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양자역학] 5화, 양자역학의 모든 것이 이 실험 속에 들어있다.

in kr-science •  7 years ago  (edited)

달과 기린을 그려주신
@leesongyi 작가님 고맙습니다.


야구공을 두 틈 사이로 던지면 이런 무늬가 만들어진다.

골프공을 던져도
조금 더 작은 무늬

구슬을 던져도
더 작은 무늬

비비탄 총을 쏴도
더더 작은 무늬

모두 두 줄의 무늬가 만들어진다.

아주아주 작은 물체를 던지면 어떻게 될까?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원자나 원자 보다 더 작은 전자를 던지면?

1927년 미국 벨연구소에 있던 클린턴 데이비슨과 레스터 저머가 전자를 사용해 실험했다.

이름하여, 이중슬릿 실험

이는 1801년 토머스 영이 '빛'으로 했던 '이중슬릿 실험'을 '전자'로 바꾼 버전이다.

“양자 역학의 모든 것이
이 실험 속에 들어있다.”
리처드 파인만

그만큼 아주 아주 중요한 실험이다.

실험에 필요한 장비

  • 전자를 발생시키는 장치 전자총 : 뜨겁게 달구어진 전선을 사용해 전자들이 튀어나오도록 한다.
  • 세로로 긴 틈이 있는 중간판
  • 그 뒤에 전자가 부딪혀 위치를 남기는 스크린

전자가 발사되고 슬릿을 통과해 벽에 닿는다.
슬릿이 하나면 하나의 줄이 만들어지지만

두 개의 슬릿(이중슬릿)이 있는 판을 통과하면
이런 무늬가 만들어진다.

Image Credit : Wikimedia Commons

야구공과 달리 두 줄이 아니다.
이런 무늬는 물결과 같은 파동에서 발생한다.

간섭무늬라고 한다.

간섭무늬, Image Credit : Wikimedia Commons

전자는 입자인데, 파동의 무늬가 그려진다.

입자가 만들어내는 무늬가 아니다.
입자는 분명 야구공 실험처럼 두 줄 무늬를 만들어야 하는데, 간섭무늬가 나왔다. 이상하다.

오른쪽 슬릿을 막고 전자를 쏜다.
무늬가 한 줄만 생긴다.

그렇지.

이번에는 왼쪽 슬릿을 막고 전자를 쏜다
똑같이 한 줄만 무늬가 생긴다.

그럼 그렇지.

슬릿 양쪽을 열고 전자를 쏘면
두 줄 무늬가 그려질 거 같은데

간섭무늬가 생긴다.

왜?
혹시 전자들이 서로 간섭해서 그런 게 아닐까?

천천히, 10초에 한 개씩, 전자를 쏜다.
전자가 하나 뿐이니 전자끼리 부딪힐 일이 없다.

전자는 입자니까, 분명...

간섭무늬가 점점 만들어진다.

멘붕

아앗. 또 간섭무늬가 그려진다.

이상하다.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니다.


배너를 그려주신 @leesol 작가님 고맙습니다.


읽고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시는 분에게는 tipU :)

#kr-science 태그에서 다양한 과학 글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과학 글 더 보기

<지구 바깥, 태양계>
지구 밖 푸른 행성
명왕성을 잊지 말자
카이퍼 벨트와 오르트 구름
인간이 도달한 유일한 천체, 달
하루는 짧고 날은 많았던 지구의 1년
인류가 달의 뒷면을 보기까지
인류는 결코 달에 간 적이 없다?
그림자가 그린 그림
달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만약 달이 없다면?

<지구, 어디까지 가봤니?>
지구 : 지질시대의 서막
모래 알갱이 하나가 들려주는 이야기
젊고 희미한 태양 역설
물과 기름 같은 지구의 내부 구조
지구를 파보면 (feat. 콜라 시추공)

<도전 : 양자역학>
알파-베타-감마
원자를 들여다보다
원자 모형의 역사
모든 곳에 존재하는 전자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양자역학 참 흥미롭네요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런걸보면 영도 살아있었으면 노벨상을....받기엔 시간차이가 너무나는군요.

이중슬릿 실험은 정말 대단한 실험이죠. ㅎㅎ 노벨상이 일찍부터 있었다면 정말 가능했겠죠? ㅎㅎ

제일 중요한 대목에서 끊으셨네요 ㅎㅎ 빨리 다음화 올려주세요.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chromium님은 다 아시는 내용이잖아요 ㅎㅎ

이미 아는 내용이어도 @yoon 님의 설명 스킬이 궁금합니다!

