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에서 봤던 공연 메모

in kr •  7 years ago 

여름 휴가로 뮌헨에 갔다가 그저께 돌아왔습니다. 거기서 봤던 공연에 관해 짧게 메모.

바그너 ‹파르지팔› / 7월 31일.

  • 올해 뮌헨에서 봤던 공연 가운데, 연주의 기술적 완성도를 떠나 가장 감동적이었던 공연.
  • 내 인생에 다시 있을까 싶은 드림팀. 키릴 페트렌코, 바이에른 슈타츠오퍼, 르네 파페, 요나스 카우프만, 니나 스템메, 크리스티안 게르하허, 볼프강 코흐 등.
  • 암포르타스가 이렇게나 중요한 역할이었다는 사실을 이제서야 깨달음. 구르네만츠와 맞짱 뜰 기세의 암포르타스. 저는 이제부터 크리스티안 게르하허 팬입니다.
  • 바이로이트가 아닌 곳에서 연주하는 ‹파르지팔›은 음향적으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음. 연주가 아주 훌륭했는데도.
  • 가장 울컥했던 순간은 1막 소년들의 합창: "믿음이 이어지고 비둘기 날아올라 구세주 사랑 알리나니 / 너희에게 따라 놓은 포도주를 마시라 생명의 빵 먹으라!"
  • 내가 생각하는 1막의 클라이맥스는 "Wein und Brot des letzten Mahles"(최후의 만찬의 빵과 포도주를)부터 긴 호흡으로 쌓아올리는 크레셴도라 생각하는데, 키릴 페트렌코는 생각이 좀 달랐던 듯 크레셴도가 약해 아쉬웠음.
  • 3막 성배의식 전의 관현악은 내가 이제껏 들어본 어떤 연주보다도 고통스럽게 느껴졌음. 음악이 너무 고통스러워 정신을 못 차릴 지경. 암포르타스! 디 분데!!
  • 공연 끝나고 키릴 페트렌코가 무대로 나왔을 때, 오케스트라 피트에서 키릴 페트렌코를 향해 꽃송이들이 우박처럼 쏟아짐. 현장을 담은 영상:
    https://www.facebook.com/staatsorchester/videos/vb.156426344401851/2035093083201825/?type=2&theater

바그너 ‹지크프리트› / 7월 24일

  • 내가 이제껏 들어본 가장 탁월한 ‹지크프리트›.
  • ‹파르지팔›을 보기 전까지 최고라 생각했던 공연. 기술적 완성도는 ‹파르지팔›보다 훨씬 높았음.
  • 키릴 페트렌코의 ‹니벨룽의 반지›는 몇 년 전 바이로이트에서도 들었을 때도 대단했지만, 지금에 와서 생각하면 바이로이트에서는 막장 연출가 프랑크 카스토르프 때문에 '차 떼고 포 떼고' 지휘한 거였구나 싶었음.
  • 오케스트라 음색이 독특했던 순간이 몇 번 있었는데, 공연 직후 악보를 확인하지 못해서 지금에 와서는 다 까먹었…; 하여간 키릴 페트렌코는 전통에 단단히 발을 디디면서도 곳곳에서 현대적인 음색을 살린 탁월한 해석을 보여줬음.
  • 니나 스템메 언냐 역시 대단함. 슈테판 핀케는 요 몇 년 사이 실력 많이 늘어서 이제는 제법 들어줄 만했음. 알베리히 역 욘 룬드그렌(존 룬트그렌)은 나이 먹고 기운 딸리는 볼프강 코흐(방랑자 역)를 때려눕힐 기세.

바리톤 크리스티안 게르하허 리사이틀 / 7월 23일

  • 오페라 보러 뮌헨 갔다가 리사이틀 보고 떡실신할 줄이야 덜덜덜…
  • 원래 테너 피오트르 베치아와 리사이틀이었다가 베치아와가 알라냐 대타로 바이로이트로 가면서 돌려막기한 공연
  • 의외로 완벽하게 느껴지는 프랑스어 딕션에 깜놀. 게르하허가 스위스 사람인가 싶어서 나중에 검색해 보니 그냥 독일 사람.
  • 탁월한 딕션이 ‹파르지팔› 때에도 돋보였지만, 오페라의 극적 흐름에 녹아들던 것과는 또 다른 압도적으로 정교한 표현력으로 공연 내내 관객을 휘어잡음

