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 이야기 (1) : 흰 말은 말이 아니다 (白馬非馬)

in kr •  7 years ago  (edited)

윤두서_유하백마(柳下白馬)_년도미상_12963.jpg

흰 말은 말이 아니다 (白馬非馬)


글이 발생하며 우리는 언어에서 경험을 배제하고, 글 자체를 정보를 담은 기호로서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테면, 우리는 ‘꽃’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이 단어가 들판에 실재하는 ‘꽃’들을 직접 가리키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에 관하여 기원전 3세기 중국전국시대의 조나라 문인, 공손룡公孫龍이 제기한 흰 말은 말이 아니다라는 논변은 꽤 유명합니다. 그가 적은 죽편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 논리가 적혀 있습니다.

백마는 말이 아닐 수 있는가?

그렇다.

어떻게?

‘말’은 모양을 가리키고, ‘희다’라는 것은 색깔을 가리킨다. 색깔을 가리키는 것은 모양을 가리키는 것과 다르다. 따라서 백마는 말이 아니다.

그렇습니다. 흰 말은 말이 아닌 것입니다.


이, 뭔 개소리야


자, 진정하시고 공손룡이 한 말의 의미를 설명해보자면 이렇습니다.

먼저 일반 언어를 기호화하여, ‘말’의 의미 범주를 A라하고, ‘희다’의 의미 범주를 B라고 쓰면, '흰 말'은 A∩B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학적 논리에서, A∩B ⊂ A 이지만, A ⊄ A∩B 이므로, A∩B ≠ A 의 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는데, 이를 다시 일반 언어로 이를 풀어내면, 흰 말(A∩B)은 말(A)이 아니다(≠)가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엇, 듣고 보니 그럴듯하잖아” 싶은 이 궤변은 사실 언어가 가진 이중적 의미를 절묘하게 파고들었을 뿐입니다.

실상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는 B이다”라는 언어는 상황에 따라 두 가지 의미를 갖습니다. 첫째로 A=B라는 의미를 갖고, 둘째로 A⊂B 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그래서 전자의 의미로 “내 스팀잇 아이디는 @wakeprince이다”라는 명제의 역인 “@wakeprine는 내 스팀잇 아이디이다”가 성립하는 한편, 후자의 의미로 “나는 사람이다”의 역인 “사람은 나이다”가 성립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즉, 공손룡은 오로지 첫 번째 의미에만 집중하여, 습관처럼 받아들여지는 두 번째 의미와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입니다. 공손룡의 논리 전개는 흰 말(A∩B)은 말(A)이 아니다(≠)로 결론을 내지만, 이 문장을 듣는 우리는 관습적으로 흰 말(A∩B)은 말(A)이 아니다(⊄)로 받아들이면서 혼동이 된다는 말입니다.

제 블로그의 커버 이미지 좌측을 담당하는 아래 그림은 이처럼 의미가 확실하게 정돈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궤변을 상징합니다. @wakeprince 계정은 깊은 사고思考보다는 좀 더 가벼운 감상感想을 적을 요량으로 생성한 까닭입니다.

모쪼록 @wakeprince가 제 짧은 생각과 여러분의 고견이 소통하는 창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고문헌

Gleick, J. (2017). 인포메이션 . 박래선, 김태훈 (번역). 서울 : 동아시아 (원전은 2011년에 출판)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wakeprince님 안녕하세요. 개수습 입니다. @bookkeeper님이 이 글을 너무 좋아하셔서, 저에게 홍보를 부탁 하셨습니다. 이 글은 @krguidedog에 의하여 리스팀 되었으며, 가이드독 서포터들로부터 보팅을 받으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초면이지만 초면이 아닌 것 같은 기분이 드는 블로그네요.

오랜만에 논리기호를 보니 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읽다가 미칠 뻔한 기억이 되살아났습니다.

읽다가 포기했지만 제 정신을 지켰으니 만족하고 있습니다.

초면에 반갑습니다 소요님ㅎㅎㅎ

기대했더니 여전히 쉬운 글이 아니다.
또 이 왕자한테 적응하려면 한 달 걸리겠군요!
(뭐 그렇다고 수준을 낮출 필요는 없어요.ㅋㅋ)

토막 지식과 일상을 버무려 볼 생각입니다ㅎㅎ

음 이건 구체적인 백마가 곧 말 일반이 아니라는 의미였던 것 같은데 오래전에 본 얘기인지라...ㅎㅎ

말의 개인적 수입을 금지했던 조나라에 공손룡이 흰 말을 타고 들어가다 잡혔는데, 저 궤변으로 빠져나오려 했다는 일화가 전해집니다ㅎㅎ "흰 말은 말이 아니오!"라고 말이죠.