@yoon님께서는 과학도이신가요?? 과학 이야기를 종종하시네요... 잘보고 갑니다 ^^

공학인데요. 과학 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 ^^

마지막에 파인만이 다음화에 비밀을 알려주마! 라고 이야기 하고 있는 것 같아요! ㅋㄷㅋㄷ 배너 사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

ㅎㅎ 파인만이 알려줄런지 모르겠습니다. 배너 감사합니다. Kr-science 가 비주얼로 풍성해지는 거 같습니다. :)

아니 왜 거기서 끊으셨나요 ㅋㅋㅋㅋ
중, 고등학교 때 이거 공부하면서 엄청 고생했던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

ㅋㅋㅋ @beoped님은 다 아시는 거!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이라는 점이
당시의 과학자들을 괴롭혔지요.
그 현상을 설명하기위한 용어까지 만들어내야 했다죠^^

맞습니다. 이에 대한 해석이 갈린다는 게 참 재미있습니다.

제가 윤님 덕분에 간섭무늬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진짜 세상에 태어나서 처음 들어보는데, 윤님 안계셨음 어디에서 들어볼 수 있었을까요?ㅎㅎ 과학 바보라 열심히 이해해보려고 노력하고 읽고 있어요!

Hi @leesongyi! You have just received 0.3 SBD tip from @yoon!

send tips with @tipU | earn interest in @tipU profit

ㅎㅎ 간섭무늬. 열심히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tip!

아니! 이런 무지렁이같은 사람에게 팁까지 주시다니 정말 감사합니당 ㅠㅠㅠ 지금 윤님 계신 곳을 향해 절 올리고 있습니다!!!!

으아 너무 흥미진진한 부분에서 끊으셨어요ㅠㅠ ㅎㅎㅎㅎ 궁금합니다! 다음엔 어떻게 되나요!

ㅎㅎ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감사합니다.

재미있어요. 저에겐 분량도 딱좋구요. ㅎㅎ 잙일고 갑니다.

ㅎㅎ 적당해서 다행입니다. 앞으로도 분량은 딱 이정도로 연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yoon님 어려운 내용이지만 적당하게 이해하게끔 잘 포스팅 해 주셔서 잘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ㅎㅎ 잘 봐주셔서 저도 감사합니다. 필리핀 글들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아 네 ㅎㅎ 감사합니다^^ 오늘도 편안한 밤 되시길 바랍니다~~

저....저기....윤님...밤에 보려고 하니까 막...어지러워요 ㅜㅜ''
그런데....자꾸 읽게 되요, 멍하지만...뭔가 이끌림?
그..그렇습니다!!하핫...안녕히 주무세요 ^^ 힛

저... 기린님 아니시죠? ㅎㅎㅎ 어떻게 이렇게 기린님이랑 비슷한 느낌이 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아는 기린은....... @girina79 님 뿐인데....기린님이라고..또 계신가요...전..한달뉴비라 모르는 사람이 많아요 ㅜㅜ 헝헝....

재미있는 내용같은데.. 과학은 아무리 읽어도 이해가 안됩니다..
문돌이라 죄송합니다 ㅠㅠ

아닙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제가 죄송합니다. ㅠ

다음편을 보고 질문드리겠습니다~

답변을 드릴 수 있을지 없을지 확신하지 못합니다 ^^ 모르면 훈하니님이 계시니 걱정은 하지 않겠습니다. ㅎㅎ

저는 과알못인데도 '이중슬릿 실험'은 내용을 읽으니 예전에 공부했던 기억이 납니다.

정말 저런 실험을 설계한 과학자는 천재가 분명하다며, 감탄했던 기억이 나요 ^^ 업보트 하고 갑니다 ^^

Nicaragua....aqua for my bunghole.....arriba...

ㅎㅎ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잘 부탁드립니다 ^^

그게 다가 아니다, 라는 말과 그 밑에 파인만 그림이 묘하게 잘 어울리네요. :ㅣ

ㅎㅎ 그러게요. 파인만의 손짓이 잘 어울리는 거 같습니다 ㅎㅎ

이중 슬릿 실험 몇번을 봐도 이해가 안되던데 @yoon님 글을 읽으니 조금은 이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 다음 포스팅 기대하겠습니다!

오오, 무척 기쁜 소식이네요.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잘 작성해 보겠습니다 :)

이중슬릿실험! 저는 양자역학을 알게 된 후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어요 ㅋㅋ
앞으로도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저도 세상이 정말 신기하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정말 잘 끊으시는걸요? 아침드라마 보는줄 알았습니다 ㅋㅋㅋㅋ

  ·  7 years ago (edited)

ㅋㅋㅋ 아침 드라마라뇨 ㅎㅎ 비유가 무척 찰집니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