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헬기, 배치가 왜 더딜까?

in dclick •  6 years ago 

Book Reviewer @ilovemylife 입니다.

오늘은 이국종 교수가 그렇게 갖기를 희망했던 닥터헬기 이야기입니다.

아래 보시는 사진이 닥터헬기입니다. 날아다니는 하늘의 응급실이라 불립니다. 이름에 걸맞게 이 헬기에는 응급처치는 물론 초기 수술도 할 수 있는 장비와 기기들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1825792_S.jpg

이런 장비와 기구를 탑재한 덕에 이송중 사망할수도 있는 환자들의 생명을 구하는 생명기로도 불립니다. 대당 가격이 약 80~100억에 달합니다.

이 헬기가 국내에 처음 도입된 것은 2011년이었습니다. 바로 이국종 교수가 아덴만에서 총상을 입고 사경을 헤매던 석해균 선장을 살린 이후입니다.

당시 국민들의 관심에 힘입어 정치권에서 입법과정을 거쳐 닥터헬기를 배치하게 되었습니다. 만약 이런 드라마틱한 사건이 없었다면 아마 지금도 닥터헬기는 배치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2011년 처음 2대를 배치했습니다. 인천의 가천대병원과 전남 목포의 목포한국병원이 처음 배치된 지역입니다. 2013년 강원도 원주세브란스병원과 경북의 안동병원에 각각 배치되면서 4대로 늘어났습니다. 다시 3년 뒤 인 2016년 충남의 단국대병원과 전북의 원광대 병원에 배치되어 총 6대로 증가합니다. 그러다가 올해 아주대병원에 배치되며 7대로 배치지역이 늘어났습니다.

무려 7년이라는 세월이 걸립니다. 여기에는 슬픈 우리 사회의 자화상이 있습니다. 우선 닥터헬기 배치를 희망하는 병원이 별로 없다는 사실입니다. 닥터헬기를 보유하게되면 중증외상센터를 운용해야합니다. 이 중증외상센터라는게 병원 적자의 원흉이라는 것은 이미 의료계에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또한 닥터헬기 운용과 관련해서도 민원이 끊이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시내 중심에 위치한 병원들은 엄두를 못내고 있습니다. 소위 우리사회의 님비현상이 지금의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다음으로는 정치권과 주류의료계의 무관심입니다. 대개 닥터헬기를 이용하는 계층은 우리사회의 소외되고, 가난한 사람들이 대부분 입니다. 노동현장 근로자, 음식배달원, 퀵서비스종사자, 3D직종 종사자 등이 해당됩니다.

그러다보니 정치권이나 주류의료계에서는 관심도가 떨어졌습니다. 처음 반짝하던 국민적인 관심도 잊혀지면서 중증외상분야의 답보상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국민적인 관심과 지지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내일은 선진국의 중증외상센터 운용시스템에 대해 이국종 교수의 경험을 중심으로 알아봅니다.

이상 Book Reviewer @ilovemylife 였습니다.

디클릭은 사랑입니다.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Steemmonsters] 레벨, 마나 제한과 상성문제

어제부터 오늘까지 스팀 몬스터 게임을 해 보면서 느낀점 입니다. 제가 게임을 하면서 느낀거라 ...

logo

이 글은 스팀 기반 광고 플랫폼
dclick 에 의해 작성 되었습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리나라의 단면을 보는 듯 하네여.
아덴만 사건이 아니였다면 그나지 지금 늘어난 닥터헬기도 우리나라에서 찾아볼 수 있었을지 의문입니다 ㅠ

그러게요. 지금은 별 관심이 없어보여서 걱정입니다. ㅠㅠ.

대박사건!!

닥터헬기는 제도 정책부터 고쳐야됩니다. ㅜㅠ

힘없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니 잘 될지 모르겠네요.

정부에서 지원금을 주든 뭐든 해야되는데 말이죠.

그래야되는데 걱정입니다.

오..
글큰요..
의료계쪽은 문외 한이라
중증의료쎈터가 적자로군요

가진것 없는 사람이 대다수라 병원비 회수가 어렵다네요. 치료비도 엄청비싸구요.

오늘 jtbc뉴스룸에서도 나왔는데..
저희나라 정책이 정말 바뀌어야할거 같더라고요 ㅜㅜ
아이러브마이라이프님 편안한밤되세요^^

요즘 국감기간이라 반짝하는거 같네요.

헬기 가격이 비싸니 앞으로 이송용 드론이 상업화되면 더 많이 보급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목숨과 관련된거라 될지 모르겠네요.

이런건 정부차원의 지원이 있어야지 병원에 맡겨서 해결될일은 아닌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번 정부에선 잘 하겠죠.

점점 각박한 세상이 되어가는것 같네요.
허준같은 의사도 없어지는것 같고 돈이 우선이 사회, 자기만 생각하는
사회로 변해가는것 같아 씁쓸합니다.

동감입니다. ㅠㅠ.

Thanks for your information dear. and thanks for your blog

Hi @ilovemylife!

Your post was upvoted by @steem-ua, new Steem dApp, using UserAuthority for algorithmic post curation!
Your UA account score is currently 3.260 which ranks you at #8189 across all Steem accounts.
Your rank has dropped 121 places in the last three days (old rank 8068).

In our last Algorithmic Curation Round, consisting of 405 contributions, your post is ranked at #186.

Evaluation of your UA score:
  • You're on the right track, try to gather more followers.
  • The readers like your work!
  • Good user engagement!

Feel free to join our @steem-ua Discord server

음... 아무리 봐도 돈때문이로군요..

적자의 원흉이라니 ㅠㅠ

병원의 마인드가 이미 사람보단 돈이라는 기업적인 생각을 하고 있으니... 참 걱정입니다.

그래도 디클릭은 사랑입니다~ ^^

감사합니다.

이런 시설은 병원에만 맡길게 아니라 국가에서 제도적으로 지원이 필요할 텐데 말이죠...

다른데로 새는 세금만 회수해도 될텐데 말이죠. 특수활동비같은 것. ㅎㅎㅎ. 얼마전 인터넷에서 보니 모든 대령들한테 영수증도 필요없는 돈을 매달 60만원씩 준다네요. 헐이죠.

  ·  6 years ago Reveal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