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벗겨진 살갗, 감정] 고통에 대해서

in kr-gazua •  7 years ago 

IMG_9287.JPG

[알싸한 첫맛과 향긋한 끗맛이 어울어진 국]

세 사람이 공을 주고 받는 놀이를 했데. 그런데 놀이 도중에 두 사람만 공을 주고 받는 거야. 한 사람한테는 의도적으로 주지 않는 거지. 사회적 거절이 어떤 마음을 형성하는지 알아보는 실험이었어. 뇌를 봤데. 그런데 뇌에서 사회적 거절에 대해 신체적 고통과 같은 해석을 하고 있다는 거야. 맙소사. 즉 심리적 고통은 신체적 고통과 같다는 거지. 적어도 뇌에서는 말야.

사실 고통은 신체에서 일어나는 게 아냐. 뇌에서 일어나는 거지. 감각과 감정, 인지적 판단 등이 복합된 게 고통이라는 거야. 신체에서는 단지 전기적 신호만 있겠지. 그 전기 신호가 뇌에서 모여서 종합적으로 해석된게 고통이라는 거야. 연인과 헤어질 때, 사회적으로 거절 당할 때, 을이라고 무시당할 때, 이런 게 뇌에서는 신체적 고통과 같은 고통이라고 해석하는 거야.

그런데 신체적 고통과 다른 점이 있어. 일단 우리는 신체적 고통에 대해서는 민감한데, 심리적 고통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아. 즉 신체적 고통을 당했을 경우에는 잘 쉬라거나, 병원에 가라거나 등등 적극적인 치료를 말하잖아. 그런데 심리적 고통을 당했을 때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 진다거나 그냥 놓아두라거나 마음을 비우라거나 등등 다소 추상적으로 회피적인 대응을 하기 쉬워.

하지만 심리적 고통은 신체적 고통과 달리 지속시간이 길지. 그리고 때론 더 고통스럽기도 하고 말야. 술이라고 하는 진통제가 일시적으로 효과가 있을지도 몰라. 심지어는 타이레놀도 그럴 수 있다는 거야. 하지만 그것들은 본질적으로 고통을 치유해주지는 않아.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뇌라는 것에 관심을 두고 방법을 알아보자. 고통은 뇌의 해석이라고 했잖아. 몸에서 일이나는 일이기 보다 뇌에서 종합적으로 해석한 결과가 고통이라는 거야. 사회적 거절은 뇌에 위험신호를 보내는 거야. 이렇게 하면 거절당할 수 있다는 거. 생존과 번식을 위해 사회적 연결고리를 맺어야 한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일 수 있지. 수만년의 과거 경험을 통해 이건 고통이라고 해석하는 거야. 물론 그 해석이 도움이 될 때가 있지만 별로 도움이 안 될때도 있어. 사회적 거절 자체가 필요할 때가 있거든.

맨처음 예에서 공놀이를 하다가 한 사람에게만 안 주는 상황으로 돌아가보자. 그 안 받은 사람은 사회적 거절에 따른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겠지. 그런데 맥락을 바꿔서 생각해 보는 거야. 예를 들면 그 안 받는 사람이, 아 힘든데 잘되었다 라고 생각하거나 아니면 둘이 공놀이를 받는 걸 시키는 입장이거나 관찰하는 입장이 되는 거야. 즉 자신이 그 사람들을 거절하는 포지션을 갖게 되는 거지.

말하고 싶은 건, 해석의 맥락을 바뀌면 고통이 달라진다는 거야. 뇌가 해석할 때는 맥락이 있어. 이건 고통이라고 해석하는 건 그 맥락이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는 거야. 그리고 한가지 사안에는 수많은 맥락이 있어. 뇌가 어느 한 맥락에만 고착되어 있으면 다른 맥락을 보지 못해. 대개 긴장되어 있을 때는 한가지 맥락에 고착되기 쉬워. 따라서 긴장을 풀고 가만히 뇌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보다 보면, 다른 맥락이 보일 거야. 멈추고 다른 맥락으로 갈아타는 거야.

음, 여전히 쉽진 않지? ^^; 나도 그래. ^^; 하지만 다른 운동도 그렇지만 연습하다 보면 맥락갈아타기가 더 수월해질 거야. ^~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잘읽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 좋은 하루 되세요~

군침돕니다. 무슨국?

이름은 모르겠어요~~ 굴+콩나물+미나리+미역이 주된 재료 같아요~~ 시원하고 향긋합니다~~

What is the name of livelihood eaters, my friend.

형 글 진짜 매번 잘 읽고있어..
오늘의 배움 포인트

  1. 뇌에서는 신체적 고통 = 심리적 고통

  2. 심리적 고통 = 신체적 고통. 그러나 심리적 고통에 대한 치유는 더 빈약하고, 훨씬 더 오래감 (이거 완전 공감 ) 이 말대로 시간이 해결해 주는게 과연 심리적 고통의 치유법일가? 하고 생각이 드네

  3. 심리적 고통은 역사와 깊은 연관

  4. 심리적 고통도 해석의 맥락을 달리하면 고통이 아님. (맥락에 따라서 고통인지 아닌지 구분)

감정에 휩싸이지 말아야한다고 그러잖아. 감정에서 나오는 심리적 고통도 맥락 갈아타기로 해결 가능하겠다.. 그런데 이거는 단기간의 수련이 아니라, 인생 전체의 수련이 되겠는걸? 그런데 질문이 있어. 만약 맥락을 바꾸어서 어떤 일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감정을 체념하고 포기하게 된다면 그 사람이 느끼는 심리적 고통은 당시에 상대적으로 낮아도, 인생에서는 약간 피해가 되지 않을까?

응, 감정을 체념하고 포기하는 건 아냐. 오히려 감정을 더 민감하게 느끼게 되. 다만 거거기에 물들지 않게 되는거지. 어떤 고요한 지점에서 감정을 느껴. 더 예민하게. 맥락을 바꾸기 위해서는 감정을 더 잘 느껴야 하거든.

예를 들어 슬픔이란 감정이 있다고 해봐. 슬픔에는 하나의 색채만 있는 게 아냐. 여러 색체가 숨어져 있지. 짙은 갈색의 슬픔, 분홍빛의 슬픔, 보라빛의 슬픔 등등. 여러 색체를 감별한다면, 다음에는 그 색체중 어느 하나의 색체를 키우거나 줄일 수 있어. 맥락에 따라서 말야. 맥락 설계를 하면서 어떤 색체가 강해지고 줄어드는지 알게 되는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