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5편 균병(均兵): 기동 부대의 활용

in busy •  5 years ago 

Book Reviewer @ilovemylife입니다.

통상적인 전력과 전쟁터에서 전투력이 발휘될 때의 전투력 비율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3427990_S.jpg

태공이 살았던 시절에 통상적으로 전차와 보병의 전력은 80:1로 판단했습니다. 즉 전차 1대가 보병 80명을 당해낼 수 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기병은 약 8:1로 간주하며, 전차와 기병의 비율은 10:1로 판단합니다. 이 때 전차 1대에 기병 10기가 해당됩니다. 이런 전력의 비율은 평지에서의 경우입니다. 만약 산악지형일 경우에는 평지의 1/2을 적용합니다.

실제로 전장에서 운용되는 전투력 발휘 비율은 통상적인 비율과는 다소 차이가 납니다. 전차와 보병은 100:1(전차 10대: 보병 1,000명), 기병과 보병은 10:1(기병 10기: 보병 100명) 등으로 판단했습니다.

한편 전차부대와 기병부대는 보병부대에 비해 장교의 수가 더 많이 요구됩니다. 왜냐하면 부대가 갖추고 있는 장비와 그 밖에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보병부대에 비해 세밀하고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전차부대는 전차 5대당 장이라는 장교1명, 10대당 이라는 장교1명, 50대당 솔이라는 장교1명, 100대당 장군 1명으로 편성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기병부대는 5기당 장이라는 장교1명, 10기당 이라는 장교1명, 100기당 솔이라는 장교1명, 200기당 장군 1명을 편성토록 조언했습니다.

武王問太公曰, 以車與步卒戰, 一車當幾步卒, 幾步卒當一車, 以騎與步卒戰, 一騎當幾步卒, 幾步卒當一騎. 以車與騎戰, 一車當幾騎. 幾騎當一車. 太公曰, 車者, 軍之羽翼也, 所以陷堅陳, 要强敵, 遮走北也. 騎者, 軍之伺候也, 所以踵敗軍, 絶粮道, 擊便寇也. 故車騎不敵戰, 則一騎不能當步卒一人, 三軍之衆成陳而相當, 則易戰之法, 一車當步卒八十人, 八十人當一車. 一騎當步卒八人, 八人當一騎, 一車當十騎, 十騎當一車. 險戰之法, 一車當步卒四十人, 四十人當一車. 一騎當步卒四人, 四人當一騎. 一車當六騎, 六騎當一車. 夫車騎者, 軍之武兵也. 十乘敗千人, 百乘敗萬人, 十騎走百人, 百騎走千人, 此其大數也.

무왕이 태공에게 물었다. “전차 부대가 보병 부대와 싸울 경우, 전차 1대가 보병 몇 명에 해당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까? 또 기병 부대가 보병 부대와 싸울 경우, 기마병 1기는 보병 몇 명에 상응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까? 그리고 전차 부대와 기병 부대가 싸울 경우, 전차 1대는 기병 몇 기에 상응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까?” 태공이 대답했다. “전차는 군대의 양 날개와 같은 것입니다. 적의 굳건한 진지를 무너뜨리고 강력한 적을 요격하며, 달아나는 적을 가로막습니다. 기마병은 적의 빈틈을 노려 기습하는 군대의 기동 부대와 같은 것입니다. 달아나는 적을 바싹 뒤쫓고, 적의 식량 보급로를 끊어버리며, 공격 기회를 노리고 있는 적의 기습 부대를 요격하여 아군의 안전을 꾀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차와 기마병의 특성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지 못한다면, 보병 1명의 힘조차도 당해내지 못합니다. 그러나 전군이 전투 대형을 완전히 갖추고 적과 싸운다면, 드넓은 평지일 때 전차 1대가 보병 80명을 당해내고, 보병 80명이 전차 1대를 당해냅니다. 그리고 기병 1기가 보병 8명을 당해내며, 보병 8명이 기병 1기를 당해냅니다. 또한 전차 1대가 기병 10기를 당해내고, 기병 10기가 전차 1대를 당해 냅니다. 지형이 험한 곳일 때에 전차 1대가 보병 40명을 당해내고, 보병 40명이 전차 1대를 당해 냅니다. 그리고 기병 1기가 보병 4명을 당해내며, 보병 4명이 기병 1기를 당해 냅니다. 또한 전차 1대가 기병 6기를 당해 내고, 기병 6기가 전차 1대를 당해 낼 수 있습니다. 전차병과 기마병은 군대의 중요한 전투력입니다. 그러므로 전차 10대로써 적의 보병 1천명을 물리치고, 전차 100대로써 적의 보병 10,000명을 물리칠 수 있으며, 기병 10기로써 적의 보병 100명을 달아나게 만들고, 기병 100기로써 적의 보병 1,000명을 달아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전차와 기병 및 보병 사이의 전투력의 비율입니다.”

