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공부, 마음공부] 몸 에너지 시스템의 역설계

in kr •  6 years ago 

우린 종종 가상신체를 경험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변연계와 합작한 피질의 뛰어난 예측력 덕분에 말이죠. 무슨 말이냐 하면, 우리가 마음에 계획하고 기억하는 것들은 우리 신체를 만들어 냅니다. 실제의 신체가 아니라 가상의 신체를 만들어 냅니다. 신체의 여러 생리적 신호 위에서 우리의 계획과 기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몸을 역설계Reverse Engineering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몸의 에너지 가공 시스템 관점에서 역설계를 생각해 봤습니다. 우리 몸에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방법은 해당계와 미트콘드리아의 활동을 통해서라고 합니다. 해당계는 긴박하게 에너지를 만들어 낼 때 사용하는 기제입니다. 당을 빠르게 분해하면서 에너지를 만들어 냅니다. 이 방법은 우리 선조들이 심해에서 살 떄, 어둡고 차가운 곳에서 긴박한 생존의 필요에 의해 사용했던 에너지를 만들어 냈던 시스템입니다. 물론 현재에도 긴박하게 에너지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하는 시스템이기도 합니다.

다음으로 미토콘드리아의 힘을 빌리는 것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우리 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부분입니다. 이들은 체온이 높을 때 작동하며 상대적으로 가공시간이 깁니다. 그 과정에서 산소를 필요로 합니다. 때문에 안정적인 호흡상황에서 가능합니다. 이 기제는 혈액 내로 공급된 당을 인슐린과 인슐린 수용체가 세포에 넣어주면, 이를 가공해서 활성화 에너지를 만들어 냅니다.

해당계에 비해서 미토콘드리아 기제는 18배 가량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들어 냅니다. 반면 시간이 걸리고, 산소란 자원이 필요하고, 체온이 높아야 합니다. 해당계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율이 높습니다.

보통 긴박한 압박이 많을 때, 혹은 그렇다고 해석할 때는, 해당계가 활성화됩니다. 우선 당장은 생존을 위해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현대인들은 쉼을 잘 모르기 때문에, 해당계 기제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항상 에너지가 빈 것같고, 번 아웃되는 거죠. 대신 세포분열은 많이 됩니다. 세포의 생존주기가 빨라지면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게 과하게 되면 암이 됩니다.

미토콘드리아 기제가 활성화되면, 몸 안에 인술린 저항성도 떨어집니다. 인슐린은 우리 몸안에 당이 들어오면 이를 세포에 보내거나, 간에 보내거나, 지방으로 저장합니다. 세포에 보내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게 좋겠죠. 그런데 산소가 부족해서 미토콘드리아가 활동하기 어려우면, 세포가 당을 받지 않습니다. 밖에서는 과하게 당이 들어오고 세포는 받아들이지 않고. 그런 상황이 만성화되면 인슐린이 항상 혈관안에 짙게 남아 있게 됩니다. 불은 안 살아나는데, 떌감을 자꾸 넣는 상황인 거죠. 연기만 나고 연소가 안되는 상황입니다. 이러면 인슐린은 당을 간으로 보내거나 지방으로 저장합니다. 살이 찌게 되는 원인이되는 겁니다.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연소기제를 활성화하는 환경을 설계하는 게 필요합니다. 긴호흡이 필요하겠죠. 또한 지근을 단련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속근과 지근이 있는데 속근은 단거리 달리기에서 활성화됩니다. 반면 지근은 장거리 달리기에서 사용하는 근육부위입니다. 지구력을 담당하는 근육입니다. 이 지근은 특히 허벅지에 많이 있는데, 허벅지 근육을 활성화시키는 운동이 필요한 이유입니다.(단순하게 근육을 키우라는 뜻이 아니라 활성화시키는 것입니다).
미토콘드리아는 지근에 많이 있기 때문에 지근이 발달하면, 미토콘드리아 위주의 에너지 공정을 돌릴 수 있게 됩니다.


Sponsored ( Powered by dclick )

dclick-imagead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그래서 운동이 필요한거군요~^^

Posted using Partiko iOS

네~~~ 몸을 역설계해 나가는 거예요.

Hi @seoinseock!

Your post was upvoted by @steem-ua, new Steem dApp, using UserAuthority for algorithmic post curation!
Your UA account score is currently 3.174 which ranks you at #8993 across all Steem accounts.
Your rank has dropped 4 places in the last three days (old rank 8989).

In our last Algorithmic Curation Round, consisting of 247 contributions, your post is ranked at #191.

Evaluation of your UA score:
  • You're on the right track, try to gather more followers.
  • The readers like your work!
  • Try to improve on your user engagement! The more interesting interaction in the comments of your post, the better!

Feel free to join our @steem-ua Discord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