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최초의 수학 박사학위를 받은 수학자시아의 소피아 코발렙스키야가 있다.
사실 원래 대학기관은 성직자를 양성하기 위한 기관이고, 성직자란 것이 대부분 남성이었기에 대학교육은 남성 위주의 수업이 될 수 밖에 없었다.
이 남성 위주의 대학을 깨나가기 시작한 것이 19세기 중후반이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수학자로는 러시아 출신으로 독일의 괴팅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코발렙스카야와 독일 출신으로 에를랑겐 뉘른베르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에미 뇌터가 있다.
에미 뇌터의 경우 대수학자 힐베르트의 지원으로 괴팅턴 대학의 교수가 되었지만, 후에 히틀러의 집권 이후 미국으로 도피하고 미국에서 병을 얻고 사망하게 됬다.
코발렙스카야는 바이어슈트라스[해석학에 수많이 등장하는 그 이름 Weierstrass, 평등 수렴을 만든 사람이다.] 의 아래에서 해석학을 연구했다. 박사 학위 후 코발렙스카야에게는 미탁 레플러의 도움으로 스웨덴에서 교수직을 얻고 강의를 했지만, 병으로 이른 나이에 사망했다.
코발렙스카야는 수학 이외에 여러가지 이야기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노벨이야기가 있다.
노벨이 코발렙스카야에게 구혼을 했으나 거절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실 코발렙스카야는 자리를 얻기 전까지 빈곤했으며, 일하던 상점의 사장과 결혼했다. 하지만 이 사장은 주식사기 관련하여 조사를 받고 일찍 자살했다고 한다. ]
이와 관련되서, 당시 스웨덴의 수학자 미탁-레플러와, 코발렙스카야, 노벨의 삼각관계 이야기도 나오기도 하는데 어느정도 신빙성이 있는지 모르겠다.
노벨이 노벨 수학상을 만들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소문이 있다.
최초라니 대단하네요! 에미 네터와 코발렙스키아 두 사람 다 결국 교수가 되었군요. 위대한 수학자는 대부분 교수가 되는건가요? - 그나저나 busy의 중복 오류가 있어요! 에미 네터의 문단이 중복되었어요.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
busy 에서는 중복된게 안 보이네요 ㅎㅎ 한번 스팀잇이나 스팀짱으로 확인해 보아야겠네요 ㅎㅎ
위대한 수학자라고 다 교수를 하는 것 같지는 않아요 ㅋㅋㅋ 푸앙카레의 추측을 해결한 페렐만만 봐도 은둔의 수학자로 잘 알려져 있죠
Downvoting a post can decrease pending rewards and make it less visible. Common reasons:
Subm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