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를 읽고, 도마 안중근 의사를 기리며

in kr-writing •  7 years ago 

ㄱ.

요새 플라톤 읽고 있는데, 영혼이나 덕(아레테arete, 뛰어남)이나 행복(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 성공한 삶)이라는 단어가 나올 때마다 안중근이 생각난다. 대화편에 늘 나오는 저 단어들을 가장 잘 구현한 인물이 안중근 의사가 아닐까 생각한다.

연출가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담담하게 죽음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성공적으로 보여줬지만, 결국 현실의 탄탄함에 미치지 못한다. 안중근의 삶은 플라톤이 작품으로 보여주고 싶었던 성공적인 삶이었다. 플라톤이 예찬하는 그 모든 고결한 것들을 품은 진리적 삶episteme이 안중근 의사의 삶이다. 플라톤이 만든 소크라테스는 안중근 앞에서 그저 doxa일 뿐이다.

ㄴ.

이토 히로부미의 죄상

  1. 한국의 명성황후를 시해한 죄
  2. 고종황제를 폐위시킨 죄
  3. 5조약(을사늑약)과 7조약(정미7늑약)을 강제로 맺은 죄
  4. 무고한 한국인들을 학살한 죄
  5. 정권을 강제로 빼앗은 죄
  6. 철도, 광산, 산림, 천택을 강제로 빼앗은 죄
  7. 제일은행권 지폐를 강제로 사용한 죄
  8. 군대를 해산시킨 죄
    9 . 교육을 방해한 죄
  9. 한국인들의 외국 유학을 금지시킨 죄
  10. 교과서를 압수하여 불태워 버린 죄
  11. 한국인이 일본인의 보호를 받고자 한다고 세계에 거짓말을 퍼뜨린 죄
  12. 현재 한국과 일본 사이에 경쟁이 쉬지 않고 살육이 끊이지 않는데 태평 무사한 것처럼 위로 천황을 속인 죄
  13. 동양 평화를 깨뜨린 죄
  14. 일본 천황의 아버지 태황제를 죽인 죄

내가 이토를 죽인 이유는 이토가 있으면 동양의 평화를 어지럽게 하고 한일간이 멀어지기 때문에 한국의 의병 중장의 자격으로 죄인을 처단한 것이다. 그리고 나는 한일 양국이 더 친밀해지고, 또 평화롭게 다스려지면 나아가서 오대주에도 모범이 돼 줄 것을 희망하고 있었다. 결코 나는 오해하고 죽인 것은 아니다.
-도마Thomas 안중근의 『안응칠 역사』

부천에 가면 안중근 의사 공원이 있다. 맞후임을 만나러 부천에 가서 안중근 의사 공원을 봤는데 참으로 처참했다. 동상과 공원 주변을 빼곡히 채우는 큰 건물들과 전광판... 소음과 화려한 조명과 전광판 속에 공원은 그를 기리는 곳이 아니라 그저 도심 속의 어쩔 수 없이 만들어 놓은 녹지로 보였다.

공은 삼한을 덮고 이름은 만국을 떨치나니
백세의 삶은 아니나 죽어서 천추에 드리우니
약한 나라 죄인이요, 강한 나라 재상이라
그래도 처지를 바꿔놓으니 이토도 죄인이라.
-쑨원孫文의 안중근 의사 찬양 시

삼한을 덮는 공을 세웠으나 그 후손들이 덕이 없어 그를 방치하니... 고귀한 영혼은 구천을 헤매는구나...

ㄷ.

오로봉위필五老峯爲筆 오로 봉으로 붓을 삼고
삼상작현지三湘作硯池 삼상의 물로 먹을 갈아
청천일장지靑天一丈紙 푸른 하늘 한 장 종이 삼아
사아복중시寫我腹中詩 뱃속에 담긴 시를 쓰겠다.
-안중근 의사의 유묵, 오로봉五老峯 <보물 제 569-9 호>

문화와 예술, 자연과 평화를 사랑하는 모습이 보인다. 그분의 동상이나 그분을 기리는 공원이 매연과 소음과 조명에 둘러싸여 있다니...

사군천리思君千里 천리 밖 임금님을 걱정하니
망면욕천望眠欲穿 바라보는 눈 허공을 뚫으려 하네.
이표촌성以表寸誠 작은 충성을 표하였으니
행물부정幸勿負情 저의 충정을 저버리지 마소서.
-안중근 의사의 유묵, 고종황제에게 남김 <보물 제 569-11 호>

바라보는 눈이 허공을 뚫는다... 숙연함을 느낀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