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정수기자전거 - 아프리카의 '물부족'을 해결한 친환경 아이디어

in kr-design •  7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앤블리💙 @annvely 입니다. ^^

이동식 정수기 자전거 '아쿠아덕트(Aquaduct)'

물 부족을 친환경적인 아이디어

2018-01-17 01;47;38.jpg

아프리카 의 많은 국가들은 물 부족 으로 인해
아직도 흙탕물을 그냥 마시거나 , 이에 모자라
그 물을 집까지 길어오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는다는데요..;

유니세프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1100만의 인구가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없다고 합니다..

human-center.jpg

수 km 를 걸어서 길어온 오염된 식수를....
게다가... 그대로 마시며 여러가지 질병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정수기 자전거 '아쿠아덕트(Aquaduct)' 를 개발한 아이디어 사례가 있습니다.^^

2018-01-17 01;48;07.jpg

이 자전거 1대라면 편하게 물을 길어오는 것은 물론,
정수된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어요. ^^
이동할 시에 물통을 따로 준비할 필요도 없고요. !

페달을 밟아 생기는 동력으로 자전거 안의 필터를 통해
더러운 물을 정수하는 원리로 고안된 것이죠. ^^

아이디어 초안 스케치
2018-01-17 01;47;19.jpg
( 이미지출처 : IDEO )

더러운 물을 자전거 뒷편 트렁크통에 싣고-
페달을 밟아 이동을 하는 동안-
그 펌프질의 운동력으로 인해 물이 정수되고-
정수된 물은 자전거 앞부분 새 물통에 저장이 되어-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는 과정이에요. ^^

자전거를 주 교통수단으로 사용하는
저 개발국가에서의 활용을 위해.

물 운반 + 정수

두 가지의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는 아이디어 ^^

역시나 이 제품도
IDEO (혁신적인 디자인컨설팅기업)가 개발하였으며.
'혁신하거나 죽거나 ( Innovate or Die )' 라는
2008년 국제 발명품 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답니다.


[ UX 디자인 ]

2018-01-17 01;54;48.jpg

인간을 이해하는 디자인과 제품을 만들려면.
디자인이나 공학전공자 뿐 아니라,
심리학, 생물학, 인류학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자신의 분야를 잊은 채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디자인적 사고 (Design Thinking) 을 해야합니다.
소비자의 잠재적 욕구(Needs) 를 알아내기위함이죠.

그래서 저는
UX Design 에 말하는 Design Thinking
경영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 및 트렌드라 생각합니다. ^^

에너지절약과 물부족 해결을 동시에 해결한
이 멋진 아이디어는.

'사용자의 경험' 을 이해하기 위해 ^^



실제로 아프리카 마을에 찾아가 같이 생활을 해보며
무엇이 불편하고 힘든지 직접 겪어보면서,
아이디어를 고안하게 되었다고 해요.^^
( 관찰법 중, 필드리서치 와 쉐도잉기법을 사용한 것이네요. )

2018-01-17 01;56;40.jpg

그러고보니 초등학교 때 교과서에서,,
앞으로 '미래에는 물을 사먹게 될 것' 이라는
만화그림을 본 것이 기억나네요.ㅎ
물부족 해결은 범국가적인 노력이 계속 필요할 것 같습니다.~

[Ourselves 캠페인]
셀프보팅을 하지 않고 글을 올리시고
ourselves 테그를 달아 주시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긴 젓가락으로 서로 먹여주는 천국이 이뤄지지 않을까요?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안녕하세요 앤블리님 ^^ 아쿠아 덕트 오랜만에 보니까 반갑네요 ㅎㅎ
재미있는 아이디어 글 많이 올려주세요 ~ 자주올게요!

앗, 이 프로젝트에 대해 이전에 알고있으셨군요. ^^
네^^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주 뵈어요. 노란다람쥐님~^^

적정기술을 참 어려운거같아요
아쿠아덕트도 좋은방법같아보이면서도 살짝 아쉬운점도 있네요
우선 디자인상 필터청소가 불가능해보이고
정수하기 위해서 패달을 돌려야 한다는 점 또한 아쉽네요

필터청소가 불가능하면, 필터의 수명이 급격히 줄어들어 몇번 사용하지 못하고 무용지물이 되며
정수하기 위해 패달을 돌려야 함은 '놀이기구형 물펌프'처럼 사람들이많이 이용하지 못할것 같아요

그래도 적정기술에 대한 이러한 관심들이 모여서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갈거라고 믿습니다 :)

네 저 아이디어는 꽤 오래전에 나온거라 ^^
아무래도 아쉬운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ㅎ
얘기해주신 부분들처럼 지금에서 봤을땐
개선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아 보이네요 ^^
저도 저 ‘놀이기구형 물펌프’ 사례도 알고있는데요.^^
물펌프는 아이들이 놀이기구를 움직이지 않으면 무용지물이고,, 내구성도 좋지 않아 금새 철거되었던 걸로 알고 있어요:)
모든 니즈를 충족하는 완벽한 제품이란 없는 것 같아요~^^
말씀하신 적정기술 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는 것만으로도 , 앞으로 우리 삶을 더 질적으로 높이는 것이겠죠^^

snuff 님 깨서도 위 사례들을 알고 계셨다니
의견주시고 공감해주셔서 즐겁습니다 ~^^!

