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CC] 웨이키체인 슈퍼노드 모집으로 "안정성 향상" 도모

in hive-101145 •  4 years ago 

지난번 글에서 웨이키체인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봤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temple1103/222309624777

다시한번 복기를 해보면...

웨이키 체인이란?

​웨이키체인은 3세대 블록체인플랫폼으로 DPOS와 BFT를 결합한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업용 퍼블릭 체인을 통해 주요 산업 영역에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을 제공이 목표

​웨이키체인의 장점?​

고성능 트랜잭선 처리능력(4500+ TPS), 효율적인 합의 메커니즘(DPoS + pBFT), 견고한 스마트 엔진(Lua + WASM) 계약, 블록체인 분산 제어 능력 등으로 업계 최고 수준

​이미 개발이 많이 완료되어 실질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블록체인으로 자체 메인넷을 구축한만큼 개별적 지갑도 보유

--

이러한 웨이키 체인에서 더높은 보안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슈퍼노드를 운영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슈퍼노드 운영관련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슈퍼노드는 dPoS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을 대표하여 몇몇 노드들이 블록을 생성하는데 그 몇몇에 해당되는 노드들이 슈퍼노드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이오스, 트론, 스팀 등에서 이 개념을 차용하여 dPoS 방식으로 체인을 운영중에 있으며, 블록생성자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보니, 더 안정적이고 빠르게 블록을 생성 할 수 있습니다. 대신에 완벽한 탈중앙화는 아니라는 오점을 남기고 있지요

간단히 생각하시면 PoS는 직접민주주의, dPoS는 대의민주주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웨이키체인은 현재 11개의 슈퍼노드를 운영중에 있는데

보안성, 분산화를 향상시키고, 네트워크를 좀더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이번에 10개의 슈퍼노드를 더 운영한다고 합니다.

슈퍼노드는 서버를 제공하고,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을 수집하며,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블록으로 패키징하고, 블록을 다른 블록으로 브로드캐스트 하며, 자신의 로컬체인에 블록을 추가, 블록체인의 개발을 촉진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슈퍼노드가 되면 얻는 잇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슈퍼노드를 운영하게되면 투표 보상과 기부금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1. 투표 보상​

노드 운영비, WICC 시장가격 등을 충분히 고려한 후 백서와 메커니즘에 언급된 투표 보상이 조정됩니다. 투표 보상은 인플레에 의한 WICC로부터 얻어지는데, 이는 연간 210만 WICC의 총 발행 부수의 1%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WICC 토큰은 21개의 슈퍼노드 사이에 균등하게 분배될 것입니다.​

또한 백서(현재 웨이키체인 보유)에 따라 발행된 180만 WICC는 외부 노드의 연간 투표 보상이 21만 WICC 이상임을 보장하기 위해 외부(비공식) 노드를 보조하는 데 사용될 예정입니다.​

  1. 기부금 보상​

웨이키체인재단은 기여도에 따라 분기마다 각 노드를 시상할 예정입니다. 기여 보상은 A, B, C, D, E의 다섯 가지 수준이 있습다.

각 보상은 60,000, 30,000, 20,000, 10,000 및 5,000 WICC입니다.​

네트워크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드 성과, 제품 개발, 중국 및 전 세계에서의 홍보, 제품 홍보 및 전환, 적극적인 거버넌스에 따라 기여도가 결정됩니다.​

슈퍼 노드 보상 (분기별로 5단계로 나누어 보상지급 - 2/17일 기준 400원)​

A = 60,000 WICC (1분기 = 6,000만원, 4분기 = 2억 4,000만원)​
B = 30,000 WICC (1분기 = 3,000만원, 4분기 = 1억 2,000만원)​
C = 20,000 WICC (1분기 = 2,000만원, 4분기 = 8,000만원)​
D = 10,000 WICC (1분기 = 1,000만원, 4분기 = 4,000만원)​
E = 5,000 WICC (1분기 = 500만원 , 4분기 = 2,000만원)​

노드를 운영하게 되면 상당히 큰 메리트가 생기는 것인데요. 그렇다면 슈퍼노드가 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우선, '슈퍼노드'가 되기 위한 기본 조건은 웨이키체인 생태계 발전의 비즈니스 모델, 구현 등 방향을 인식하고, 웨이키체인 생태계 번영에 적극 기여해야합니다.​

또한 이중 지출 공격과 51% 공격을 막기 위해 네트워크의 보안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웨이키 체인은 상위 21개 슈퍼노드 각각에 대한 투표수가 100만개 이상이 되어야합니다.​

그리고 슈퍼노드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최소 스펙​이 필요합니다

​1) 시스템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l 네이티브 배포: Ubuntu 14.x / Ubuntu 16.x / Ubuntu 18.x / CentOS 7.x와 같은 64비트 시스템과 같은 Linux
l Docker 배포: 모든 메인스트림 Linux 버전​

​2) 하드웨어 요구 사항(슈퍼 노드​)
l CPU: 8코어​
l RAM: 12GB​
l 하드 드라이브: £100GB(현재 모든 블록을 동기화하는 데 약 20GB의 하드 드라이브 공간이 필요합니다. 장기 사용을 위해 100GB의 하드 드라이브 공간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l Uplink broadband: ≥10 Mbps​
l Downlink broadband: ≥10 Mbps​

위의 조건이 만족된다면 슈퍼노드에 도전해 봄직하겠지요?

--

사실 우리같은 개미중의 개미들은 저것보다는 어떤 노드가 더 많은 위임보상을 주느냐가 더 중요할텐데
다음번에 기회가 되면 위임보상을 어디가 더 많이 주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정보의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wicc & wgrt 한국 공식 텔레그램
https://t.me/waykichainkr

wicc & wgrt 한국 공식 카카오톡방
https://open.kakao.com/o/gEhz9eYc

wicc & wgrt 한국 공식 스팀잇
https://steemit.com/@waykichain.post

#블록체인 #웨이키체인 #슈퍼노드 #DPoS #코인분석 #자산투자이야기 #웨이키지갑
#빗썸코인 #후오비코인 #위임지분증명코인 #코인추천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