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한구석

in krsuccess •  2 months ago  (edited)

<환각의 나비> 중. 박완서.

헉 하고 숨을 들이쉬면서 천개사 포교원이라는 간판과 함께 빨랫줄에서 나부끼는 어머니의 스웨터를 보았다. 영주는 멎을 것 같은 숨을 헐떡이며 그 집 앞으로 빨려 들어갔다. 마루 천장의 연등과 금빛 부처가 그 집이 절이라는 걸 나타내고 있었다. 그밖엔 시골의 살림집과 다를 바가 없었다.

부처님 앞, 연등 아래 널찍한 마루에서 회색 승복을 입은 두 여자가 도란도란 도란거리면서 더덕껍질을 벗기고 있었다. 더할 나위 없이 화해로운 분위기가 아지랑이처럼 두 여인 둘레에서 피어오르고 있었다. 몸집에 비해 큰 승복 때문에 그런지 어머니의 조그만 몸은 날개를 접고 쉬고 있는 큰 나비처럼 보였다.

아니아니 헐렁한 승복 때문만이 아니었다. 살아온 무게나 잔재를 완전히 털어버린 그 가벼움, 그 자유로움 때문이었다. 여지껏 누가 어머니를 그렇게 자유롭고 행복하게 해 드린 적이 있었을까. 칠십을 훨씬 넘긴 노인이 저렇게 삶의 때가 안 낀 천진덩어리일 수가 있다니.

암만해도 저건 현실이 아니야, 환상을 보고 있는 거야. 영주는 그래서 어머니를 지척에 두고도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가지 못했다. 그녀가 딛고 서 있는 곳은 현실이었으니까. 현실과 환각 사이는 아무리 지척이라도 아무리 서로 투명해도 절대로 넘을 수 없는 별개의 세계니까.

_
치매로 집을 나간 어머니를 찾아다닌 지 반년만에 딸 영주는 ’우연히‘ 어머니를 찾게 된다. 이 마지막 결말을 읽으면서 나도 소설 속 화자인 영주처럼 숨이 턱 멎는다.

박완서만이 쓸 수 있을 것 같은. 너무나 현실적이면서도 환상적인 이야기. 단순히 헤어졌던 가족이 상봉하는 상투적인 감동 같은 것이 아니었다. 오랜 세월 각박한 삶에 갇힌 한 여인(어머니)이 마침내 그 속박에서 벗어나 아름다운 나비가 되어 ‘자유‘로워 진다는 ‘이야기’는 현실에 갇혀 사는 ‘나’에게 잔잔한 감동과 희망을 느끼게 해 주었다.

_
덧.
분명 내 기억 한구석에 이 장면이 영상으로 남아있다. 아마도 ’TV 문학관’이나 ‘베스트 극장‘이었던 것 같다. 이 TV프로그램에서 훌륭한 한국 소설들을 영상으로 만났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너무나도 오래전에 봤던 TV 화면이 떠오르다니. 당시에도 꽤 인상적인 장면이었나 보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