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ing: hive-143843All contenthive-129948hive-196917krzzansteemhive-183959hive-180932hive-166405uncommonlabhive-185836hive-183397hive-150122photographyhive-144064bitcoinhive-188619lifekrsuccesshive-103599hive-139150hive-101145hive-124908hive-184714hive-106183hive-103393TrendingNewHotLikersneojew (71)in hive-143843 • 4 hours ago2024/11/21(목)역사단편216. 서경천도의 배경4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의 그 국가에 대한 관념이 크지 않을 것이다. 이전 글에는 예종과 윤관의 노력으로 북방 영토를 개척했다는 내용이 있었다. 그 결과에 대해 살펴본다. 九城(9성)은 『高麗史고려사』에 據(거)하면 舊史(구사)에는 英·雄·福·吉·咸·宜 六州(영,웅,복,길,함,선 6주)와…neojew (71)in hive-143843 • yesterday2024/11/20(수)역사단편215. 서경천도의 배경3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의 그 국가에 대한 관념이 크지 않을 것이다. 十一年 詔勅(11년 조서)의 國仙 云云(국선 운운)은 彼等(피등)의 花郞 典故(화랑전고)의 無識한 史家(무식한 사가)들이 國仙(국선)이 곧 花郞(화랑)임을 알지 못하고 無意 中에 削除(무의중에 삭제)치 않은 것이니, 이는 마치…neojew (71)in hive-143843 • 2 days ago2024/11/19(화)역사단편214. 서경천도의 배경2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의 그 국가에 대한 관념이 크지 않을 것이다. 本詔(본조)는 西京 新闕(서경신궐)에서 下한 者인데 西京 新闕(서경신궐)을 創作(창작)한 事實이 睿宗本紀(예종본기)에는 不見하였으나 「吳延寵 傳오연총 전」에 據(거)하면 睿宗(예종)이 讖에 依(참에 의)하여 西京 新闕을…neojew (71)in hive-143843 • 3 days ago2024/11/18(월)역사단편213. 서경천도의 배경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의 그 국가에 대한 관념이 크지 않을 것이다. 고려시대 서경천도를 둘러싼 내란(1135~1136)의 배경을 살펴보고 있다. 四. 睿宗(예종)과 尹瓘(윤관)의 對女眞戰爭(대여진전쟁) 高麗 一代(고려일대)에 花郞의 思想을 實行(화랑의 사상을 실행)하려던 君·臣 兩人(군-신 양인)이…neojew (71)in hive-143843 • 4 days ago2024/11/17(일)역사단편212. 처신에 대한 공자의 관점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의 그 국가에 대한 관념이 크지 않을 것이다. 지난주 한 정치인에 대한 재판을 둘러싸고 말이 많았다. 답이 없어 보이는 현실에서 정치인이 가져야 할 처신에 대한 일화가 있다. 孔子曰:「《詩》云:『民之多辟민지다벽,無自立辟무자립벽』,其洩冶之謂乎기설야지위호。 사벽邪辟: 마음이…neojew (71)in hive-143843 • 5 days ago2024/11/16(토)역사단편211. 본질을 꿰뚫어라: 공자가 말하는 예禮의 정체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의 그 국가에 대한 관념이 크지 않을 것이다. 주말을 맞아 간단한 상식을 하나 짚고 넘어간다. '예禮'하면 떠오르는 것이 '공자'다. 예의 화신이라고 착각하는 것이 공자인데. 공자가 말하는 예라는 것이 사실은 정치판에서 내세우는 소위 '금기'같은 것이다. 일화를 하나…neojew (71)in hive-143843 • 6 days ago2024/11/15(금)역사단편210. 본질을 꿰뚫어라: 조선인의 노예사상의 기원15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의 그 국가에 대한 관념이 크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四仙(사선)은 『三國遺事삼국유사』에 據(거)하며 花郞의 四聖(화랑의 사성) 永郞(영랑)·夫禮郞(부예랑) 等의 兼稱(겸칭)이요, 仙家(선가)는 그 上下文을 參照(참조)하여 또한 花郞(화랑)을 가리킨 者인데, 大槪(대개) 郞·佛…