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스톤의 안보칼럼) 중국 시황제의 등극과 몰락의 시작?

in kr •  7 years ago  (edited)

20171026

Screenshot_20170625-233051.jpg

몰락은 정점에서 비롯된다. 성공의 원인이 몰락의 씨앗이 된다.
세상일이 다 그런 것 같다. 개인이나 국가나 마찬가지다. 중국은 지금 정점에 다다른 것 같다. 경제도 그렇고 정치도 그렇고 군사력도 그렇다. 미국을 능가할 수 있는 국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지 오래되었다. 구매력 기준으로는 이미 미국을 초월했다고 한다.

중국의 기세는 대단하다. 오죽하면 참여정부 때에는 일부 인사들이 한미동맹보다 한중동맹이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얼마전만해도 중국의 기세가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요즘은 조금 느낌이 달라졌다. 중국의 위세가 대단한 것이 아니라 시진핑의 위세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미국이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전략의 방향을 바뀐다음부터는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 미국의 존재감이 좀 더 강해진 것 같다. 그만큼 중국의 위세도 조금 꺽인 것 같기도 하다. 필자만 그렇게 느끼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경제적으로도 중국은 정점에 있다. 아니 정점을 지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중국의 경제성장정도가 이전보다 확연하게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규모면에서는 여전히 대단하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오히려 떨어지는 것 같다. 우리나라도 최근부터 중국에 대한 투자 규모가 줄어들었다.

원래 중국은 문제가 많은 나라다. 넓은 땅과 많은 민족들을 통합해 나가려니 당연히 중앙집권적인 강력한 권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권력이 집중되면 부작용이 나오는 법이다. 우리는 그런 예를 모택동시절에 보았다. 홍위병과 같은 사태는 공산주의 때문이 아니라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점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권력이 강화되면 될수록 반작용도 심해진다. 중앙에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생긴다는 것이다. 권력이 강화되면 될 수록 내부 권력투쟁도 격화된다. 권력투쟁이 격화되면 결국 원심력도 더욱 강화된다. 내가 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것은 중국의 경우에서만 일어난 일이 아니었다. 중앙집권적인 국가는 모두 그런 경향을 겪게 된다. 가깝게는 소련의 붕괴이후 중앙아시아와 우크라이나 발트3국이 분리한 것이 그예이다. 중국은 역사적으로 그런 경우를 수없이 겪었다.

권력을 강화하고 좀더 유지하고 싶어하는 것은 모든 인간의 그리고 권력자의 본능이다. 본능은 인간을 살게도 만들지만 죽음에 이르게도 만든다. 등소평이후 중국에서 후계체제에 관한 시스템을 유지한 것은 권력의 집중을 통한 제왕의 등장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다시금 모택동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시진핑은 스스로 다시금 모택동이 되기 위한 길에 나섰다. 앞으로 중국이 어떻게 변할지 모른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중국이 오히려 지금과 같은 강력한 결집력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다. 내부 권력투쟁은 점차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시진핑의 권력이 강화되고 길어지면 질수록 중국은 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모택동은 중국 건설이후 수없이 많은 과오에도 불구하고 공7과3이라는 평가를 받고 격하되지 않았다. 그러나 시진핑은 모택동이 아니다. 권력이 장기화되면 시진핑은 그 어떤 지도자들도 겪지 못한 불행한 운명에 처할수도 있다. 역사의 수레바퀴는 냉정하고 무섭다. 그 누구도 예외는 없다.

우리 주변에 중국과 같은 강력한 국가가 있으면 피곤하다. 그러나 앞으로 10년정도만 시진핑이 지금처럼 권력을 강화하고 장기화하면 중국은 제풀에 무너질 수도 있다.

아마 우리의 통일은 그때에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반도를 둘러싼 시스템에 결정적인 균열이 생길때 변화의 동인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시진핑의 장기권력 장악 가능성을 필자 혼자 반기면서 속으로 웃고 있다. 이제 조금만 참으면 진짜로 중국의 정치권력이 분열하면서 한반도가 통일될 가능성도 오고 있는 것이다. 한번 기다려 보자.

인내는 최선의 전략이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Cheer Up! 많은 사람들이 이 포스팅에 관심을 갖고 있나봐요!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뛰어난 통찰 입니다.

아이고 과찬이십니다.