실제로 공손룡이 한 논리 전개는, @jamieinthedark님이 말씀처럼 범주가 달라 등호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말이지만, 일상어로 전환하였을 때 언어의 관습성과 이중성 탓에 생기는 혼란을 노린 것입니다.

넵, 저 말(not horse)을 한 맥락은 분명 궤변이 필요한 상황이었을 것 같네요. 논리로서의 의미는 아마 나중에 끼워맞췄을지도...

꿈보다 해몽이었을까요ㅋㅋㅋ

오오 저는 이런거 좋아해요 옛날 이야기 역사 이야기 +_+

감사합니다! 저는 저 교집합식이 이해하는 데 굉장히 적합하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분들은 어떻게 받아 들이실지 잘 모르겠습니다.

  ·  7 years ago (edited)

완전 교집합 그림 보고 한 방에 이해 됐어요 ㅋ
말장난 같은거 아닌가욤?
말이 안되지만 말이 되는 ㅋㅋ

그렇습니다ㅋㅋ 좀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 몇 줄 추가해 보았습니다.

ㅋㅋㅋ. 스팀잇 다중인격 신드롬으로 두개의 분열개체가 생성되셨군요.
이럴땐 이노래를 빼면 안되지요.

ps. 결코 가벼운 소재가 아닌데요?

저는 이 노래를 바칩니다ㅎㅎㅎ

“나는 사람이다”의 역인 “사람은 나이다”가 성립하지 못하는 것

여기에서 이해가 가네요 ㅎㅎㅎㅎㅎ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ㅎㅎㅎㅎ

감사합니다!

새로운 계정을 소개하는 재미있는 글 감명깊게 읽었습니다.
의미론자들이 찾아와서,

후자의 의미로 “나는 사람이다”의 역인 “사람은 나이다”가 성립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 대목을 보고, 한정사quantifiers 논쟁에 바로 뛰어들 것만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재미있는 토론과 소통의 장이 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문장의 의미론에 대하여 @rokyupjung님께서 언제 한 번 포스팅해주시면 유익하고 재미있겠습니다ㅎㅎ

의미론 저도 잘 모릅니다. 오래전 언어학 공부할 때보니 의미론자들이 한정사 가지고 치고박고 싸우더라고요..ㅋ 아무래도 한정사가 언어적으로 상대성도 강하고, 의미를 규정하기 어려워서 그런 것 같다는 생각만 해봤습니다. 사실... 저희 아내가 의미론 전공인데.. 좀 물어봐야 겠군요..^^

흰대문은 대문이아니다.

ㅋㅋㅋㅋㅋㅋ똑똑한데?

찡자는 또또또똑똑똑 !
정신세계가 다양하죠. 데굴데굴 굴러요.

@sleeprince 님과 무슨 관계가 있으신가요? ㅜㅜ 어려운 글을 쓰시는 또 한 분. 반가워요 ㅎㅎ

@홍보해

감사합니다! 그와의 관계는 제 소개글을 보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ㅎㅎ

와우~~~ 제가 한국에서 뻘짓하는동안 이런 어려운 작업을 진행중이시군요!

좀 덜 무거운 글을 쓸만한 계정이 필요해서 새로 하나 팠습니다.

대문 black이 이쁘다

고맙소! 찡 덕분이오!

더운날이 안 더울 수 있으면 좋겠어요. 아 땀나!!

무더운 날은 더운날이 아니다!

쌍둥이 형 자고 있나.ㅋㅋ

곤히 자고 있습니다ㅋㅋㅋ

재밌게 보고 갑니다. 고등학교 다닐때 몇번을 폈다가 접기만 했던 정석 수학책의 1단원을 보는 것 같아 반갑기도 하네요. 비트코인은 코인이 아닌건가요ㅎㅎㅎ

그런 셈입니다ㅋㅋㅋㅋㅋ

다 거짓말이었어... 가볍다고 하더니...
깬왕자는 왕자가 아닌 것이었어...
ㅋㅋㅋㅋㅋㅋ

그렇습니다. 저는 사실 왕자가 아닙니다ㅋㅋㅋㅋ

갑자기 자유민주주의는 민주주의가 아니라는 말을 하고 싶어지네요^^
그래서 우리는 그렇게 '자유'라는 단어를 빼고 싶어했는지도 모르죠 ㅎㅎ

'자유'라는 단어의 해석에서부터 갈리니, 자유민주주의는 또 얼마나 말이 많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