정말 좋은 아이디어네요~사진에도 물을 머리에 이고 불편하게 생활하는 모습이 보이는데 물운반+정수는 두가지 문제를 한번에 해결하는 훌륭한 아이디어입니다~^^ 아울러 물을 아껴 써야 되겠다는 다짐도 해봅니다~

네~ 우리 주변환경에서는 물의 소중함을 잊고 살게 되는데
저도 포스팅 하면서, 새삼 감사함을 느꼈어요. ㅠㅠ

와우~ 너무나 훌륭한 아이디어네요~
저도 이런거 만들어 보고 싶네요.
기술의 편리함의 보편화~ 너무 멋집니다♥

생각만 좀 더 넓히면 ^^
이런 혁신적인 제품들의 아이디어가나오는 것 같아요.~
혼자 생각한다기 보단 여럿이서 함께 의견을 모았을 때 말이죠. ^^

재미있는 글 잘 보고 갑니다~ 생활에 아이디어를 잘 녹인 형태 같은데, 실제로도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궁금하네요

  ·  7 years ago (edited)

현재는 어떠한 상황인지 보고서가 없네요. ^^
나중에 알게된다면 또 다른 포스팅으로 알려드릴께요.! ^^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오오1석2조의 아이디어네요ㅋㅋ
물 운반과함께 정수까지👍👍
모든 모든세상사람들이 깨끗한 물을마시는 그날까지!!

네 ^^ 모두가 건강하게 ㅎ
우린 그래도 깨끗한 물을 마실수있다는거에
감사하며 살아야겠어요 ㅎ 사서 먹는 것이지만요 ㅜㅜ

아프리카 등의 물 부족 국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 들이 나오고 있더군요. 이 자전거는 처음 보네요.ㅎㅎ
다만, 자전거의 고장 수리 같은 유지 보수 비용과 필터 교체 비용 등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비용이 계속 발생하는 부분이 아쉽군요.
뭐, 유지 비용 한푼없이 이런 문제가 해결 되는건 불가능하겠죠?ㅎㅎ
그래도 더욱 좋은 아이디어들이 많이 나왔음 좋겠습니다.

네. 아마군 님 안녕하세요.^^
아쉬운 부분이 있는게 맞아요~ㅎ 모든 니즈를 충족하는 완벽한 제품이란 없기에
기술이 발전하면서 그 시대 환경에 맞춰 문제해결을 할 수록 계속해서 나아질거라 생각해요.^^

이전에 교과서에서 그 굴리는 물통을 본적이 있는데 이것은 그것보다도 훨씬 발전된 방식이네요 그때에는 머리위에 지고 가는 방식이 여러 문제가 있다고 해서 굴리는 방식이었는데 이제는 진짜 동력 이동 수단을 사용하는군요

아 물통을 굴리는 방식이 있었군요. ^^
근데 자전거보다 알아서 굴러가게 하는 제품이 나오면
더 편리하겠는데요. ^^? ㅎㅎ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스로 굴러가는... ㅎㅎㅎ

이것과 비슷한 제품디자인을 본 것 같은데 이러한 것도 있었네요 정말 불편함을 직접 느껴본 사람이여야 할 수 있는 디자인 같습니다 ~ 정말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디자인 한 것이 너무 멋지게 느껴지네요~!

사실은, 우리가 불편하게 살 때는 모르고 살다가,
편리하게 살게되면서 다시 예전의 불편한 것을 보았을 때
개선점이 보이는 것이고, 저런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ㅎ 모모꼬 님 ^^

기본적인 니즈가 충족되지 않는 삶에서는 정말 저런 아이디어의 힘이 절실하겠군요!! 버튼만 누르면 맑은물이 콸콸 나온다는 사실이 새삼 감사하네요ㅎㅎㅎ

그쵸~ 이럴땐 새삼 감사하다니깐요
사지 멀쩡하고 숨쉴 수 있음에
눈으로 세상을 볼 수있음에요~
소중한걸 잃어봐야 깨닫는거 같아요^^;

재밋는 스토리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것은 실제로 함께 생활해 보면서 아이디어를 고안했다는 내용입니다. 주민들과 같은 Context 안에서 디자인을 했기에 유익한 제품으로 거듭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과연 지속적으로 잘 사용할 수 있는지가 의문이긴 하지만요~ 많은 디자이너들이 데스크리서치에서만 조사를 마치기 때문에 디자이너의 의도와 사용자의 사용 방법이 어긋나는 경우가 많은데 현장 조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