문명과 통일이후의 한국불교동국대 특강 - 한문 불전의 기초 "제2강 : 동아시아 한자문명과 통일이후의 한국불교"naksan (48)in zzan • 4 years ago2020-0228 [한국학 에세이] 04 "봉준호 영화와 단전성(丹田性) 문화"문광스님의 한국학 에세이 04 (불교신문, 2020.02.15) "봉준호 영화와 단전성(丹田性) 문화" ➲ 한국영화, 어찌 이런 일이? 봉준호 감독의 영화 이 미국의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각본상, 국제영화상, 감독상에 이어 최고의 영예인 작품상을 수상하며 4관왕의 위업을 달성했다. 백인·남성 위주의 보수적인 할리우드에서 비영어권 언어로…naksan (48)in zzan • 5 years ago2020-0215 [한국학 에세이] 03 "단전성(丹田性) 문화②"문광스님의 한국학 에세이 03 (불교신문, 2020.02.15) "단전성(丹田性) 문화②" ➲ 단전성 문화란? 한국문화의 특징이 ‘단전성 문화’라고 한다면 ‘단전성’의 문화 특징은 과연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인지 하나하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단전(丹田)’의 사전적 의미는 심신(心身)의 정기가 모이는 곳으로 생명력과 활동력의 원천이…naksan (48)in kr • 5 years ago[한문불전의 기초] 2020 01 07 제1강 : 한자 아비투스와 현대의 한문교육동국대 특강 - 한문 불전의 기초 "제1강 : 한자 아비투스와 현대의 한문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