바그너 ‹신들의 황혼› / 7월 27일

  • 키릴 페트렌코 찬양. 공연 끝나고 니나 스템메 인사할 때 상당수 관객이 기립하더니, 키릴 페트렌코 나오니 전원 기립.
  • 하겐 역 한스 페터 쾨니히 옹… 세월이 무상합니다요…
  • 이른바 '구원(Liebeserlösung)' 모티프에 붙는 이름은 영어로 "Redemption"이라고도 하고, 관점에 따라 '브륀힐데 신격화' 모티프라고도 하는데, 쇼펜하우어스러운 맥락에서 "Liebeserlösung"이라는 이름이 알맞고 다른 건 오해를 부른다는 생각을 음악을 들으며 하게 됐음. 또는 ‹발퀴레›에서 이 모티프가 처음 나올 때 가사인 "Herhstes Wunder"(가장 위대한 기적)도 좋은 이름이라고 생각. 이때의 맥락은 희열과 감동 속에서 쇼펜하우어의 '본질적 세계'를 살짝 엿본 것. 신들의 황혼에서 이 모티프가 관현악으로 나올 때가 진짜 열반의 순간. 참고로 바그너는 대본 마지막에 음악과 별개로 텍스트로만 된 브륀힐데의 독백을 따로 붙였는데, 쇼펜하우어를 알아야 이해 가능한 내용.

바그너 ‹라인의 황금› / 7월 20일

  • 뮌헨에서 처음 봤던 공연. 뮌헨 국립 오페라 극장 음향에 조금 실망. 고음과 저음이 깎여 나가서 잘 안 들렸고, 소리가 전체적으로 내 기대치보다 조금 건조한 편. 그것만 빼면 그래도 소리 좋은 편이기는 했음. 우리나라에 이 정도 음향 발끝에라도 미치는 오페라 극장이 하나도 없어서…
  • 키릴 페트렌코 찬양.
  • ‹발퀴레›는 못 봄. 표 구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는 얘기 듣고, 이상기온으로 날씨도 더운데 싶어서 걍 숙소에서 안 나갔음. ㅡ,.ㅡㅋ

하이든 ‹오를란도 팔라디노› / 7월 25일

  • 프린츠레겐트 극장이 국립 극장 옆에 있는 줄 알았다가 차로 한참 이동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부랴부랴 우버(Uber) 택시 탔음. 택시 타기 직전부터 빗방울이 떨어지더니 가는 동안 무시무시한 폭우. 도착할 때쯤 보슬비로 바뀌는 운수 대통.
  • 극장 음향 훌륭했음.
  • 지휘자 아이버 볼튼 찬양.
  • 에우릴라 역 엘레나 산초 페레그 매력 터짐. 파스콸레 역 데이비드 포르틸로 역시 훌륭.

베르디 ‹시칠리아의 저녁 기도› / 7월 26일

  • 예매를 늦게 하는 바람에 '거의' 꼭대기층 맨 뒷자리. 예매할 때는 몰랐는데 입석이라서; 걍 바닥에 주저앉아서 음악만 들었음.
  • 좋은 자리와 큰 차이 없는 소리. 여기 생각보다 훨씬 좋은 극장이였어!!
  • 유럽 공연장에 할아버지 할머니뿐이라는 사람들, 꼭대기 층으로 가세요. 선남선녀들이 모여 있습니다. 노인이 없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그 높이까지 계단을 오를 체력이 있는 분들. 내 바로 앞에 샤랄라하게 차려 입은 언냐 둘이 있어서 구경하는 재미가 있었음.
  • 지휘자 오메르 메이르 벨버 훌륭함.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 7월 28일

  • 예매를 늦게 하는 바람에 꼭대기층. 원래 입석이었는데, 신기하게도 의자가 있는 입석. 자리에 앉으면 무대가 전혀 보이지 않았지만 나는 그냥 앉아서 음악만 들었음.
  • 역시 좋은 자리와 큰 차이 없는 소리. 완전 인형처럼 생긴 언냐 둘이 오른쪽에 있어서 힐끔거렸음.
  • 누가 나오는지 전혀 모르고 들었는데, 비올레타가 도대체 누구이기에 저렇게 노래를 잘하나 했더니 디아나 담라우. 다른 출연자는 다른 곳도 아니고 뮌헨인 점을 감안하면 그냥 평험했음. 지휘자 아셰르 피쉬는 무난.

야나체크 ‹죽음의 집에서› / 7월 30일

  • 오페라 자체를 처음 들어 봐서 이래 저래 신기. 시모네 영 지휘. 막장 연출가 프랑크 카스토르프 연출. 무대에서 쿵쾅거리지 않았던 걸로 연출은 대략 만족함.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후기 잘 보았습니다. 앞으로 자주 소통했으면 좋겠네요

반갑습니다.

야나체크와 베르디, 들어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