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소생시켜놨더니 소송..?

in hive-111004 •  last year 

교통사고로 실려 온 환자를 살려내고 심정지에서도 소생시킨 응급실 의료진이 2억원에 달하는 배상소송에 시달려야 했다. 소송 사유는 회복 후 '눈이 나빠졌기 때문'이었다.

지난 2019년 9월 12일 새벽, 교통사고를 당한 A씨는 모 병원 응급실에 실려왔고 B 의사의 집도로 응급 수술에 들어갔다. 당시 의료진은 골반 골절, 장간막 손상, 폐 타박상 등을 진단하고 복막전 패킹, 혈관 결찰, 방광 봉합 수술 등을 시행했다.

수술로부터 열흘 후인 9월 22일 A 환자는 산소포화도 저하에 이어 심정지까지 발생했는데, 의료진은 인공기도삽관과 심폐소생술을 시행해 자발 순환을 회복시켰다.

그리고 소생으로부터 사흘 후 9월 25일, 의료진은 동공 반사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왼쪽 눈 동공의 하얀 이물질을 발견했다. 협진을 의뢰받은 해당 병원 안과는 좌안 각막궤양 및 점막 각막염으로 진단했다.

A 환자의 왼쪽 눈 교정시력은 사고로부터 3년 전인 2016년 기준으로 1.0이었으나, 현재는 0.16(근거리 0.2)이다. 이에 A 환자와 그 모친이 B 의사의 주의의무 소홀로 A가 실명에 이르게 했다며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이들은 A 환자에게 1억 6500만원을, 그 모친에게 1000만원을 배상할 것을 청구했다.

B 의사가 수술과 치료를 하면서 신체의 다른 부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소홀히 했고, A 환자의 눈이 강력한 불빛에 노출되도록 했다는 주장이다.

의정부지방법원고양지원은 지난 13일 "원고들의 주장은 더 나아가 살펴볼 필요 없이 받아들일 수 없다"며 소송을 기각했다.

진료 기록에 따르면 A 환자의 눈은 9월 25일까지도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 게다가 A 환자의 글래스고우 혼수척도(GCS) 중 개안반응 점수는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1점이었다. 재판부는 A 환자가 전혀 눈을 뜨지 않는 상태였으므로 불빛에 눈이 상할 리 만무하다고 판단했다.

또 "원고의 주장처럼 병원 외상 중환자실의 조도가 의료상 기준보다 과도하게 높은 상태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증거도 없다"며 "A는 교통사고로 다발성 외상을 입은 상태였는데, 사고 당시 좌안에 각막 창상이 발생했고 시간이 지나 각막 혼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출처: 의협신문

이런 경우 배은망덕 죄를 묻는 법 좀 있었으면 좋겠다.
기껏 살려놨더니 다른 환자들 못살리게 소송으로 의사 발목 잡는 사람들의 죄는 여러명 살인하는 거나 다름 없지 않나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

This post has been upvoted by @italygame witness curation trail


If you like our work and want to support us, please consider to approve our witness




CLICK HERE 👇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소송이 유행인가 저런것들은 그냥 죽게 내버려둬야하는데 말이죠

응급실 분위기가 불과 몇년사이 처참해진듯합니다ㅠㅠ

  ·  last year (edited)

세상엔 참 이해 할 수가 없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르게요ㅠㅠ 참 어려운 세상입니다

"물에 빠진 사람 구해주었더니 보따리 내놓으라한다"격이네요. 나

그르게요… 이런 경우가 정도의 차이가 있을뿐 심심치 않게 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