武王曰, 車騎之吏數陣法奈何. 太公曰, 置車之吏數, 五車一長, 十車一吏, 五十車一率, 百車一將. 易戰之法, 五車爲列, 相去四十步, 左右十步, 隊間六十步. 險戰之法, 車必循道, 十車爲聚, 二十車爲屯, 前後相去二十步, 左右六步, 隊間三十六步. 縱橫相去一里, 各返故道. 置騎之吏數, 五騎一長, 十騎一吏, 百騎一率, 二百騎一將. 易戰之法, 五騎爲列, 前後相去二十步, 左右四步, 隊間五十步, 險戰者, 前後相去十步, 左右二步, 隊間二十五步. 三十騎爲一屯, 六十騎爲一輩, 十騎一吏, 縱橫相去百步, 周還各復故處. 武王曰, 善哉.

무왕이 다시 물었다. “전차 부대와 기병 부대는 몇 명의 장교가 있어야 하며, 포진하는 방법은 어떻습니까?” 태공이 대답했다. “전차 부대에 필요한 장교의 수는 전차 5대에 ‘장’이라는 장교 1명, 10대에 ‘이’라는 장교 1명, 50대에 ‘솔’이라는 장교 1명, 1백 대에 ‘장수’ 1명을 둡니다. 평탄한 평야에서 전투할 때는 5대의 전차를 1열로 하고, 앞뒤의 간격은 40보, 왼쪽과 오른쪽의 간격은 10보, 부대와 부대 사이의 간격은 60보가 되도록 배치합니다. 험한 산지에서 싸울 때는 전차는 반드시 길을 따라 움직여야 합니다. 그리고 전차 10대를 1취라는 단위로, 20대를 1둔이라는 단위로 편성하되, 앞뒤의 간격은 20보, 왼쪽과 오른쪽의 간격은 6보, 부대와 부대 사이의 간격은 36보가 되게 합니다. 전차 5대에 1명의 장을 두고, 각 전차부대는 가로 세로로 1리의 간격을 유지하며, 전투가 끝나면 일단 거쳐온 길을 따라 돌아가게 합니다. 기병 부대에 필요한 장교의 수는 기병 5기에 ‘장’ 1명, 10기에 ‘이’ 1명, 200기에 장군 1명을 둡니다. 평탄한 평야에서 싸울 때에는 5명의 기병을 1열로 하고, 앞뒤의 간격은 20보, 왼쪽과 오른쪽의 간격은 4보, 부대와 부대 사이의 간격은 50보가 되도록 합니다. 지형이 험한 곳에서 싸울 때에는 앞뒤의 간격은 10보, 왼쪽과 오른쪽의 간격은 2보, 부대와 부대 사이의 간격은 25보가 되도록 합니다. 또한 기병 30기를 1둔, 60기를 1배라는 단위로 편성하고 10기마다 ‘이’ 1명씩을 두며 각 기병 부대는 가로 세로로 100보의 간격을 유지하게 합니다. 일단 적진에 뛰어들어 싸운 다음에는 다시 본래 위치로 재빨리 돌아와야 합니다.” 무왕이 말했다. “매우 좋은 작전입니다.”

이상 Book Reviewer @ilovemylife였습니다.

참고문헌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무경칠서, 서울: 서라벌인쇄, 1987
태공망(저), 육도삼략, 유동환(역), 서울: 홍익출판사, 2002
태공망(저), 육도삼략, 성백효(역),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16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awesome view brother,looks is very beautiful @ilovemylife

전차부대의 막강한 힘이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