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공부 제79장

in zzan •  2 days ago 

도덕경 공부 제79장/cjsdns

和大怨(화대원) : 원한을 푼 후에
必有餘怨(필유여원) : 앙금을 남기면
安可以爲善(안가이위선) : 이것을 어찌 잘했다고 할 수 있겠는가?

是以聖人執左契(시이성인집좌계) : 성인은 치부책을 흔들면서
而不責於人(이불책어인) : 사람을 몰아세우지 않는다.

有德司契(유덕사계) : 덕이 있는 사람은 계약을 맡아 베풀 듯이 하고
無德司徹(무덕사철) : 덕이 없는 사람은 조세를 맡아 수탈하듯이 한다.

天道無親(천도무친) : 하늘의 도는 편애하는 일이 없으며
常與善人(상여선인) : 언제나 선한 사람의 편에 설 따름이다.

😄

和大怨
必有餘怨
安可以為善
是以聖人執左契
而不責於人
有德司契
無德司徹
天道無親
常與善人

큰 원망은 화해시켜도
꼭 남은 미움이 있다.
이것을 어떻게 참하다 할 수 있는가?
그렇게 때문에 성인은 약속의 증거를 붙들고도,
다른 사람에게 (약속의 실행을) 요구하지 않는다.
쌓은 것이 있으면 약속을 지키고,
쌓은 것이 없으면 세금을 맡는다.
하늘의 도는 (따로) 친함이 없지만,
언제나 선인과 함께 한다.

😂

하늘의 도는 차별이 없다고 하나 내 생각으로는 그렇게 느껴지기까지는
많은 공부나 인내가 필요해 보인다.
깊은 원한은 화해하더라도 앙금까지 사라지지 않으니 늘 조심하여야 한다.
용서하가나 화해를 해도 앙금이 남아있다면 어찌 잘된 일이라 하겠는가.

그러므로 성인은 채권자자의 입장에 서서 사람을 다그치는 일이 없다.
덕이 있는 사람은 계약을 베풀듯 하지만 덕이 없는 사람은
조세를 징수하듯 강제로 뺏어간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하늘의 도는 편애하는 일이 없다 하나
언제나 선한 사람의 편에 서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또한 사필규정이고 인과응보의 하나처럼 보인다.
결국 오늘 말씀의 중심을 흐르는 것도 존중이고 욕심으로 가득한 일을
억지로 만들어 곤란을 겪게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성인은 치부책을 흔들면서 사람을 몰아세우지 않는다는 말은 우리 삶 속에서
마음에 내키지 않는 베풀음도 필요하다는 말로도 들린다.

그러나 이 또한 실천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 중에 하나이다.
왜냐 하면 슬프게도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로 알고 억지 주장을 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 중에는 그런 짓을 미안해 하기는커녕 오히려 뻔뻔하게도 매우 지혜로운 삶의 방식이거나 똑똑한 행위로 인식하는 사람들 혹은 무리들이 있다.
크게는 지금 세상을 흔들고 있는 사람,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이라고 나는 본다.

감사합니다.

도덕경 공부 도우미출처:네이버 블로그노자 <도덕경> 원문해석https://m.blog.naver.com/chamnet21/221742719382

위키문헌,
https://ko.wikisource.org/wiki/%EB%B2%88%EC%97%AD:%EB%8F%84%EB%8D%95%EA%B2%BD

2025/01/09
천운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This post has been upvoted by @italygame witness curation trail


If you like our work and want to support us, please consider to approve our witness




CLICK HERE 👇

Come and visit Italy Community



The book not only presents the original text, but also has a Korean translation, and also incorporates personal insights. It discusses the content of the chapters, such as the resolution of resentment, the practice of virtue, and the laws of nature, showing the depth of learning and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