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한다는 것.

in kr •  6 years ago 

statue-976552_1920.jpg

앓았다. '앓는' 건 '아픈' 게 아니다. ‘앓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몰랐다. 강건한 육체를 갖고 태어난 덕에 잔병이 없이 잘 살아왔다. 가끔 '아픈' 적은 있지만 '앓은' 적은 없었다. 내게 ‘앓는다’는 건 육체적이기만 문제가 아니다. 육체만 비명을 지르는 건 ‘아픈’ 것이다. 육체적 탈진과 정신적 탈진이 함께 왔을 때 나는 앓는다.

육체적 탈진이야 어제 오늘 일이던가. 이 빌어먹을 기침은 몇 달째 나를 떠날 줄을 모른다. 하기야, 이래저래 몸을 그리 소모시켜 대니 그렇지 않을 도리가 있나. 하지만 그건 괜찮다. 죽으면 썩어 없어질 몸 아끼면 뭐하겠나.

앓았던 건, 정신적 문제였다. 주제넘게 사랑하려 했다. 내 깜냥을 넘어 사랑하려 했다. 나를 찾아오는 많은 사람들의 아픔과 상처를 들었을 때 그네들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이 바로 과거 언젠가의 ‘나’들이였던 까닭이다. 그러니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앓고 일어나, 글을 쓰려고 앉았다. 나는 내게 묻는다. 나는 누구를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

사랑의 반대는 정치다. 칼 슈미트의 말처럼, “정치는 적과 동지의 구분으로 시작된다.” 내 편과 네 편을 나눌 때 정치가 시작된다. 그렇다면, 사랑은 내 편과 네 편으로 나누지 않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안다. 한 사람을 너무 사랑하면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아이가 태어났을 때 아이가 너무 사랑스러워 누구도 사랑할 수 없었던 것처럼.

나는 그래서 앓았던 게다. ‘사랑하기 위해서는 사랑하지 않아야 한다’는 그 역설을 감당할 수 없어서. 사랑하기 위해서 사랑하지 않으려는 노력은 고된 일이다. 자기 자식 먹여 살리기 위해 야수처럼 사는 사람들을 이해할 수밖에 없는 이유도 그래서다. 사랑하지 않음으로 사랑하려는 것은 얼마나 편안하고 익숙한 일인가. 그 잔혹함을 부성애 혹은 모성애라는 이름으로 아름답게 덧칠하려는 것을 어찌 이해할 수 없겠는가.

몇 달을 끊이지 않고 터져 나오는 기침은 내가 나에게 던지는 질문인지도 모르겠다. “나는 누구를 어디까지 사랑할 수 있을까?” 기침 뒤에 매번 남겨지는 가래는 그 질문에 답하지 못해 남겨지는 마음의 찌꺼기인지 모르겠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