저도 얼른 그 시점이 와서 통일이 되었으면 하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Nice story.. wonderful
But pls try and translate to english pls...
Thanks

중국에서 시진핑이 장기집권하게 되면 반대로 중국은 약화될 수 있다는 점은 제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입니다. 말씀처럼 권력의 정점에 서면 설 수록. 나라를 자신이 더욱 발전시켰다는 자부심이 강해질 수록 스스로 물러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중국이 제풀에 꺾이게 되면. 우리나라가 통일을 할 수 있다는 부분 역시 매우 설득력 있게 보입니다. 요즘 인터넷 글을 보면 좌우로 치우친 글이 많은데 이렇게 밸런스를 유지하는 글을 보니 저도 생각이 바뀌게 됩니다.

이전까지는 통일에 대한 희망이 없었으나 오히려 영원히 비대해질 것 같은 중국이 오히려 스스로 무덤을 파고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그럼 진짜로 우리가 통일을 할 수 있는 기회도 보일 수 있겠죠.

그동안 우리 스스로도 여러가지를 대비해야겠습니다. 먼저 저부터 이런 미래가 올 것이라 예상하고 대비를 해봐야겠죠.

좋은글 감사합니다.

코멘트 감사합니다.

인내는 최선의 전략
Good morning~~!

감사합니다.

통일이 기다려 지네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image
Photo by @ kakaotalk.

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한반도 통일을 기원합니다

저두요

잘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공감합니다.
점점 "회장님 ...!!회장님...!!"
이던가요 코메디 프로가 되어가는 것 같은 옆집을 보면서 살며시 웃고 있던 일인 이랍니다.
그런날을 대비하는 우리가 되어 있어야 할 텐데

우리의소원은 통일 통일이 왔음 좋겠습니다. 좋은하루되싶시요.

후진타오 이후 시진핑으로 넘어오면서 중국의 발전 속도와 힘은 단기간에 엄청나게 커졌습니다. 이게 장기적으로는 독이 될 수도 있겠군요. 어떤 사회던지 이렇게 일인에게 권력이 집중 되었을 때 부작용이 없었던 적이 없으니까요.
그 여파에 휩쓸리지 않고 최대한의 실리를 지켜내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어야 겠습니다.

네 항상 정신을 차리고 있어야 하겠지요

달이 차면 기우는 일만 남은거죠

세상의 정한 이치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올드스톤님, 중국이 무너진다고 한반도에 평화가 올지는 모르겠습니다 ㅎㅎ 꼭 통일이 평화를 의미한다고는 생각이 들지는 않네요.. 그래도 언젠가는 통일이 되어야 겠지만요. 많은 준비와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보람찬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는 측면으로 보아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네 좋은 말씀 이십니다. 항상 준비하는 자세가 정말 중요한 부분인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저는 1년전~6개월전에 이번 공산당 전국대회를 기점으로 중국 내 전시작을 예상했었는데 시진핑이 상하이방을 완전히 털어버리면서 장기집권화에 성공했더군요. 제 짧은 식견이 틀린것이겠죠. ㅎㅎ

적을 제거했으니 이제 남은건 공청단과 태자당 내부들의 파벌싸움이 남았는데 시진핑이 어떻게 컨트롤 할런지가 주요 행보가 아닐까 싶습니다.

장기집권해서 잘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중국도 그렇게 되지 않을까요

장기집권은 비단 시진핑 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될 듯 합니다. 한 분야나 한 직책에서 장기적으로 있다는 것은 전문성을 넓힌다는데 장점이 있겠지만 나태를 포함해 많은 단점도 있으리라 봅니다. 그런점에서 저도 올드스톤님의 의견에 동의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장기집권은 비단 시진핑 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될 듯 합니다. 한 분야나 한 직책에서 장기적으로 있다는 것은 전문성을 넓힌다는데 장점이 있겠지만 나태를 포함해 많은 단점도 있으리라 봅니다. 그런점에서 저도 올드스톤님의 의견에 동의하게 되네요~^^

정말 오드스톤님 말씀처럼 됐으면 참 좋겠어요.
강대국 옆에 한국이란 정말 어려운 상황인거 같습니다.
지풀에 쓰러질 날이 오면 정말 좋겠네요.^^

저도요

올드스톤님의 글을 읽으면서 시각을 다르게 가진다는 것에 대한 중요함을 느낌니다.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그리고 통찰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이렇게 생각할수도 있구나를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몰락은 정점에서 비롯된다.
정점에서 시작된 몰락은 관심을 받게되어 그 크기가 더 크게 보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