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5일 14:30 아군은 담당 지구 동부에 방어진지를 확립하여 적의 남하를 저지하고 북방 및 동북방의 적에 대하여 반격을 실시할 준비를 완료함과 동시에 담당 지구 서부 방어진지의 동, 동남 및 서남 방면의 적 행동을 계속 저지하려 하였다. 그러므로 제1군단으로 하여금 담당 지구 내 전 부대를 작전, 행정, 양면으로 통합지휘하게 하고 예하 각 사단에 대하여 지정된 지구 내의 방어진지를 확립시키는 반면 좌우 인접 부대에 대하여 부단히 접촉을 확립 유지하게 하였고, 제2군단 관하 각 사단에 대하여도 좌우 인접 부대와의 연결을 유지하게 하는 동시, 정면의 적을 교란시키고 요점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부적 반격을 전개 시키면서 현 방어선을 계속 확보하게 하였다.
특히 이때 아군 담당 지구 서부 방면 제1군단 정면에서 적 전차 부대와 포병의 활동이 지극히 활발하였으며 당시 아군의 군대구분은 아래와 같다.
제1군단 군단장 육군소장 김홍일
수도사단 사단장 육군대령 백인엽
제1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한신
제17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김희준
제18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임충식
기갑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백남권
포항지구전투사령부 사령관 육군대령 이정일
제25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이기건
제26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이백우
제1유격대 대장 육군중령 김용주
해병대 대장 해군소령 강기천
민부대 부대장 육군대령 민기식
제3사단 사단장 육군준장 김석원
제22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김응조
제23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김종순
제8사단 사단장 육군대령 최덕신
제16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김동수
제10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고근홍
제21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김용배
제2군단 군단장 육군준장 유재흥
제1사단 사단장 육군준장 백선엽
제11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김동무
제12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박기병
제13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최영희
제6사단 사단장 육군대령 김종오
제2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함병선
제7연대 연대장 육군중령 임부택
제19연대 연대장 육군대령 민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